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항목은 KOF 98 UM으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 |||||||||||||||||||||||||||||||||||||||||||||||||||||||||||||||||||||||||||||||||||||||||||||||||||
등장인물 / 팀 / 기술 / 커맨드 리스트 | |||||||||||||||||||||||||||||||||||||||||||||||||||||||||||||||||||||||||||||||||||||||||||||||||||
넘버링 시리즈 | 오로치편 : 프롤로그 KOF '94 - 1부 KOF '95 - 2부 KOF '96 - 3부 KOF '97 - 드림매치 KOF '98 네스츠편 : 1부 KOF '99 - 2부 KOF 2000 - 3부 KOF 2001 - 드림매치 KOF 2002 애쉬편 : 1부 KOF 2003 - 2부 KOF XI - 드림매치 KOF XII - 3부 KOF XIII | ||||||||||||||||||||||||||||||||||||||||||||||||||||||||||||||||||||||||||||||||||||||||||||||||||
맥시멈 임팩트 시리즈 | 맥시멈 임팩트 - 맥시멈 임팩트 2 - 맥시멈 임팩트 레귤레이션 A | ||||||||||||||||||||||||||||||||||||||||||||||||||||||||||||||||||||||||||||||||||||||||||||||||||
UM 시리즈 | '98 얼티메이트 매치 - 2002 언리미티드 매치 | ||||||||||||||||||||||||||||||||||||||||||||||||||||||||||||||||||||||||||||||||||||||||||||||||||
휴대용 게임기 | 열투 '95 - 열투 '96 / R-1 - R-2 / 배틀 DE 파라다이스 EX 네오 블러드 - EX2 하울링 블러드 | ||||||||||||||||||||||||||||||||||||||||||||||||||||||||||||||||||||||||||||||||||||||||||||||||||
드림캐스트 | 드림 매치 1999 - '99 에볼루션 | ||||||||||||||||||||||||||||||||||||||||||||||||||||||||||||||||||||||||||||||||||||||||||||||||||
스마트폰 | KOF-i, 안드로이드 - i 2012, A 2012 / KOF X 아랑전설 / M | ||||||||||||||||||||||||||||||||||||||||||||||||||||||||||||||||||||||||||||||||||||||||||||||||||
기타 | 퀴즈 / 쿄 / 네오웨이브 / '94 RE-BOUT / 스카이 스테이지 / 온라인 | ||||||||||||||||||||||||||||||||||||||||||||||||||||||||||||||||||||||||||||||||||||||||||||||||||
미디어 믹스 | 어나더 데이 / 영화 |
It all begin in '94 KKK OO FF IS HERE AGAIN |
1. 개요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의 확장 리메이크.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오로치편의 모든 캐릭터가 등장한다. 2008년 3월 18일에 출시되었다. 아케이드 기판은 TAITO Type X를 사용한다.
2. 시스템 ¶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98을 따르지만 자잘한 변경점이 존재한다.
- 어드밴스드 모드와 엑스트라 모드 외에도 그 두개의 모드 중에서 자기가 시스템을 골라서 하는 얼티밋 모드가 추가되었다. 모드를 에디트하는 시스템인 셈. 아래의 사항 중에서 유저가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다.
- 기를 모으는 방법(어드밴스드의 공격, 엑스트라의 스스로 기모으기)
- 회피 방법(어드밴스드의 구르기, 엑스트라의 제자리 회피)
- 대쉬 방법(어드밴스드의 달리기, 엑스트라의 퀵 스텝)
- 기를 모으는 방법(어드밴스드의 공격, 엑스트라의 스스로 기모으기)
- 오더 셀렉트 시 상성에 따른 기게이지 전승이 삭제되고 기게이지가 전부 다음 캐릭터로 전승된다. 엑스트라모드의 모은 게이지도 마찬가지.
- 오더 셀렉트가 버튼 방식으로 바뀌어 상대방에게 보이지 않게 되었다.
- 히든 캐릭터를 고르면 포트레이트가 변경되고 대전 화면에서 이름이 붉은색으로 표시된다.
- 전체적으로 가드 캔슬 CD가 느려지고 판정이 약해졌다. 덕분에 대공 가캔 CD 같은 테크닉이 힘들어지고 가캔 CD를 카운터 내도 거의 추가타가 불가능해졌다.
- 도발 캔슬이 불가능해졌다. 단 시이 켄수와 최번개는 캔슬이 가능하며 이들의 도발은 기본기 취급을 받아 공격 판정이 있어 도발로 공격하고 콤보를 이어가는 게 가능하다.
- 전 캐릭의 스턴치 내구력이 강화되고 스턴치는 약화되어 스턴 내기가 엄청나게 힘들어졌다.
- 긴급 회피나 제자리 회피 중에 잡히면 잡기 풀기가 불가능해졌다.
- 원호공격이 스턴 시에만 발동하도록 바뀌었다.
- 연타잡기의 연타 횟수가 7~8회에서 3~4회로 줄어든 대신 대미지가 크게 늘었다. 절륜한 연타잡기데미지를 자랑하던 장거한은 오히려 약화되었는데 평준화라고 할 수 있다. 연타잡기가 원호공격이 발동 안 되는 변경점과 함께 연타잡기가 상당히 강력해졌으며 특히 헤비D!가 혜택을 많이 보았다.
- 강으로 사용한 대공기의 1타째가 추가타가 가능한 상태로 높게 뜨게 되었다 따라서 지상에서 강 대공기를 맞거나 공중 카운터 히트가 아니더라도 전탄 히트하기 쉬워졌다. 덕분에 예전에는 지상에 있는 상대에게 강 대공기를 지르기가 힘들었는데, 이 지르기 플레이가 강해졌다.
- 공중 잡기의 커맨드가 ↑ 이외 + C or D에서 ↑ 이외 + C로 변경되었다. 점프 C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캐릭터들이 상대적으로 이득을 보고, 반대로 점프 D를 주력으로 사용하던 캐릭터들은 이제 공중 잡기를 쓰려면 점프 C를 사용해야 하게 되었다. 특히 손해를 본 캐릭터가 클락 스틸과 니카이도 베니마루. (하지만 AC로 사용하는 비기는 아직 남아있긴 하다.)
다음은 각 모드의 변경점.
- 어드밴스드 모드
- 기 스톡이 3개 이상일때 기 스톡 3개를 쓰는 대신 기폭 없이 바로 MAX 초필살기가 나갈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1] 따라서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만 가능한 기 5개 절명콤보도 존재. 사용법은 기존 초필살기가 '레버 입력+A or C/B or D'라면 각각 AC, BD를 동시에 입력.
- KOF 2002에 있었던 공격자 구르기가 생겼다. 지상 기본기를 히트/가드시켰을 때 자신의 후딜을 캔슬해서 전방 긴급 회피를 시전하는 것으로, 기 게이지를 1개 소비한다. 이를 이용해 상대방의 가드 캔슬 날리기를 엿먹이거나 보통 안되는 콤보를 시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 기 스톡이 3개 이상일때 기 스톡 3개를 쓰는 대신 기폭 없이 바로 MAX 초필살기가 나갈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1] 따라서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만 가능한 기 5개 절명콤보도 존재. 사용법은 기존 초필살기가 '레버 입력+A or C/B or D'라면 각각 AC, BD를 동시에 입력.
- 엑스트라 모드
- 잡기 풀기가 가능해졌다.
- 기 게이지를 다 모은 후 원하는 때에 파워 업(기폭)을 해야 한다.
- 다음 캐릭터에게 기 게이지 전승이 가능해졌다.
- 엑스트라 모드끼리 기게이지를 깎았던 도발의 효과가 완전히 없어졌다.
- 공격자 회피가 생겼다. 공격자 구르기와 같은 개념으로 제자리 회피를 시전하며, 카운터 공격도 가능하다. 특이하게도 엑스트라 게이지는 기폭 상태에서는 지속시간을 까먹을 뿐 기게이지를 소비하지 않는다. 체력이 점멸할 때는 기폭시 기폭 제한시간이 더더욱 길어지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콤보도 있다.
- 스텝 선택시 캐릭터의 일반 걷기 속도가 1.3배 빨라진다. 원체 빠른 캐러인 베니마루, 최번개 등은 스텝을 고르면 이게 걷는 건지 달리는 건지 알 수 없다.
- 프론트 스텝 중에는 공중 특수기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무한나락의 종말
- 퀵 MAX발동이 생겼는데 사실은 KOF 95에 있던 버그를 정식 시스템으로 채용한 것이다. 사용법은 기본기, 특수기는 물론이고 필살기 히트, 가드 중이나 심지어 자신이 가드하고 있을때 파워 업(기폭)을 하는 것, 길티기어 시리즈 로망캔슬과 비슷하다고 생각되지만 자신이 준 히트, 가드경직 프레임을 없애는 희한한 시스템으로 아주 짧은 시간동안 더 월드를 시전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처음에는 뭔가 대단한 콤보가 나올 것만 같았지만 결국은 극히 상식적인 범위 안에서의 콤보의 확장이었다. 그래도 이걸 막혔을 때 사용하면 딜레이캐치에 혼란을 줄 수 있을 뿐더러 중단특수기에서 발동하여 콤보를 넣을 수 있는 캐릭터에게는 엄청난 발전이다. ABC캔슬이라는 공식 스킬의 발견으로 연속기 만큼은 어드벤스드 모드보다 훨씬 우월하다는 평, 이걸 사용하면 팔주배를 연속기에 넣을 수 있을 정도다.
- 순서가 뒤로 갈수록 기게이지 모으는 양이 짧아졌던 기존과는 달리 이번에는 기게이지 모으는 양이 순서에 상관 없이 모두 같은 대신 체력이 점멸해 기 게이지 없이 초필살기를 쓸 수 있는 시점이 순서가 뒤로 갈 수록 빨라진다. 첫번째 캐릭터는 대략 1/4 정도 남은 시점에서, 두번째 캐러는 1/3, 세번째 캐릭터는 2/5 정도. 대신 한 번 초필살기를 쓰면 일정 시간동안 점멸이 사라져 초필살기를 난사할 수는 없다.
- 잡기 풀기가 가능해졌다.
하지만 위의 얘기는 한국의 얘기고 중국, 일본에서는 아직도 나름대로 인기가 있어서 게임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왔고 현재 시점에서는 엑스트라 모드(정확히는 엑스트라 게이지)의 압승이다. 이유는 여러 가지 있는데
- 니가와에 유리한 게임
- 초필살기 상향
- 퀵 MAX의 활용
- 가드캔슬 CD의 약화
- 강캐릭터와의 궁합
하지만 스텝에 특화된 캐릭터가 몇 있어서 가끔 나오기도 한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스텝모드 브라이언 배틀러인데 대쉬모드보다 수십배는 강해진 것 같은 모습을 보여주며 특히 스텝 스크류 보디 프레스는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충공그깽, 전체적으로 대공기가 강화된 UM이지만 캐릭터 자체가 좋아졌다 보니 함부로 대공을 때릴 수도 없다. 또한 볼프강 크라우저도 전방 스텝 성능이 탑클래스라 스텝-커맨드잡기 기습패턴이 무시무시한데다가 1.3배 보정을 받은 일반 걷기 속도도 대쉬랑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빠르다. 특히 걷기 속도가 빠른 캐릭터는 상대의 늦게 발동하는 커맨드 잡기(설풍 등)를 뒤로 걸어서 피하는 등의 어처구니를 보여주기도 하며, 스텝의 성능이 좋거나 지상 압박능력이 좋은 캐릭터는 96, 97의 귀보와 같이 그 거리에선 대시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흔치않게 쓰기도 한다.
2010년 이후, 각종 대회에서 대세가 되어 있는 모드는 순수 엑스트라 모드. 엑스트라 게이지의 다채로운 퀵 맥스 활용법은 물론이거니와 제자리회피는 엑스트라 게이지와 최강의 궁합을 자랑한다. 스텝 모드도 아무래도 짧은 거리에서는 대시보다 더 빠르고, 뒤로도 빨리 갈 수 있으며, 걷기에는 대쉬와 같은 딜레이가 없어서 거리조절에 용이한 것이 이유인 듯.
콘솔판은 버그로 인해 CPU 난이도가 어떻게 조정하든 1스테이지는 무조건 최고 난이도 설정이다. 그러나 이후에는 조정한 난이도 그대로. 단, 네오지오 모드에서 난이도를 조정하면 이게 본편에도 적용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첫 스테이지에도 함께 조정이 된다.
3. 밸런스 ¶
- 같이 보기 : 사기 캐릭터/KOF 98 UM
밸런스 조정 방향은 데미지와 스턴치 감소, 방어력, 가드캔슬 CD평준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캐들의 너프 및 일부강캐들의 미묘한 변화로 축약할 수 있다.
초필살기의 데미지가 약해졌다는 평이 있었고 특히 카운터데미지는 전작에 비하면 눈물나게 약해졌다. 카운터 히트 두방에[2] 반피를 날렸던 친의 굉난염포, 아테나의 샤이닝 크리스탈 비트, 철구대압살의 카운터데미지가 눈물나게 적게 변해버렸다. RB빌리의 밥줄이었던 참새떨구기 카운터 2히트 데미지도 대폭 하락했고 전북익산의천지패황권 카운터 데미지도 반피가 아니라 일반 초필살기보다 약간 더 강하게 변했다. 다만 이쪽은 통상히트 데미지가 강해져서 망정. 패왕상후권, 참철파 등의 왕장풍을 강제로 카운터 2히트 시키는 버그데미지도 대폭 하락했다. 예외로 MAX갤럭티카 팬텀은 카운터 히트시 여전히 즉사지만 이쪽은 통상 히트 데미지도 90%에 달하게 수정되어서 별 상관없다.
가드캔슬 CD도 평준화를 시켰는데 판정이 너무 높아서 지상에서 앉아있으면 다 피해졌던 치즈루, 하이데른, 루갈 등의 가캔의 모션을 변화시킴으로써 수정했고 지나치게 좋았던 고로와 최번개 등은 발동속도와 딜레이가 하향. 그런데 머리를 노림으로써 피할 수 있는 랄프와 클락의 가캔과 역시나 앉으면 피해지는 크리스 가캔은 조정이 안 되어있다. 또한 전캐릭터의 CD조정와중에 앤디 보가드만이 기존 98의 성능을 유지한다.
98에선 존재 의미를 알 수 없던 여러 초필살기가 아예 특성이 바뀌거나 적어도 콤보에는 들어가게 되는 식으로 어떻게든 써먹을 여지를 만들었다.
98에선 너무나도 약해서 형식상으로만 존재하는거나 마찬가지였던 일부 클래식 계통의 캐릭터들에게 일반 필살기나 초필살기를 추가해서 나름 개성을 부여해주고 성능 또한 충분히 써먹을만한 수준으로 대폭 상향해주었다. 특히 클래식 앤디, 클래식 유리, 클래식 죠, 클래식 빌리가 대폭 상향을 받았다. 반면 이전에도 쓸만한 캐릭터였던 클래식 쿄나 클래식 료는 조금 너프된 편.그외 클래식 마이,로버트도 어느정도 상향됐다. 전작에서 단연 최약팀으로 꼽히던 미국팀은 팀원 전원이 A-S급의 강캐로 대폭 버프를 받았고 브라이언 등은 그 단순함과 반비례하는 강력함으로 명성을 떨칠 정도였다.
A급 캐러들은 98에서 지나치게 강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선 칼질이 들어왔다. 예를 들어 쿄의 레드킥에 이은 나락후 스턴이나 환상적인 근접 C의 인식범위. 쿄 유저들은 쿄의 화끈함이 사라졌다고 불평하지만 사실 이게 비정상인거다. 어쨌든 무작정 칼질만 한게 아니라 나름 이것저것 손질을 해주어서 대부분 여전히 A급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최상급 클래스에 위치하던 이치고크도 칼날이 들어왔지만 무작정 쓰레기로 만든게 아니고 나름 적당한 수준에서 써먹을 수 있다. 그나마 고로가 두상치기등을 포함해 가장 칼질을 많이 먹었지만 여전히 A~B급이며, 이오리는 비록 칼질은 많이 먹었지만 강화된 점도 있고 렉빨을 입은 백합덕분에 여전히 최강이다. 다만 너프를 꽤 먹은 건 확실하며 렉에 의한 백합을 제외하면 크라우저와 같은 최강급이라 보기엔 좀 힘들다는게 중론이다.또한 이오리는 어드밴스 게이지 빼면 궁합이 시망일뿐더러 이골난 사람이 많다. 치즈루는 초반에는 지나치게 평가절하됐지만 실제로는 아직은 쓸만하다는 게 밝혀졌고, 크리스 시리즈는 비록 마법의 점프 CD와 슬라이딩이 약해졌지만 안 그래도 넓은 점프 D 역가드 판정이 더 넓어졌으며 특히 각성크리스는 98에서 누구나 꿈꾸던 MAX 대사치의 콤보 연결이 드디어 실현되었고 약 달을 떼어내는 화염이 드디어 완전무적대공기가 되어 어떤 의미로 더 좋아졌다!
그러나 전작에서도 평캐 정도였던 노멀/클래식 테리나 아테나, 친 겐사이는 다른 클래식 캐릭이나 약캐들이 받은 버프들을 전혀 받지 못한다. 신초필도 생기긴 했지만 활용도는 저조하고 되려 일부 너프까지 받아 완전히 추락해버렸다. 특히 클래식 테리는 대부분의 클래식 캐릭터들이 날아다니는 판에 혼자 클래식 빌리와 함께 하위권이라 더 슬퍼졌다.
장거한은 일반적으로 퍼진 생각과는 다르게 점프 CD가 쓰레기가 되긴 했지만 다른 기본기가 여전히 쓸만하고 철구대압살이 무조건 2히트가 나게 돼서 무적대공기로 부담없이 쓸 수 있게 돼서 여전히 쓸만하지만 이 게임 특성상 장풍니가와가 워낙 좋은 판국이라 본래 성능보다 지나치게 평가절하된 부분이 있다.
장거한은 일반적으로 퍼진 생각과는 다르게 점프 CD가 쓰레기가 되긴 했지만 다른 기본기가 여전히 쓸만하고 철구대압살이 무조건 2히트가 나게 돼서 무적대공기로 부담없이 쓸 수 있게 돼서 여전히 쓸만하지만 이 게임 특성상 장풍니가와가 워낙 좋은 판국이라 본래 성능보다 지나치게 평가절하된 부분이 있다.
개캐로는 볼프강 크라우저가 독보적인 위치에 있으며, 에이지와 이오리 등이 뒤를 잇는다. 하지만 일부 최약캐와 최강캐 외의 중도층이 상당히 두텁다. A급 이상으로 평가받으며 자주 선택되는 캐러들만도 대충 손꼽아도 10명이 가뿐히 넘는다. 최약캐인 테리나 아테나, 빌리 칸, 친 겐사이, 장거한 같은 캐러들만 하지 않으면 어느 캐러들로도 충분히 파볼만하기에 해외에선 여전히 나름의 인기가 있다.
4. 그래픽 ¶
기본적으로 존재하던 A,B,C,D 이외에 AB, CD, BC, AD컬러가 추가되었다. 특히 AB컬러는 유저들을 대상으로 앙케이트 조사까지 하여 재미있는 컬러가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루갈의 AB컬러는 오메가 루갈 컬러이며, 반대로 각성 크리스와 한밤에 오로치의 피에 눈뜬 레오나의 AB컬러는 노멀 크리스, 노멀 레오나 컬러이다. 또한 매츄어와 바이스, 노멀 야시로와 각성 야시로, 클락과 랄프는 서로의 컬러를 맞바꾸기도 한다. 상, 하반신은 그대로지만 클락의 모자가 빨간색이 된다든지-선글라스는 그대로다-, 랄프의 두건이 파란색이 되는 식. 장거한과 로버트 가르시아 같이 94~95시절과 비슷한 컬러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AD로 노멀 이오리 컬러를 선택할 수 있는 달밤에 오로치의 피에 미친 이오리나 AB로 95시절의 2P컬러(보라색 바지, 갈색 피부, 백발), BC로 노멀 루갈 컬러를 선택할 수 있는 오메가 루갈같은 캐릭터도 있다. 이 컬러들은 엄연히 정식컬러이므로 게임내 각종 일러스트에 그대로 반영된다. 컬러에디트로 마음대로 만드는것도 가능하기는 하나 승리 일러스트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KOF 98 UM 캐릭터 컬러
원작인 KOF 98의 최대 흥행지역이 중화권이라 그런지 새로 추가된 배경의 대부분이 중국으로 본래 있었던 구이린을 제외하고도 3곳이나 추가되었고, 홍콩과 대만까지 배경으로 추가되어 중화권 배경만 무려 6곳이다. 나머지 하나는 사우디아라비아.
본작 히든 캐릭터의 캐릭터 셀렉트 스프라이트와 오더 셀렉트 스프라이트는 더 킹 오브 파이터즈 드림 매치 1999를 비롯한 98의 콘솔 이식작들의 스프라이트를 쓰지 않고 새로 그린 것이다.
5. 사운드 ¶
히든 캐릭터용 BGM이나 효과음 등도 다수 추가되었으며, 신경쓴 사항이 많다. 예를 들자면 클래식 쿠사나기 쿄의 타격음 전반이 95시절의 것.
설정에서 OST와 AST를 선택할 수 있는데 AST로 선택시 분명 끊임없이 루핑이 가능한 ADX 포맷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대부분 그냥 페이드아웃으로 대충 마무리해놓은 음악이 반복된다. 이렇게 병맛나는 AST가 되어버린데는 3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번째는 애초에 끊임없이 루핑을 염두에 두지 않고 만들어둔 AST를 그대로 사용해서,[3] 두번째는 당시 음악을 제작했던 이들이 거의 다 회사를 떠난 상태여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개중에 과거 미디가 덜 발전했던 시절 완전 생연주로 제작된 곡들도 있기 때문에 임의로 루핑을 위해 끊어줄 포인트를 찾기가 여의찮았기 때문. 덕분에 대전의 흐름을 잡아먹는 감이 꽤 만만찮으니 그냥 OST를 추천한다. 또한 AST로 설정시 RB2 마이 배경음악으로 뜬금없이 모치즈키 소카쿠의 아랑전설 3 테마곡인 타쿠하츠락이 흘러나온다. 처음에는 보컬을 맡은 성우에 대한 라이센스 관계로 안 나온 것이라 판단되었는데 이에 대해 SNK 플레이모어에 문의했더니 죄송합니다라는 답변이 돌아왔다는 걸로 미뤄볼 때 선곡을 잘못한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로 AST 선택시 유일하게 새로 리믹스한 팀&캐릭터 테마곡은 한국팀의 서울 타운.
6.2. PGM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 얼티메이트 매치 영웅'이라는 제목으로 2009년에 출시되었다. 미미하게 밸런스가 조정되었으며 버그가 수정되었다.
삼국전기, 서유전기, 데몬 프런트로 유명한 IGS의 PGM 기판을 사용한다. 덕분에 가격도 일반 98UM보다 저렴하다. 기판변경으로 인해 셋팅 화면이 조금 달라지고 데모화면에 SNKP 로고 전에 PGM2기판의 로고가 나온다던가 코인 튕기는 소리가 달라진 정도. 나머지는 기존의 98UM과 같다. 기판에서 언어 선택을 영어/중국어(일본어 없음)로 기본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보아 중화권 보급을 목표로 하는 물건으로 보인다.
7.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 얼티메이트 매치 파이널 에디션 ¶
98UM 영웅 이상으로 대대적인 밸런스 조정을 거친 버전.
원톱 개캐 크라우저만 일방적인 하향을 당한 가운데 전 캐릭터가 상향되었다. 문제는 전작에서 최약캐였던 장거한, 아테나, 친 겐사이, 테리, 빌리는 이상한 방향으로 상향되어 별로 신세가 나아지지 않았다. 거기다 기존의 개캐였던 에이지와 야가미 이오리는 너프는 커녕 상향되고, 크라우저는 하향 먹어도 A급이다. 이렇듯 안타까운 점도 여전히 많지만 그래도 쓸만한 캐러가 더욱 늘어났다는 사실은 긍정적이다.
7.2. QQ ¶
리그 오브 레전드의 라이엇을 인수한 것으로 유명한 중국의 텐센트에서 SNK와 정식 계약을 맺고 PC로 이식하여 QQgames를 통해 서비스한다. 현실적으로 네시카 라이브 도입은 무리라 FE가 그림의 떡이었던 한국과 중화권에서는 야 신난다를 외치며 FE를 플레이하기 시작했다.
오락실과 비슷한 코인제로 운영되며 하루에 무료코인을 5개씩 준다. 승리하면 추가 코인소모없이 계속 게임을 즐길 수 있으나 지기 시작하면 눈녹듯이 사라진다. 코인은 현금결제로 그리 비싸지 않게 구입할 수 있고 이벤트로도 더 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은 변수는 있지만 기존 SNK의 온라인 서비스에 비해서는 상당히 좋은편. 아니면 귀찮더라도 휴대폰 인증만 하면 아이디 생성이 무제한이기 때문에 별 상관없다. 보통 중국유저들도 대부분 이런 식으로 하고 있다.
이식 완성도는 그리 좋지 못한 편으로 게임 자체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대전 외적인 그래픽과 사운드에서 미완성된 흔적이 많이보인다. 특히 다이몬 고로는 걷는 소리가 나막신 따닥따닥 소리라는 게 압권.
쿄를 제외한 클래식 캐릭터가 전부 잠겨있고 게임을 통해 받는 포인트(승리시 10p, 패배시 2p)가 일정량 쌓여야 해금되는 방식인데 해금에 필요한 포인트가 무지막지하다. 가장 낮은 클래식 죠는 50p만 모아도 해금할수 있으나 각성 크리스는 9000p, 클래식 유리는 12000p, RB마리는 18000p이고 각야는 25000p, RB기스는 50000점이나 되어서 사실상 현질 유도에 가까운 셈. RB기스는 계속 이긴다고 쳐도 최소 5000전을 해야한다. 96 보스팀 역시 처음엔 사용할 수 없고 플레이 횟수가 50회가 넘어야 해금된다.
7.3. 스팀 ¶
2014년 12월 17일에 출시되었다. QQ와 같은 98UM 파이널 에디션의 PC 이식. 2014년 11월 중 발매 예정이었지만 연기되었고 11월 말에 예약 발매 시작하였지만 12월 12일에 퀄리티 향상드립을 치며 12월 17일로 또 연기되었다. 마침내 12월 17일에 스팀으로 발매돼서 98UM을 정식으로 PC로 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스팀판에 대한 평은 그리 좋지 못한 편인데, PS2판에 기반한 이식을 기대했던 유저들의 기대와는 다르게 PC로의 이식이 용이한 XBLA판을 이식해 갤러리 모드, AST, 컬러 에디트등의 특전이 몽탕 잘려나간 반토막짜리 게임이 나와버렸기 때문.
이식업체인 Code Mystics가 유저들의 요구사항을 수용해서 계속 패치를 하고 있다. 한때 막장이었던 키렉 문제도 현재는 해결된 상태. 다만 스팀판을 사는 유저들은 대부분 친구 초대해서 하는 사람들이 많은지라 온라인 가면 사람이 없다...
2015년 4월 4일, 지금까지 스팀으로 출시되었던 KOF인 XIII, 98UM FE, 02UM을 하나로 묶은 트리플 팩 판매가 개시되었다. 가격은 34.99달러(정상가 60달러). 기간 한정도 아닌 고정 상품으로 등록되었다!
8.1. 참전 캐릭터 ¶
일본 팀 | 쿠사나기 쿄 | 니카이도 베니마루 | 다이몬 고로 |
아랑전설 팀 | 테리 보가드 | 앤디 보가드 | 죠 히가시 |
용호의 권 팀 | 료 사카자키 | 로버트 가르시아 | 유리 사카자키 |
이카리 팀 | 레오나 하이데른 | 랄프 존스 | 클락 스틸 |
사이코 솔저 팀 | 아사미야 아테나 | 시이 켄수 | 친 겐사이 |
여성 격투가 팀 | 카구라 치즈루 | 시라누이 마이 | 킹 |
한국 팀 | 김갑환 | 장거한 | 최번개 |
오로치 팀 | 나나카세 야시로 | 셸미 | 크리스 |
'97 스페셜 팀 | 야마자키 류지 | 블루 마리 | 빌리 칸 |
야가미 팀 | 야가미 이오리 | 매츄어 | 바이스 |
마스터 팀 | 하이데른 | 타쿠마 사카자키 | 쿠사나기 사이슈 |
아메리칸 스포츠 팀 | 헤비 D! | 럭키 글로버 | 브라이언 배틀러 |
에디트 캐릭터 | 키사라기 에이지 | 토도 카스미 | 야부키 신고 |
루갈 번스타인 | |||
'96 보스 팀 | 기스 하워드 | 볼프강 크라우저 | 미스터 빅 |
히든 캐릭터 | KOF 95 쿄, RB2 테리, RB2 앤디, KOF 94 죠 AOF2 료, AOF2 로버트, AOF2 유리, RB2 마이, AOF2 킹 RB2 야마자키, RB2 마리, RB2 빌리, RB2 기스 | ||
각성 오로치 팀 | 메마른 대지의 야시로 | 미쳐 날뛰는 번개의 셸미 | 불꽃의 운명의 크리스 |
CPU 전용 캐릭터 | 한밤에 오로치의 피에 눈뜬 레오나 달밤에 오로치의 피에 미친 이오리 | ||
보스 캐릭터 | 게닛츠 | 오로치 | 오메가 루갈 |
참전 캐릭터 수가 무려 64명으로 마블 VS 캡콤 2의 최다 캐릭터 기록 56명의 기록을 경신했다. 이 기록은 KOF 2002 UM에서 다시 갱신된다.
8.2. 히든 캐릭터 선택법 ¶
98과 마찬가지로 히든 버전이 존재하는 캐릭터에 커서를 두고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된다. 선택시 일부 일러스트가 변하며, 이름이 붉게 표기된다. 오메가 루갈은 98UM 콘솔판에서는 처음부터 다른 히든 캐릭터처럼 선택이 가능하다. 특이하게도 메뉴얼에서 보스가 아닌 히든 캐릭터로 분류되어 있다.
9.1. 스테이지 4 ¶
스테이지 1~3에서의 플레이 결과에 따라 한 명의 캐릭터가 난입한다.
- 신고 - 초필살기 피니시 0~2회
- 카스미 / 에이지 - 초필살기 피니시 3~5회 또는 6회 이상 피니시 하였으나 스테이지 1부터 3까지 한 라운드라도 CPU에게 패했을 경우, 즉 첫번째로 내보낸 캐릭터가 한번이라도 깨지면 된다.
- 루갈 / 폭주 이오리 / 폭주 레오나 - 스테이지 1부터 3까지 전부 스트레이트(첫번째 출전 캐릭터로 상대 3명을 모두 쓰러뜨린다) + 초필살기 피니시 6회이상. 참고로 공식적으로 공개된 루갈과 폭주캐릭터의 난입조건은 전부 동일하게 초필살기 피니쉬 6회 이상이며, 셋중 랜덤으로 1명이 난입한다. 폭주 캐릭터의 조건을 7회 이상으로 기재되는 경우가 있으나 낭설이다.
조건상 루갈, 폭주 이오리, 폭주 레오나 난입 달성시 최종보스는 오로치로 확정된다.
9.2. 스테이지 6 ¶
스테이지 1~5에서의 플레이 결과에 따라 한 팀과 맞붙게 된다. 98이 그랬듯 스테이지 6은 중간보스전으로 분류되어 CPU의 체력이 1.5배다.
야가미 팀 / 마스터 팀 / 아메리칸 스포츠 팀 - 초필살기 피니시 0~2회. 보스는 오메가 루갈.
'96 보스 팀 - 초필살기 피니시 3~5회. 보스는 게닛츠.
각성 오로치 팀 - 초필살기 피니시 6회 이상. 보스는 오로치.
'96 보스 팀 - 초필살기 피니시 3~5회. 보스는 게닛츠.
각성 오로치 팀 - 초필살기 피니시 6회 이상. 보스는 오로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