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개 등을 끓이거나 담을 때 사용하는 오지그릇이다.
여기서 오지그릇이란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밀린 뒤 오짓물[1]을 입혀 구운 그릇을 말한다. 뚝배기의 겉이 거무스름한 색인데 오짓물을 바르지 않은 부분이 붉은색인 건 이 때문이다.
빨리 끓고 빨리 식는 금속제 냄비와는 달리 열 전도율이 낮은 재질의 특성과 열에 버텨야하는 그릇의 목적 상 두께가 금속제 그릇보다 상당히 두꺼운데, 이러한 특징이 합쳐져서 끓는 속도가 느리지만 식는 속도도 역시 느리다. 이러한 뚝배기의 특성에 맞춰 국물이 있는 요리를 해 먹을 수 있고 데워진 음식을 담아둬도 그 온기가 오래간다.
같은 오지그릇이라고 해도 지역마다 특색이 있어 중부지방의 뚝배기는 주둥이보다 배부분이 약간 가늘고 측면이 직선으로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주변의 뚝배기 음식점에서 받침대에 나오는 뚝배기는 보통 이런 식.
1990년대 말~ 2000년대 초부터 뚝배기에 담아내는 요리 앞에 뚝배기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이는 원래 뚝배기에 요리하지 않던 요리를 뚝배기에서 조리해 담아내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2]
주의사항이 있다면 설거지를 할 때 세제를 쓰면 안된다. 흙으로 만든 그릇 특성 상 미세한 구멍들이 많이 있는데 그 틈으로 세제가 들어갔다 나중에 물을 넣어서 끓이면 다시 배어나온다. 즉, 국물요리에 세제가 섞인다는 말이니 설거지를 할 때 쌀뜨물을 쓰거나 밀가루로 설거지를 하는 것이 좋다. 처음 사용할 때 식용유를 조금 발라두면 오래오래 깨끗하게 쓸 수 있다고 한다.
둥지쌀국수 뚝배기 CF가 '한뚝배기 하실래예'라는 대사로 인기를 끌면서 어느새 둥지쌀국수 뚝배기의 아이덴티티가 되었다. 포털 사이트에서 뚝배기라고 검색하면 쌀국수 뚝배기가 연관검색어로 나올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