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헌법을 준수하고 국가를 보위하며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국민의 자유와 복리의 증진 및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여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 선서문. 대한민국 헌법 제4장 69조 중에서
- 대한민국의 역대 대통령들을 정리한 항목.
- 당연히 故자가 붙은 대통령은 항목 작성 시점에서 서거한 인물.
- 리그베다 위키 기본방침 및 작성금지 조항에 의거 명예훼손 등의 논란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기본적인 사항만 정리되어 있으므로, 이 외의 정보를 원한다면 엔하위키 바깥에서 정보를 구하기 바람.
![]() © Nudimmud (cc-by-sa-3.0) from |
대한민국 대통령기 |
1.5. 전두환(11대~12대) ¶
1.6. 노태우(13대) ¶
생년월일 | 1932년 12월 4일 | 임기 | 1988년 ~ 1993년 |
정부명 | 제6공화국 | 비고 | 제6공화국의 시작 |
1979년, 전두환과 함께 12.12 군사정변에 참가, 신군부세력의 정권획득을 위한 일련의 과정에 협조, 입지를 굳힌 후 1987년 6월 민정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어 1987년 12월에 이루어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통해 으로 당선, 1988년 제6공화국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퇴임 후 대통령 재직시 조성한 비자금 수수와 뇌물조성 혐의로 구속된 후 12·12 군사 반란과 5·17 쿠데타에 대한 관여혐의가 인정되어 사법처리 되었다.
1.9. 故 노무현(16대) ¶
생몰년도 | 1946년 9월 1일 ~ 2009년 5월 23일 | 임기 | 2003년~2008년 |
정부명 | 참여정부 | 비고 | '박연차 게이트'로 검찰 수사를 받다가 자살. |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한 뒤 제5공화국비리조사특별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한다.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한 후 2002년 새천년민주당 소속의 제16대 대통령 후보로 출마. 제 16대 대통령으로 당선된다.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재임 중 탄핵 소추를 당해 대통령 권한이 정지되었으나 헌법재판소에서 이를 기각하여 2개월 뒤 대통령 직무에 복귀하였다.
퇴임 후 '박연차 게이트'로 검찰 수사를 받다가 2009년 5월 23일 자살했다.
1.9.1. 고건 ¶
생년월일 | 1938년 1월 2일 | 임기 | 2004년 |
정부명 | 참여정부 | 비고 | 탄핵 소추 기간 동안 2개월의 권한대행 |
1988년부터 1990년 까지 서울시 관선 시장을 지내고 뒤이어 명지대학교 총장직에 있다가 김영삼의 문민정부 마지막 국무총리를 지냈다. 1998년에는 새정치국민회의 공천으로 서울시장 선거에 당선되어 4년간 시정을 이끌었다.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 첫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직무를 수행하던 중 2004년 3월 12일 대한민국 국회가 193대 2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을 의결하여 노무현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되면서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하였다.
2개월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이라크 파병문제나 경제문제, 특히 4.15총선의 공정한 관리라는 역할을 무리 없이 수행했다는 평을 받는다. 노무현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한 후 5월 24일 국무총리직에서 물러났고, 유력한 대선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2007년 1월 16일 대통령 불출마 선언을 발표, 이후 2010년 정계은퇴 선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