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항목은 옛 회사 명칭인 다음커뮤니케이션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 |
![]() (ɔ) WhiteNight7 from | ||
2014년 9월[A]까지 사용한 구 로고 | ||
![]() [JPG image (3.08 KB)] | ||
2014년 10월[A]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신 로고 | ||
정식명칭 |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 |
영문명칭 | Daum Kakao Corp. | |
설립일 | 1995년 2월 16일 | |
업종명 |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 | |
상장여부 | 상장기업 | |
기업규모 | 대기업 | |
상장시장 | 코스닥시장 (1999년 ~ 현재) | |
편입지수 | 코스닥 KRX100 코스닥 스타지수 코스닥 프리미어 | |
종목코드 | 035720 | |
시가총액 | 8조 2,073억(2014년 11월 27일/코스닥 1위)[2] | |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42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 98 일신빌딩(한남동) (서울지사) | |
|
1.1. Daum ¶
웹 초창기인 1997년에 무료메일로 유명한 "한메일넷"으로 오픈했다가 1999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그 흔적으로 한동안 다음의 이메일 주소는 [email protected]이었다. 물론 지금도 저 주소로도 사용이 가능하다.(요즘은 [email protected]을 권장하고 있다)
지금은 상상하기 힘들지만 IT 버블이 한창이던 1999년, 코스닥시장에 데뷔했을 때 26일 연속 상한가를 쳤던 기록이 있다. 실제로 주가도 계속 상승해서 54만원(무상증자 후에는 27만원)까지 치솟기도 했었다.
오랫동안 한국을 대표하는 포탈 사이트로 부동의 시장점유율 1위를 지켜왔었으나 2000년대 중반이후 '지식in'덕분에 네이버가 현 점유율 1위로 뺏아갈정도로 급성장하면서 Daum은 상대적으로 크게 위축돼 시장 점유율 2위로 내려 앉았다. 그것도 네이버와는 상당한 격차가 있는 2위이다. 사실상 지속적으로 네이버 또는 구글에 인구를 빼앗기는 추세. 옛날에는 활용도가 높은 컨텐츠로 다음 카페가 유명했지만 이후 네이버 블로그에 그 영광을 내주었고 지금은 사용자가 글을 쓸수없게 공개된 게시판을 없애버린 네이버와는 달리 정치.사회.문화.경제...등 다양한 분야별로 자기목소리를 낼수있는 광장으로 불리는 다음 아고라가 유명하다. 또한 다음 블로그와는 별개로 티스토리를 서비스한다.
특이사항으로 우분투 한국 사용자 모임이나 KLDP 등의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이미지가 좋다. 우분투, 페도라, 젠투 등의 큼직한 배포판들의 업데이트 미러를 지원해주며, 한국에서 가장 속도가 빠르다는 평가가 있다. 파이어폭스 지원 등의 웹 표준을 일찍 지원하고, 태터툴즈 지원과 오픈소스 미러링등의 오픈소스도 신경을 써 줬다고. 그런데 정작 자기 서비스 개선은 등한시하기도. 2011년 5월 들어서는 마이피플과 다음 클라우드의 리눅스 버전을 제공하기도 했다.
2010년 전후 다음의 주가도 반등세를 띠며 1999년~2000년 버블시대의 아성에 다시 도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뒤로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결과, 2013년 들어서는 점유율 30% 아래까지 추락하며 옛 전성기를 떠올리기 힘들 만큼 고전하는 중이기도 하다. 이후 2014년 5월 26일 위기를 타파하기 위한 승부수로써 카카오톡을 운영중인 카카오와의 합병을 발표했다. 기사 마이피플+카카오톡=마카오톡 명목상으로는 다음이 카카오를 인수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합병 후 실제 최대주주가 김범수 등 카카오 측이기 때문에 카카오가 다음을 인수했다고 보는 쪽이 맞다. 즉 카카오톡이 다음을 이용하여 우회상장을 하는 것. 코스닥에라도 우회상장을 하면 공모를 통한 신주발행이라는 궁극기가 사용이 가능해져서 현금성 자산을 확보하기에 더욱 용이해지기 때문에 이런 역합병과도 같은 인수방식을 택한 것이다. 공동대표 체제를 유지하는 이유 중 하나도 이와 관련이 있다. 실질적으로는 조흥은행과 신한은행의 합병과 비슷하다고도 할 수 있다.
공식 합병일은 10월 1일 관련기사, 합병 이후 최초 주주총회에서 사명 변경이 승인되어, 10월 31일부터 회사명이 다음카카오로 공식 변경되었다.
그리고 2015년부터 각종 다음계통 서비스를 종료하고 있다. 2015년 9월 1일, 사명에서 '다음'이 없어진다는 뉴스가 떳다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