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항목 : 포켓몬스터/목록/5세대
537 두빅굴
이름 | 도감 번호 | 성비 | 타입 | ||
한국어 | 일본어 | 영어 | |||
동챙이 | オタマロ | Tympole | 전국 : 535 하나 : 043 | 수컷: 50% 암컷: 50% | 물 |
두까비 | ガマガル | Palpitoad | 전국 : 536 하나 : 044 | 물 땅 | |
두빅굴 | ガマゲロゲ | Seismitoad | 전국 : 537 하나 : 045 |
특성(숨겨진 특성은 *) | ||
(공통) | 쓱쓱 | 비가 내릴 때 스피드가 2배가 된다. |
*저수 | 물 타입 기술에 맞을 시 전체 체력의 1/4를 회복한다. | |
동챙이 두까비 | 촉촉바디 | 비 내리는 날씨일 때 턴 종료시 모든 상태이상을 회복한다. |
두빅굴 | 독수 | 접촉시 상대방을 중독시킬 수 있다.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알 그룹 |
535 동챙이 | 올챙이 포켓몬 | 0.5m | 4.5kg | 수중 1 |
536 두까비 | 진동 포켓몬 | 0.8m | 17.0kg | |
537 두빅굴 | 1.5m | 62.0kg |
진화 | 535 동챙이 | 레벨 25 → | 536 두까비 | 레벨 36 → | 537 두빅굴 |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4배 | 1배 | 0.5배 | 0배 |
풀 | 격투 고스트 노말 드래곤 땅 물 벌레 비행 악 얼음 에스퍼 페어리 | 강철 독 바위 불꽃 | 전기 |
종족치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535 동챙이 | 50 | 50 | 40 | 50 | 40 | 64 | 294 | |
536 두까비 | 75 | 65 | 55 | 65 | 55 | 69 | 384 | |
537 두빅굴 | 105 | 95[1] | 75 | 85 | 75 | 74 | 509 |
도감설명 | |
535 동챙이 | |
블랙 | 날카로운 경계음을 뺨의 진동으로 발생시켜 동료에게 위험을 알린다. |
화이트 | 뺨을 진동시켜서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는 음파를 낸다. 음파의 리듬으로 대화한다. |
블랙 2 | 볼의 진동막을 떨게 하여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는 음파를 내어 동료에게 위험을 전달한다. |
화이트 2 | |
536 두까비 | |
블랙 | 머리의 혹을 진동시키면 물속에 물결이 이는 것 뿐만 아니라 지면도 지진(포켓몬스터)처럼 흔들린다. |
화이트 | 수중과 지상에서 생활. 길고 끈적끈적한 혀로 먹이를 감아서 붙잡는다. |
블랙 2 | 수중과 육지에서 살며 길고 끈적이는 혀를 사용하여 상대의 움직임을 봉쇄한다. |
화이트 2 | |
537 두빅굴 | |
블랙 | 머리의 혹으로부터 신경을 마비시키는 액체를 날린다. 진동[2]으로 상대를 괴롭힌다. |
화이트 | 주먹의 혹을 진동시키면 펀치 위력이 배가 된다. 일격으로 큰 바위를 분쇄. |
블랙 2 | 혹에 힘을 싣는 것으로 바이브레이션이 발생하여 펀치의 위력이 올라간다. |
화이트 2 |
1. 상세 ¶

[PNG image (622.65 KB)]
자력으로 배우는 기술들이 대부분 특수 의존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 외에도 유전기로 대지의힘을 배우며 풀묶기, 기합구슬을 비롯해 다타입 견제가 가능한 썩 나쁘지 않은 기술폭을 자랑한다. 보조기로는 아쿠아링 정도.
특수형의 경우 자속기로는 파도타기, 하이드로펌프, 열탕, 대지의힘이 있고 서브웨폰으로는 풀묶기, 오물폭탄, 오물웨이브, 기합구슬 등을 택할 수 있다. 냉동빔을 쓰지 못하므로 풀 포켓몬을 상대하려면 독 기술에 의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동족을 풀묶기로 잡을 수 있다는 점은 메리트.
물리형으로 간다면 자력으로 배우는 드레인펀치가 있고 기술머신으로 지진, 깨트리다와 스톤샤워 등을 배울 수 있으나 결정적으로 폭포오르기라든지 아쿠아테일을 배울 수 없어 자속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지진을 사용하더라도 쌍두형에 가까운 형태로 운용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BW2에서는 냉동펀치도 NPC한테서 배울 수 있기 때문에 독 기술을 쓰지 않고도 풀 포켓몬을 상대 할 수 있다.
두빅굴의 가장 큰 차별화 요소는 물/땅 타입 중 가장 빠른 스피드 종족치+쓱쓱 특성에 있다. 비가 내릴 경우에는 스피드 무보정에 노력치를 별로 투자하지 않아도 130족이나 웬만한 스카프 포켓몬을 추월할 수 있으므로 고속 스위퍼로서 운용이 가능하다. 여타 쓱쓱 특성의 강호들과는 타입 내성/기술폭/쌍두형 운용 등으로 차별화를 고려하자. 6세대에서 공격 종족값이 10 올라 더 쓰기 좋아졌다. 특수기의 하향으로 인해 특수형이 몰락하면서 물리형의 평가가 많이 좋아졌기 때문이다. 비록 물 타입 물리기를 배울 수가 없는 건 아쉽지만 어차피 배워봤자 약점 폭도 겹치니 그걸로는 충분하다.
애니에선 지우의 신규 멤버로 동챙이 무리의 리더였던 두까비가 영입되었다.
2. 포켓몬스터 TCG ¶
![]() [JPG image (88.94 KB)] | ![]() [JPG image (83.33 KB)] | ||||
RR | SR | ||||
한글판 명칭 | 두빅굴 EX | ||||
영어판 명칭 | Seismitoad EX | ||||
일어판 명칭 | ガマゲロゲ | ||||
수록 블록, 팩 | XY - XY3 라이징 피스트 | ||||
카드의 종류 | 포켓몬 - 기본 포켓몬 | ||||
HP | 속성 | 레어도 | |||
180 | 물 | RR, SR | |||
약점 | 저항 | 후퇴비용 | |||
풀 | - | 3 | |||
분류 | 이름 | 코스트 | 데미지 | 효과 | |
기술 | 벌벌펀치 | 무무 | 30 | 상대의 다음 차례에 상대는 패에서 아이템을 꺼내서 사용할 수 없다. | |
기술 | 그레네이드 해머 | 수수무 | 130 | 자신의 벤치 포켓몬을 2마리 선택해서 그 포켓몬에게도 각각 30데미지를 준다. (벤치는 약점, 저항력 계산을 하지 않는다.) |
2진화 포켓몬의 대재앙
1기술 벌벌펀치로 후공 1턴째부터 아이템 락을 걸어버릴 수 있는 흉악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 BW에도 기술로 아이템 락을 걸 수 있는 제브라이카가 있었지만, 1진화 포켓몬에 에너지도 2개 필요하고 체력도 낮았던 제브라이카와는 달리 두빅굴EX는 HP 180의 기본 포켓몬이면서 더블 무색 에너지 하나만 달고도 바로 아이템 락을 걸어버릴 수 있기 떄문에 성능 면에서 차원이 다르다.
초반부에 쓸만한 어태커가 없고, 벤치 전개와 진화를 아이템(이상한사탕)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2진화 덱 상대론 혼자서 게임을 날로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치명적인 카드다. 때문에 2진화는 정말 강력한 카드, 혹은 세우지 못해도 크게 타격이 없는 서포트계 카드만 살아남았고, 기존에 4-2-4테크와 이상한사탕을 병행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4-3-3이나 3-2-2같은 순차진화 테크를 채용하고 있다. XY2까진 그럭저럭 괜찮은 성적을 보여주던 엠페르트 덱이 환경에서 소멸한 직접적인 원인. 그나마 1진화를 많이 채용해 이상한사탕 사용불가에 큰 타격이 없고 서치를 몬스터볼류 아이템이 아닌 특성에 의존하던 한카리아스덱 정도가 살아남았다.
굳이 2진화덱 상대가 아니더라도 아이템 락은 충분히 강력하기 때문에, 더블 무색 에너지를 사용하는 덱이라면 거의 무조건 1~2장씩 채용된다. 아예 두빅굴EX를 4장씩 넣고 벌벌펀치로 계속 락만 거는 덱까지 나올 정도로 강력한 카드.
단점이라면 XY4 시점에서의 탑메타인 비리게노 상대로 취약하다는 점. 그리고 이벨타르EX 상대로도 그렇게 강력하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