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선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 1975년 2월 1일 역 종류 및 등급 : 보통역(3급) | ||||
영 주 방면 백 산 1.8km | ← | 동백산 | → | 강 릉 방면 솔 안 10.0km | |
태백삼각선분기 | |||||
문 곡 방면 문 곡 5.8km | ← | 동백산 | 시종착역 | ||
영동선 무궁화호 | 무궁화호 영업 개시일: 1984년 1월 1일 | ||||
정동진 방면 도 계 18.2km | ← | 동백산 | → | 부 전 방면 철 암 6.1km | |
→ | 동대구 방면 철 암 6.1km | ||||
태백선 무궁화호 | |||||
청량리 방면 태 백 4.3km | ← | 동백산 | → | 정동진 방면 도 계 18.2km |
이 역과 도계역 사이에 통리역, 심포리역, 흥전역, 나한정역이 있었으나 모두 폐역되었다. |
東栢山驛 / Dongbaeksan Station
옛 동백산역

[JPG image (113.86 KB)]
현 동백산역사
영동선과 태백삼각선이 만나는 철도역. 강원도 태백시 동태백로 984 (舊 통동 163-5번지)에 위치해 있다. 다만 태백삼각선은 정식 명칭은 아니고 태백삼각선분기로 되어 있다. 북영주역의 북영주삼각선과 같은 방법으로 태백선과 영동선에 제각기 동백산역이 있었는데, 영동선측 동백산역이 여객역이 되면서 태백선측의 역이 삭제되었다.
이 역과 도계역을 잇는 솔안터널은 대한민국에서 철도 터널로는 두 번째로 긴 터널이다. 솔안터널은 역 구내에 솔안역을 갖추고 있다. 철도터널 중 제일 긴 터널은 경부고속선 금정터널(20Km).
2012년 6월 27일 솔안터널이 개통되어, 통리역이 맡던 여객업무와 화물업무를 모두 승계하였다. 여객열차는 통리역에서 동백산역으로 넘어오면서 주말 새벽 부산발 강릉행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는 점만 빼면 완전히 동일. 그리고 신역사로 유리궁전(?!)[1]이 지어졌다. 따라서 통리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도 승계받았다. 경춘선 상봉역처럼 새로운 스탬프를 제작할 지는 불명. 또한 요즘 지어지는 역[2]의 필수요소인 수도권전철식 열차진입음[3]은 덤. 그 빵빠레와 실로폰을 여기서들으면 기분이 묘하다.
----
- [1] 유리궁전이라기엔 좀 부족하다. 유리는 아니고 돌궁전 정도? 뭔가 폼나는 갈색마감도 콘크리트위에 붙여놓은 장식일뿐. 물론 요즘 역답게 유리가 많은건 사실이지만 골조위에 유리를 발라만드는 유리궁전은 아니기때문에...
- [2] 이설된 역도포함. 해운대역(동해남부선)이나 송정역(부산)의 신역사등등.
- [3] 이와같이 광역전철이 운행하지 않거나 운행예정인경우에도 짤없이 이 진입음이 들어가게된다. 기존역에 광역전철이 들어가게될 경우에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