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2000년까지 현재 마산회원구와 완전히 같은 영역으로 존속하였던 옛 명칭인 회원구로도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馬山會原區 / Masanhoewon-gu

[JPG image (138.02 KB)]
마산회원구청. 주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삼호로 63(舊 양덕동 477번지), 마산종합운동장내 올림픽기념관(여기까지 써야한다. 도로명주소만으로는 마산종합운동장이랑 헷갈리기 때문). 홈페이지
2. 역사 ¶
회원이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 것은 고려시대인 1282년 회원현(檜原縣)이라는 이름이 사용되면서부터라 한다. 합포 일대는 쿠빌라이 칸의 일본 정벌을 위한 전초 기지 역할을 했고, 합성동 지역에는 합포성이 있었다고 한다.
오랬동안 합포구 지역에 밀려나 있던 지역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마산역과 마산시외터미널이 각각 석전동과 합성동에 생기면서부터라고. 지금 합성동은 단연 마산지역 최대의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마산시의 지속적인 인구증가세로 인해 90년에 마산시가 합포구와 회원구로 분구었고, 이 중 회원구가 현 마산회원구의 전신. 그 후 마산시의 인구감소로 인해 2000년에 구제가 폐지되었으나, 2010년 마산 창원 진해가 창원시로 통합되면서 다시 회원구 지역이 마산회원구로 분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특성 ¶
봉암동에 위치한 자유무역지역과 지금의 양덕 2동 메트로시티 자리에 위치해 있던 한일합섬은 마산시를 먹여살리던 양대 밥줄이었다[1]. 허나 한일합섬은 IMF로 망하면서 공장이 철수했고 자유무역지역도 지금은 많이 쇠락한 상태. 안그래도 쇠퇴일로를 걷던 마산시에 직격탄을 날려버린 셈.
앞에서 서술한대로 합성동 지역은 창동을 밀어내고 현재 마산 지역의 최대 상권이 되어 있다. 합성동과 창동의 관계는 부산으로 따지면 서면과 남포동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보면 될듯. 합성동을 최대 상권으로 만든 1등공신은 당연히 합성동에 위치한 마산시외터미널과 석전동에 위치한 마산역. 마산역은 2010년 12월 경전선 복선전철화와 함께 마산행 KTX의 시종착역 역할을 하고 있다.
내서읍에는 포화상태가 된 마산시의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택지개발이 이루어졌다. 인구수가 7만 5000여명에 달하는 거대 읍. 단, 여기도 터가 좁아 골짜기를 따라 아파트 단지들이 주욱 늘어서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산 지역 최대의 교통지옥이라 할수 있는 석전교 사거리가 석전동에 있다. 마산지역의 양대 교통축이라 할수 있는 삼호로와 3.15대로가 만나는 곳이기 때문. 때문에 이곳에 마산지역 최초의 지하차도가 건설되어 2012년 6월 현재 완성된 상태이다.
고등학교가 많지 않다. 예로부터 마산합포구가 마산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기에 고등학교도 합포구에 많이 몰려 있기 때문. 구암고등학교, 창신고등학교, 무학여자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한일전산여자고등학교, 경남미용고등학교, 그리고 내서읍에 마산제일고등학교[2]와 내서여자고등학교가 있다.
여담으로, 여기는 창원에서 리듬게임의 성지쯤 되는 거 같다. 창원에 있는 3대[3]의 리플렉 비트 중에서는 처음으로 입고된 곳이었고, 유비트는 2곳에 각각 2대나 있으며, 유비트 코피어스가 최신 버전이었을 때는 정발이 되자마자 업데이트 되었다. 그리고 사운드 볼텍스 또한 2대가 있다. 자세한 것은 오락실/경남항목을 참고.
4. 구 청사 문제 ¶
구 마산시 청사를 그대로 이어받은 마산합포구와는 달리 구청 건물을 급조한 탓에 많이 작다. 창원판 일산서구 마산종합운동장을 가보면 구청과 함께 운동장 구석두석 숨어있는 사무실들을 발견할 수 있다. 안습
급조라기는 좀 뭐한게 회원구청의 전신인 마산시 회원출장소 청사도 이곳이었다. 나름 역사와 전통의 청사(...). 이런저런 이유로 우선순위에 밀려 계속 마산종합운동장 내에서 더부살이 한 듯 하다.# 결국에는 구청제 자체가 폐지되면서 그냥 청사 신축 문제는 자연스럽게 소멸된 듯 하다.# 세월이 흘러 약 10년 만에 다시 개청된 마산회원구의 청사도 결국 일단은 마산종합운동장으로 들어왔다. 이미 청사 부지 선정이 끝난 의창구, 성산구에 비해 신청사 마련에 대한 진척이 늦는데 양덕동 메트로시티 모델하우스 부지와 회성동 행정복합타운 부지가 신축 부지 물망에 오르고 있다.
5.2. 구 창원군 창원면 지역 ¶
이외에도 의창구 의창동·팔룡동이 창원면에 속했다. 하지만 위의 행정동과 같이 1942년에 마산부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이곳이 구 창원이라는 인식은 거의 없다.
5.2.1. 봉암동 ¶
관할 법정동은 봉암동·양덕동(일부)이다. 자유무역지역이 있는곳. 요즘은 세가 많이 죽었다. 주거지역은 창신중/고 주변과 봉암교 주변으로 제한되는데, 봉암교 주변은 재개발 떡밥이 한참 나돌고 있다. 구암동 지역과 함께 창원지역으로 통하는 통로이기도.
6. 주요시설 ¶
- 관공서
- 마산동부경찰서
- 창원해양경찰서
- 마산우체국
- 창원교육지원청 마산민원실
- 마산동부경찰서
- 교통시설
- 체육시설
- 마산종합운동장
- 마산실내체육관
- 창원 마산 종합운동장 야구장
- 마산실내수영장
- 내서운동장
- 마산종합운동장
- 문화시설
- 3.15아트센터
- 우리누리청소년문화센터
- MBC경남 창원본부
- 마산회원도서관
- 마산내서도서관
- 중리초등학교 복합시설도서관
- 3.15아트센터
- 의료시설
- 삼성창원병원
- 삼성창원병원
- 교육시설
----
- [1] 특히나 한일합섬의 위용은 엄청났다. 원래 프로야구 제 8구단 창단시 가장 먼저 나섰던게 다름아닌 한일합섬. 이루어졌으면 마산에 20년 일찍 프로야구 구단이 들어섰을수도.. 공장크기도 매우 크고 아름다워서 현재의 귀현동의 두산인프라코어나 성주동의 GM대우 공장과 비교할수 있을 정도.
- [2] 같은 재단 소속의 마산제일여자중학교와 마산제일여자고등학교는 합포구에 있다
- [3] 의창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에 각각 1대씩 있다.
- [4] 삼귀동으로 가는 257번은 제외
- [5] 여담으로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에 있는 한일타운 역시 과거 한일합섬 공장 부지였던 곳으로, 1996년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를 조성했다. 북수원 지역에서는 마산처럼 나름 잘 사는 동네.
그리고 수원 한일타운 근처에도 야구장과 홈플러스가 있다 카더라. 오오(...) - [6] 2013년 4년제로 승격
- [7] 여담으로 수원시에도 한일전산여자고등학교가 있었다! 마치 옛 수원 한일합섬 공장부지가 한일타운으로 변모한 것처럼 말이다. 수원한일전산여자고등학교는 2013년에 수원전산여자고등학교로 개명했다. 이 학교는 여자배구로 아주 유명한 학교로 김연경, 한유미, 한송이, 황연주 등을 배출한 여자배구 명문학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