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older revisions available
No older revisions available
1. 리모트 컨트롤러 ¶
이름 자체가 원격 조정이라는 의미이며 이름 그대로 기계를 멀리서 원격으로 조종할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리모콘의 종류에는 TV 리모콘, 선풍기 리모콘, 오디오 리모콘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종류가 아주 다양하다. 적외선 방식이 구조가 간단하고 단가가 싸서 가장 많이 쓰이는데 이러한 것들을 동작할 수 있는 본체와 컨트롤러 사이의 조건은 어느 정도 한정되며, 원격 조정할 수 있는 동작도 기종에 따라서 다르므로 확인이 필요하다고 한다.
우리가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가전제품용이지만, 산업용 제품들도 있다. 크레인을 원거리에서 조작하는 리모콘이라든지.
또한 리모콘은 유선과 무선을 불문한다. 가전제품용은 대부분 무선리모콘이지만, 산업용은 유선리모콘도 많다. 무선보다 데이터 전송이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가전제품용 무선리모콘은 요즘은 대부분 적외선 방식을 쓰고 있지만, 예전에 쓰던 리모콘이나 산업용의 경우 초음파 방식이나 전파(RF)를 쓰는 방식도 있다.
또한 리모콘은 유선과 무선을 불문한다. 가전제품용은 대부분 무선리모콘이지만, 산업용은 유선리모콘도 많다. 무선보다 데이터 전송이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가전제품용 무선리모콘은 요즘은 대부분 적외선 방식을 쓰고 있지만, 예전에 쓰던 리모콘이나 산업용의 경우 초음파 방식이나 전파(RF)를 쓰는 방식도 있다.
영어권에선 리모콘이라고 하지않고, 그냥 리모트(Remote)라고 부른다.
그리고 위장 및 숨바꼭질의 달인으로 불린다. 사실 아무렇게나 쓰고 던저놓다가 소파 구석이나 방석 아래 같은 후미진 곳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듯. 사용 후엔 수납함 같은 정해진 장소에 보관해 놓는 습관을 들여보자. 이게 국내외를 떠나 많은 나라들에서 똑같은지 해외에선 리모콘을 찾는 발명품까지 나왔다. 리모콘에 초소형 음향기를 설치하고 안 보이면 별도로 준비한 장치를 작동시키게 하면 소리가 나게 한다. 그거 잃어버리면? 음향기 찾는 음향기 만들면 되지! 그냥 벽에 박아놔라
TV용 리모콘의 경우 구조가 단순해서, 어지간한 충격으로는 고장날 일이 없다. 또한 호환성도 우수해 같은 회사 제품이라면 20여년 전에 쓰던 TV 리모콘으로도 이후에 나온 TV를 조작할 수 있다. 물론 오래 전에 나온 리모콘으로는 그야말로 기본적인 조작만 할 수 있겠지만.[2]
적외선 센서가 달린 일부 피쳐폰에도 리모콘 기능이 달려 있으며 2012년 후반기-2013년부터 나오는 스마트폰에도 리모콘 기능이 다시 생기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