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NG image (485 Bytes)]
이름 | 도감 번호 | 성비 | 타입 | ||
한국어 | 일본어 | 영어 | |||
마그마번 | ブーバーン | Magmortar | 전국 : 467 신오 : 202 | 수컷 : 75% 암컷 : 25% | 불꽃 |
특성(5세대 PDW 특성은 *) | |
불꽃몸 | 접촉판정을 한 포켓몬은 30%의 확률로 화상에 걸린다. |
*의기양양 | 잠들지 않는다.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알 그룹 |
467 마그마번 | 폭염 포켓몬 | 1.6m | 68.0kg | 인간형 |
진화 | 레벨 30 | 마그마부스터[1]를 지닌채 교환 | |||
240 마그비 | → | 126 마그마 | → | 467 마그마번 |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2배 | 1배 | 0.5배 |
땅 물 바위 | 격투 고스트 노말 독 드래곤 비행 악 에스퍼 전기 | 강철 벌레 불꽃 얼음 페어리 풀 |
종족치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75 | 95 | 67 | 125 | 95 | 83 | 540 |
도감설명 | |
467 마그마번 | |
다이아몬드/펄 | 팔 끝에서 섭씨 2000도의 불구슬을 발사한다. 화산의 분화구를 거처로 삼는다. |
플라티나 블랙/화이트 | 섭씨 2000도의 불구슬을 쏘아낼 때 마그마번의 몸은 열 때문에 약간 하얘진다. |
블랙2/화이트2 | 팔 끝에서 섭씨 2000도의 불구슬을 쏘아낼 때 몸은 열 때문에 약간 하얘진다. |
하트골드 소울실버 | 섭씨 2000도의 불구슬을 팔 끝에서 내보낸다. 입에서 뿜는 숨도 타오르고 있다. |
1. 상세 ¶
1세대부터 있었던 삼색 펀치 3인방 중 불꽃 타입인 마그마의, 4세대에서 새로 추가된 진화형.
관동 홍련섬 체육관장 강연은 적/녹/청/피카츄 시절엔 쓰지 않았지만 금/은/크리스탈에 와서 마그마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HG/SS 2차전에선 아예 마그마번을 히든카드로 사용한다.
신오 사천왕 대엽도 비슷하게, D/P 때는 아예 쓰지 않다가 Pt에 와서야 자신을 상징하는 포켓몬으로 채용한다.
신오 사천왕 대엽도 비슷하게, D/P 때는 아예 쓰지 않다가 Pt에 와서야 자신을 상징하는 포켓몬으로 채용한다.
FR/LG의 경우 1섬의 등불산에서 마그마가 출현하는데, 리프그린 버전에서만 5%의 확률로 출현한다.
D/P의 경우 하드 마운틴에서 리프그린 팩을 꽂으면 일정 확률로 마그비가 출현한다.
Pt의 경우 골풀무 제철소 밖에서 마그마가 출현한다.
HG/SS의 경우 불탄탑에서 마그마가 출현한다.
B/W의 경우 화이트 버전에서만 화이트 포리스트에서 출현한다.
D/P의 경우 하드 마운틴에서 리프그린 팩을 꽂으면 일정 확률로 마그비가 출현한다.
Pt의 경우 골풀무 제철소 밖에서 마그마가 출현한다.
HG/SS의 경우 불탄탑에서 마그마가 출현한다.
B/W의 경우 화이트 버전에서만 화이트 포리스트에서 출현한다.
특성은 알까기의 필수 불꽃몸. 실전에서는 걸리면 좋지만 잘 안걸려서 좋다기에는 애매한 편. 드림특성은 잠들지 않는 의기양양인데 버섯포자도 막고 불꽃몸보다는 유용해 보인다.
그리고 마그마번으로 진화시키는데에 필요한 마그마부스터가 상당히 구하기 힘든데, D/P의 경우 야생 마그비가, Pt의 경우 야생 마그마가 일정 확률로 갖고 있어서 노가다만 하면 무한정 구할 수 있지만, 이후 버전에선 불가능하다.
Pt를 포함한 이후 버전에서는 각각 특정장소에서 주울 수 있지만, 단 한 개만 주울 수 있으므로 주의.
사실 HG/SS의 경우 포켓 워커 배포 코스맵중 하나에서 다우징을 통해 무한정 구할 수 있지만... 해당 코스는 국내에서 서울, 부산의 포켓몬 스토리 단 두 곳에서만 한정적인 기간 동안 배포한다.이거 지방 사람들은 어쩌라고...뭐 하루이틀도 아니지만. 와이파이 배포를 하라고!!
6세대에선 배틀하우스에서 BP로 구매가 가능하여 다시 노가다만 하면 무한히 얻을 수 있게 되었다. OR/AS에서는 환상의 장소에 등장하는 마그비를 서치하면 낮은 확률로 들고 나온다.
Pt를 포함한 이후 버전에서는 각각 특정장소에서 주울 수 있지만, 단 한 개만 주울 수 있으므로 주의.
사실 HG/SS의 경우 포켓 워커 배포 코스맵중 하나에서 다우징을 통해 무한정 구할 수 있지만... 해당 코스는 국내에서 서울, 부산의 포켓몬 스토리 단 두 곳에서만 한정적인 기간 동안 배포한다.
6세대에선 배틀하우스에서 BP로 구매가 가능하여 다시 노가다만 하면 무한히 얻을 수 있게 되었다. OR/AS에서는 환상의 장소에 등장하는 마그비를 서치하면 낮은 확률로 들고 나온다.
폭염 포켓몬이란 타이틀에 걸맞는 외모가 특징. 왠지 무시무시해보이면서도 얼굴이 사람의 그것에 가까워졌다. 잘 보면 디디디 대왕이랑 닮았다. 괴력몬이랑 입이 똑같아!! 록맨에 나오는 보스중 하나같다
3세대까지는 진화 전인 마그마만 있었는데, 이 마그마 시절만 해도 다른 불타입과 비슷한 수준의 능력치를 지니고는 있었으나 역시 뭔가 모자랐다. 특수 어태커로서 보면 리자몽, 블레이범, 헬가보다 특공도 스피드도 모두 조금씩 낮고 내구마저도 더 낮아서 스펙만 보면 쓸 이유가 없었다. 3세대에서 특성을 얻었지만 불꽃몸 특성이 저들 대신 마그마를 쓸 이유가 되지는 못했다. 그 대신 마그마의 장점은 기술폭이 넓다는 것으로, 당시 불 타입 특수 어태커들이 넣을 만한 특수기술이 2개밖에 없었던 반면 이쪽은 불 기술 하나, 사이코키네시스, 번개펀치로 3개를 배치할 수 있었다. 물리공격도 경쟁자들보다 약간 더 좋고 특이하게도 크로스춉을 배우기 때문에 딸리는 스펙을 기술폭으로 커버하는 포켓몬이었다. 한가지 웃기는 점은 이런 주제에 3세대에서 앤테이와 함께 오버히트를 배울 수 없는 단 둘뿐인 불 포켓몬이었다는 점.
4세대에서 진화형이 생기면서 가장 큰 문제였던 스펙이 개선되었다. 전체적인 종족치 합은 무려 540이란 메이저급 수치로 상승, 게다가 그 생긴것에 걸맞게 매우 높은 특수공격력을 지니고 있다. 특공계가 판치는 불 타입 중에서도 파이어와 함께 공동 5위의 특공 보유자. 저 125란 높은 수치로 터뜨리는 오버히트는 어느 미친 샹들리에 정도는 아니더라도 매우 위협적이다. 물론 에레키블처럼 방어가 많이 약해서 지진 한 방이면 스틱스 강을 건넌다. 총합이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공격이 높아서 체력이나 스핏도 평균층이고 방어는 약하다. 분배가 아쉬운 케이스. 그래서 포켓몬은 종족값 총합 못 지않게 분배도 중요하다는 것의 예시로 활용된다.
본래 주무기로 사용하던 삼색 펀치는 물리/특수 분할로 인해 상당히 너프를 먹었지만, 대신 특수계 기술폭이 넓어졌기 때문에 루주라와는 달리 별 피해를 받지 않았다. 배우는 특수기들을 보자면 솔라빔, 사이코키네시스, 기합구슬[2]로 다타입 견제가 가능하며 심지어 번개펀치을 대신할 10만볼트까지 배우기 때문에 불꽃 포켓몬 중에서도 제대로 물 타입 견제가 가능한 몇 안되는 포켓몬이 되었다. 비자속이라고는 해도 불 포켓몬 중에서 10만 볼트급의 고위력기를 배우는 녀석은 로토무와 전설의 포켓몬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
스피드가 83으로 약간 어중간하기 때문에 스카프를 달아줘도 좋다. 또 특공에 한참 부족하지만 그래도 공격이 90대이기 때문에 물리로 갈 수 없는 것도 아니다. 특히 배북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배북 마그마번이 돋보인다. 리자몽처럼 스락에 깎이면 배북을 아예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없고 공격 역시 좀 더 높은 편. 다만 맹화까지 발동하면 얘기가 틀려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