주의 : 폐선 또는 폐역된 구간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이미 폐선되었거나 폐역되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리그베다 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러두기 (여객·화물취급) | |||
K | KTX 필수정차역 | k | KTX 선택정차역 |
S | 새마을호 필수정차역 | s | 새마을호 선택정차역 |
M |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역 | m |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역 |
C | 통근열차 정차역 | B | 바다열차 정차역 |
B | 화물취급역 | ─ | 여객·화물 미취급역 |
일러두기 (역 등급) | |||
⊙ | 그룹대표역 | ○ | 보통역 |
● | 배치간이역 | ◑ | 무배치간이역 |
◎ | 임시승강장 | ◇ | 을종승차권발매소 |
‡ | 신호장 | † | 신호소 |
1.5. 내동역 ¶
경전선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67년 2월 22일 폐지일 : 1984년 3월 1일 등급 : 폐역 | ||||
삼랑진 방면 진 주 | ← | 내 동 | → | 광주송정 방면 유 수 |
奈洞驛
奈는 '나'라고도 읽으므로 흔히 '나동역'이라고 불렸다. 내동면 소재지에 위치해 있었으나 도로교통의 발달 등으로 이용객이 급감하여, 1984년 폐역되었다. 역사는 LPG 충전소와 개인 거주지로 활용되고 있었기에 철거되지 않고 존치되고 있는 상태였으나 이 지역에 대대적인 도로확장과 구역 정리 등이 이루어지면서 2014년 7월경 철거되었다. 현재는 승강장만 남아있다.
이 역 주변에서 경전선 폐선을 개조해 만든 레일바이크를 탑승할 수 있다.
2.1. 남광주역 ¶
경전선 | 운영기관 : 철도청 개업일 : 1930년 12월 25일 폐지일 : 2000년 8월 10일 등급 : | |||||
삼랑진 방면 벽 도[1] | ← | 남광주 | → | 광주송정 방면 광 주 |
南光州驛 / Namkwangju Station
역 부근에 남광주 시장이 있어서 여수, 벌교, 보성등지에서 해물을 팔러 원정오는 할머니 상인들이 주 이용객 이었다. 비둘기호의 필수정차역이었으며 심야 운행편(목포-부산)과 서울-순천(광주경유) 통일호를 제외한 모든 통일호 열차가 정차하기도 했다.
그후 도심구간 철도이설[2]로 인해 2000년 8월 10일 부로 폐역했다. 현재는 서광주역이 역할을 대신하고 있지만 옮겨줬으면 이용이라도 많이 할것이지 이설된 위치가 정말 끝내주게 안습인지라 사람들은 당연히 남광주역 근처의 시외버스 정류소인 학동정류장을 이용했고... 이외에도 연탄이나 나르던 효천역이 약간 흥하게 되었으나, 너무 외곽이었는지 실이용객은 서광주역이 더 많다.
곽재구가 쓴 시 "사평역에서"와 임철우가 이 시를 바탕으로 쓴 소설 "사평역"에 등장하는 사평역(沙平驛)의 실제 모델이나, 흔히 경전선 남평역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시에 나오는 물건들을 구입한 곳이 남광주시장을 모델로 한 것이다. 실제 80-90년대 남광주시장에서는 이러한 풍경을 흔히 볼 수 있었다.
3. 수요 부족으로 인해 2008에 폐역된 화순군내 역 ¶
원래 코레일은 수요 부족으로 무정차역이 되더라도 그걸 이유로 폐역시키지는 않고 나중에 선로 이설이다 뭐다 해서 자동으로 폐역처분 하는데 이 다섯 역들은 본선구간에서 폐역이 되어서 좀 희소한 케이스이다.
3.4. 만수역 ¶
3.5. 앵남역 ¶
경전선 | 운영기관 : 철도공사 광주지사 개업일 : 1956년 6월 11일 폐지일 : 2008년 1월 1일 등급 : | |||||
삼랑진 방면 화 순 | ← | 앵 남 | → | 광주송정 방면 남 평 |
鸚南驛 / Aengnam Station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지강로 646 (앵남리 754-2)에 위치한 폐역. 한때 배치간이역으로 승격하였다가 을종대매소를 거쳐 결국 1990년 이후로는 무배치간이역인 상태가 지속되었다. 1999년 이곳 앵남리를 지나 광주시내와 도곡온천을 잇는 칠구재터널이 뚫리며 광주시내로 바로 가는 도로가 뚫리고 2000년 남광주역을 지나 광주역으로 가던 경전선 선로마도 폐선되며, 서광주역을 지나 광주송정으로 바로 빠지게 됨으로 인해 이용객은 계속 줄어갔고, 계속적으로 완행열차만 정차하다가 2004년 인근 호남선에 KTX가 개통되며 통일호는 폐지되었으나, 뒤를 이은 통근열차가 목포-순천 간 1왕복, 목포-여수 간 1왕복 이렇게 총 4회가 정차하였다. 목포-순천-여수 간 열차가 전라남도의 곳곳을 지나며 모든 역에 정차하는 데다가 인근에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다니는 전라남도 출신 대학생들을 위한 향토학사인 전남학숙이 있었기 때문에 주말에는 전남 각지의 고향집에 다니러가는 대학생들이 이용하기도 하여서, 의외로 시골 간이역치고는 이용객의 연령층이 상당히 젊은 역이었다. 하지만 결국은 2006년 11월 열차시간표 개정으로 경전선 통근열차가 폐지되자 이 역의 여객영업도 중지되었다. 지못미. 이후로 한동안 여객영업이 중지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2008년 1월 1일 부로 공식 폐지되었다.
폐역 이후에도 플랫폼과 역사가 그대로 잘 보존 중이다만 사실 역사라고 해봐야 커다란 버스정류장 모양의 벽돌 구조물 뿐이다. 어쨌든 버스정류장 형태로라도 역사가 남아 있어서 도로명주소도 부여받았다. 열차가 정차하던 시절에는 역 바로 옆으로 광주와 도곡온천을 잇는 도로를 가로지르는 철도건널목이 있기 때문에 열차가 정차하는 내내 차단기가 내려진 상태로 있을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앵남역 옆에는 앵남슈퍼 할머니집이라는 슈퍼가 있었는데 금술좋은 노부부의 후덕한 인심 덕분에 유명세를 탔다고 한다. 관련기사도 있다.# 하지만 열차가 없어진 이후 앵남슈퍼도 사라져버렸다.
현재 이 역 인근으로는 광주 버스 진월177번이 약 1시간 간격으로 경유하며 도곡온천으로 가는 화순 군내버스도 경유한다.
현재 이 역 인근으로는 광주 버스 진월177번이 약 1시간 간격으로 경유하며 도곡온천으로 가는 화순 군내버스도 경유한다.
4. 2012년 10월 23일 마산 ~ 진주 복선화로 인한 폐역 목록 ¶

[JPG image (18.88 KB)]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42.1 | 마 산 | 馬 山 | MSK | ─ | ⊙ | 임항선 | 경남 창원시 |
48.4 | 중 리 | 中 里 | M | ─ | ◑ | ||
55.6 | 산 인 | 山 仁 | ─ | ─ | ◑ | 경남 함안군 | |
59.6 | 함 안 | 咸 安 | M | ─ | ○ | ||
68.4 | 군 북 | 郡 北 | M | ─ | ○ | ||
72.0 | 원 북 | 院 北 | m | ─ | ◑ | ||
77.8 | 평 촌 | 坪 村 | m | ─ | ◑ | 경남 진주시 | |
82.4 | 진주수목원 | 晉州樹木園 | m | ─ | ◎ | ||
84.2 | 반 성 | 班 城 | M | ─ | ○ | ||
90.1 | 진 성 | 晉 城 | m | ─ | ◑ | ||
93.1 | 갈 촌 | 葛 村 | m | ─ | ◑ | ||
99.1 | 남문산 | 南文山 | m | ─ | ◑ | ||
104.3 | 개 양 | 開 陽 | m | ─ | ◑ | ||
109.0 | 진 주 | 晉 州 | M | B | ⊙ |
4.1. 산인역 ¶
경전선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3년 12월 1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 |||||
삼랑진 방면 중 리 | ← | 산 인 | → | 광주송정 방면 함 안 |
山仁驛 / Sanin Station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산인로 184 (舊 모곡리 496-1번지)에 위치해 있다. 진주 방면 남해고속도로 102번 지선과 10번 본선이 합쳐진 후 문암리 근처에서 터널을 지나는데 그 아래 S자형 계곡이 옛 산인역 부지다.
초기에는 3선의 선로가 있었다. 2선은 여객영업용, 1선은 화물영업용이었다. 그러다 1966년 9월 11일에 무배치간이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1971년 4월 11일에 보통역으로 승격하면서 새로운 역사를 신축했다. 역사 형태는 평촌역이나 갈촌역과 동일한 형태였다고 한다.[3]
역 주변에는 저수지를 낀 입곡군립공원이 있어서 1970년대 무렵는 마산에서 열차를 타고 온 관광객들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피난선도 있었는데, 중리-산인 구간이 25퍼밀의 하구배였기 때문에 설치된 것. 함안역에 보관중인 산인역 운수운전시설카드에 의하면, 처음에는 700m로 시작했는데, 세월의 흐름에 따라 638m로 줄어들더니 나중에는 588m로 길이가 계속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피난선은 무배치간이역이 되면서 뜯겨나갔고 지금은 자갈을 깔아 길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침목을 다 걷지 않아서 자갈 아래로 침목이 드러난 부분을 찾을 수 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이 역의 몰락이 시작되었는데, 1977년 5월 16일 소화물취급을 중지하면서 화물열차를 받지 않았다. 이어 1980년대에는 을종대매소로 격하되었고, 1986년 10월 16일에는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면서 역사와 측선, 피난선 등을 전부 철거, 본선과 여객승강장만 남겨놓았다. 그리고 승강장 위에 버스정류장 형태의 대합실을 새로 지었다. 그러나 산인면 사람들의 수요가 꾸준히 있었기 때문에 비둘기호와 통일호는 계속 정차했다. 함안 갔다가 마산 갈 필요없이 기차만 타면 마산역에 바로 떨궈주는데 그러다 2007년 6월 1일부로 여객취급도 중지되었고, 2012년 10월 23일 경전선 마산-진주 구간 이설로 인해 폐역되었다. 기존 역 부지는 현재 식당(...)이 들어서있다. 진상역이냐
4.2. 원북역 ¶
경전선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75년 1월 5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 |||||
삼랑진 방면 군 북 | ← | 원 북 | → | 광주송정 방면 평 촌 |
院北驛 / Wonbuk Station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사군로 1204-2 (舊 원북리 379-2번지)에 위치해 있다. 약 10여 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했던 역. 승강장은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
이 역은 철도청의 계획에 없던 역이고, 대중교통편이 거의 없다시피 한 원북리 주민들이 세운 역이다.[4] 원북리 주민 박계도(朴季道)라는 사람이 역 건물을 기증했다는 표지가 나온다. 오오 철도 동호인 오오 역 규모는 맞이방만 달랑 있는 조그마한 형태이며 마산-진주간 선로 이설로 2012년 10월 23일부로 폐역. 사실 새 선로가 원북역 바로 옆으로 나란히 지나가는데 역 하나 쯤은 간이형태라도 지어줄 수 있었다. 망할 절도공단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원북역이 생기고 나서 인근의 명관리(명관저수지 뒤편으로 의외로 커다란 분지형 골짜기가 있다) 사람들은 산 고개를 넘어 원북역으로 기차를 타러 갔는데(그 이전에는 명관저수지의 산기슭을 위험하게 지나서 군북 옛 역까지 기차를 타러 갔는데 길이 지금 기준으로도 꽤 험하다), 이제는 원북 사람들이 명관리를 지나 동촌리의 군북 새 역으로 기차를 타러 가게 되었다는 것. 도보로 가기엔 먼 거리지만 새로 포장된 명관 고개를 넘어 자동차로 15분 정도면 군북역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역을 안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벚꽃 풍경이 좋아서 '간이역 여행' 단행본의 표지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런데 그렇게 아름답던 역사가 2013년 1월~10월 사이에 철거되었다. 지못미... 하지만 2014년 현재 철로와 맞이방은 없어졌지만 벚꽃과 노반은 그대로 남아 있다.
역 바로 앞에 조선시대 유교 도량인 서산서원이 있는데 실은 명관리에 있던 서원이 흥선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 한 번 없어졌다가 현재 위치로 옮겨 지은 것. 원북역과 서산서원, 그 앞의 '채미정'이라고 불리는 솔밭 언덕까지 봄 경치는 정말 좋다. 그 외에는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방어산 마애불이 인근에 있다.
4.3. 평촌역 ¶
경전선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3년 12월 1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 |||||
삼랑진 방면 원 북 | ← | 평 촌 | → | 광주송정 방면 진주수목원 |
坪村驛 / Pyeongchon Station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부평길 15 (舊 평촌리 742-4번지)에 위치해 있다. 이 역부터 진주시에 진입하게 된다. 이전인 원북역까지는 함안군 소속. 과천선의 평촌역과는 전혀 다르다. 그 곳은 과거에 벌말역으로 불렸지만, 지역주민들의 핌피로 결국 동명이역이 되었다.
2011년 1월 기준 하루에 10회의 무궁화호가 이 역에 정차하고 있다. 현재 쓰는 역사는 1970년 2월 20일에 완공한 것. 한때는 보통역이었던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무배치간이역 신세. 2009년 6월 부터 명예역장이 선임된 역이기도 하며 2011년 7월 1일 부터는 3기 명예역장이 새로 선임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10월 23일 마산-진주간 열차운행이 신선로로 이전되면서 폐역.
여담으로 그 강호동이 이 동네 출신이다. 정확히는 이반성면 쪽 산자락에서 태어났다는 듯.
4.4. 진주수목원역 ¶
경전선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2007년 10월 19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 |||||
삼랑진 방면 평 촌 | ← | 진주수목원 | → | 광주송정 방면 반 성 |
진주수목원역 타는곳
진주수목원역 역명판
晉州樹木園驛 / Jinju-sumogwon Station
경상남도수목원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신설된 임시승강장으로, 임시승강장 치고는 꽤 발달된 형태를 갖췄었다. 화장실, 승강장, 역명판 등이 제대로 갖춰져 있어서 역사만 없는 간이역이라고 봐도 될 정도. 경의선의 어떤 역하고 심하게 비교된다.
기본적으로 10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했지만, 수목원이 개방할 때 쯤 되면 열차를 증편정차하기도 했다. 그리고 수목원이 대박 터지는 봄이나 가을쯤에는 경전선에서 입석승객이 발생하는 기적이 벌어졌다!
다만 경전선 복선전철화 관계로 2012년 10월 23일부로 폐지. 본격 5년짜리 역
2014년 1월 24일에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 제6조 임시승강장 항목에는 진주수목원역의 이름이 그대로 등재되어 있다. 뭐지?
4.5. 진성역 ¶
4.6. 갈촌역 ¶
4.7. 남문산역 ¶
경전선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5년 6월 15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 |||||
삼랑진 방면 갈 촌 | ← | 남문산 | → | 광주송정 방면 개 양 |
南文山驛 / Nammunsan Station
문산읍에 위치해 있는데도 남문산역이 된 이유는, 경의선에 문산역이 먼저 개업했기 때문. 먼저 먹는 자가 임자다!! 남쪽에 있는 문산역이라는 뜻이다. 물론 이 역과 문산역의 문산에 대한 한자는 달랐다. 이 역의 문산은 文山, 문산역의 문산은 汶山. 2014년 6월 20일에 파주시가 문산읍의 한자 표기를 바꾸면서 진주시 문산읍과 파주시 문산읍 모두 文山이라고 쓰게 되었다.
4.8. 개양역 ¶
경전선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3년 12월 1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 |||||
삼랑진 방면 남문산 | ← | 개 양 | → | 광주송정 방면 진 주 |
開陽驛 / Gaeyang Station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진주시 개양로 100(舊 가좌동 140-12번지)에 위치해 있다. 옛날에는 이 역에서 진삼선이 분기했기 때문에 올드비들에게는 삼천포로 빠진다라는 표현으로 유명한 역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그런 거 알 게 뭐야. 이미 진삼선은 폐선된지 꽤 됐다.[7] 삼랑진역 기점 104.3km. 100km를 넘었다!!
2010년 7월 1일 부로 이 역에 명예역장이 선임되었다. 다만 부임된지 얼마안되어 스스로 그만둔 까닭에 명예역장이 없으며, 역사는 공사장 사무실로 쓰였다. 경전선이 복선화되면서 폐지됬으며, 이 역 부근에 진주역이 이전하여 자리잡은 관계로 사실상 진주역과 통합됬다.
----
- [1] 1939년 폐지, 이후에는 효천역이 다음역이었다.
- [2] 경전선 선로가 도심을 관통하기에 동서로 분단되어 건널목으로 인한 교통체증과 선로주변 민가의 소음 민원이 끊이지 않아 옮기게 됐다. 그리고 철도가 지나가던 부지는 남광주역부터 남구 백운동 로터리를 지나 진월동까지 길다란 보행자 산책로가 조성되었다.
- [3] 역사는 1986년에 이미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산인가든이란 이름의 식당이 들어서 있어서 흔적을 찾기 어려운 상태.
- [4] 비슷한 사례로 영동선 하고사리역이나 양원역등이 있다.
- [5] 목행역명예역장 본인의 캐리커쳐다. 세트로 목행역 스탬프가 있다.
왜 그런지 아는분은 다 아실거다 - [6] 한국철도공사 열차운행세칙 2010년 5월 1일자(제2010-42호)로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지정되었다. 단, 실제로 역무원이 철수한 것은 2010년 12월이었다.
- [7] 1980년에 이미 진삼선 폐선. 단 선로 자체는 사천공항 인근까지 전용선으로 남아 있으며, 현재는 진주역에서 분기한다.
- [8] 과천선 평촌역은 전산상으로는 평촌동역으로 등록돼 있다. 도대체 전산연동이 어떤 식이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