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에너지 병기의 일종이며 보통 에너지 병기는 맞으면 불타 버리거나 재가 되어버리는데, 이것은 반대로 온도를 순간적으로 급강하시켜 목표물을 얼려버린다.
당연히 물리학적으로는 있을 수 없는 일. 목표물이 광선 에너지를 수신하면 그 에너지를 열순환하는데 사용하는 장치가 있다면 몰라도(한마디로, 태양광으로 돌아가는 냉장고) 어떠한 물질이나 생명체를 얼려버리는 광선은 없다. 불태워버리긴 쉽지만. 굳이 가능하게 하려면 광선이 아니라 초저온 입자를 발사하는 입자빔의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외계인들의 단골 무기중 하나에 꼭 들어가며, 우월한 하이테크놀러지의 상징이기도 하다. 얼려버린다는 성격상 납치에도 유용한 듯. 물론 곧 인류 주인공이 빼앗아 외계인들을 얼려버린다. 얼린 적을 깨부시는 맛이 그만 초능력의 형태로 능력자 싸움에서도 자주 보인다.
2. 포켓몬스터의 기술 ¶
3세대 이후 기술머신 13번.
기술 이름 | 타입 | 분류 | 위력 | 명중 | PP | ||
한국어 | 일본어 | 영어 | 얼음 | 특수 | 90 | 100 | 10 |
냉동빔 | れいとうビーム | Ice Beam | |||||
기술 효과 | 특수 분류 | 부가 효과 | 확률 | ||||
- | - | 얼음 | 10 |
이 기술이 없었다면 드래곤 천하가 되었을 확률이 매우매우매우 높다.
1세대 때부터 내려오는, 얼음 타입 최고의 인기를 가지고 있는 기술.[1]
화염방사나 10만볼트와 기술 타입과 부가 효과를 제외하고 성능이 완전히 동일하며 이들과 같이 큰 인기를 가지고 있는 기술. 얼음 타입 최강기라고 볼 수 있는 눈보라가 명중률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2]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얼음 타입 최고의 기술로 취급받는다. 그러나 1세대에서는 당시 눈보라의 명중률, 얼음 상태이상의 사기성에 더불어 눈보라가 냉동빔만큼 채택율이 높았다.
앞서 언급한 같은 입지의 두 기술보다 PP가 적다. 얼음 공격 자체의 상성이 좋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화상이나 마비보다 더 좋게 취급되는 결빙 확률이 붙어 있어서 그런 듯. 자체 위력도 괜찮고, 비록 10%이지만 걸리기만 하면 치명적인 결빙 확률이 있기 때문에 깔짝형 포켓몬이 이 기술을 채용하기도 한다.
풀 타입이 대대로 안습했던 이유 중 하나. 물 타입 중에 이걸 배우는 포켓몬이 워낙 많아서 원래는 상성이 좋아야 할 풀 타입이 역으로 잡아먹히는 경우가 흔하다.
또 드래곤 타입의 극카운터 기술이기도 하다. 얼음 타입에 4배 약점이 많은 드래곤들은 얼음뭉치같은건 맞고 버텨도 자속 냉동빔 앞에서는 뼈도 못추린다. 안정적인 고위력 얼음 타입 기술인데다 배우는 포켓몬도 많아서 특히 유명하다.드래곤 타입 트레이너들이 싫어합니다.[3]
6세대엔 화력 인플레를 해결하기 위한 너프인지 위력이 95에서 90로 줄어들었다.
냉동빔을 저항하는 물 타입을 견제해 주는 전기 타입의 10만볼트와 매우 상성이 좋다. 특히 미국에선 Boltbeam이라고 아예 두 기술을 한데 묶어 부를 정도. 그러다 보니 이 두 기술을 다 배울 수 있는 녀석들은 거의 대부분 메이저급으로 불린다. 이 두개를 배울 경우, 물, 땅, 풀, 비행, 드래곤이라는 알짜배기 타입들을 모조리 견제할수 있다.
참고로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빔을 쏘는 게 아니라 전기 공격과 동일한 이펙트로 발사해서 상대를 얼리는 기술로 나왔다. 아무래도 1번 항목의 영향을 받은 듯.
2.1. 10만볼트 & 냉동빔을 둘 다 주력으로 쓸 수 있는 포켓몬 ¶
※ 둘 다 배우면서 특공이 100 이상이거나, 특공이 공격 이상이거나, 둘 중 하나라도 자속일 경우 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