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카드 결제 사업자 | |||
VISA | MasterCard | American Express | JCB |
은련카드 | 비씨 글로벌 | Diners Club | Discover |
1. 개요 ¶
미국의 신용카드/체크카드 업체. 마스터카드로도 읽히지만 마스타카드가 항목명인 이유는 대한민국에 상표 등록을 마스타로 했으니 마스타인 것. 동그라미 2개짜리를 겹친 제26기계화보병사단교집합과 비슷하게 생긴 로고가 인상적이다. 비자카드에 이어 만년 콩라인에 머물고 있다.[1] 자매 브랜드로 직불카드인 마에스트로, ATM 망인 Cirrus, 망한전자화폐인 몬덱스 등이 있다. BIN(카드 번호 앞 6자리)은 51~55로 시작한다.[2] 대한민국에서는 1982년 8월 16일 국민은행에서 처음으로 발급을 시작하였다. 본사는 미국 뉴욕 주 피처스에 있다.
프리미엄 카드 브랜드는 티타늄, 플래티늄, 다이아몬드, 월드로 5가지가 있다. 티타늄은 그냥 막 주는 프리미엄 없는 프리미엄 카드이긴 하지만... 원래 대한민국에서는 월드 등급이 없었는데 VVIP 마케팅에 열을 올리면서 현재는 상품이 존재한다. 현대카드 더 레드/더 퍼플, 하나카드 클럽원,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시그마카드 요렇게 네 가지가 발급 중. 연회비가 정말 크고 아름답다. 최소 20만원부터 시작한다.
대한민국 국내에서 발급되는 체크카드 및 직불카드의 절반은 마스타카드(사실은 마에스트로[3]), 절반은 비자카드라고 할 수 있다. 너희들 중 마에스트로 가지지 않은 자 돌을 던져라 해외에서는 메이저리그나 UEFA의 공식 카드라든가 유로체크, 시러스(Cirrus), 마에스트로(Maestro), 몬덱스(Mondex), 페이패스(Paypass) 등 지급결제 시스템 전반에 걸쳐 문어발을 뻗고 있다. 특히 유로카드를 합병한 후 유럽에서 강세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비자카드에 밀리는 형세이기 때문에 TV 광고를 굉장히 열심히 한다. 심슨 버전의 광고도 있다(...)
국내에서는 신한카드, 하나카드, 우리카드, NH농협은행, 전북은행, KB국민카드, 대구은행[4], 기업은행[5]이 마스타카드 브랜드의 체크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국내 은행에서 발행하는 마스타카드 브랜드의 체크카드들은 해외에서 정상적으로(물론 잔고 내에서) 이용이 가능하며, 승인시 해당 금액+일정 비율만큼 지급 정지를 시켜 놓고, 전표 매입 후 대개 일주일 후에 통장에서 잔액이 빠져 나간다.[6] 과거 국민카드에서 발급했던 프리패스 카드의 경우에는 아예 100달러 신용 한도를 부여했지만 2005년 3월 25일 자로 발급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으로 발급한 카드도 2010년 3월에 유효기간이 만료되어 현재는 볼 수 없는 물건이다.
마스타카드는 비자카드보다 서명란이 좌우로 좁고 상하로 길다. 삐져 나갈 걱정 없이 큼직큼직하게 서명할 수 있는 편. 그런데 서명란이 좌우로 좁아서 길게 서명하는 사람들에겐 좀 불편하다. 그리고 CVV가 서명란 바깥에 나와 있어서 잦은 결제로 서명란이 닳아 없어져도 CVV가 흐려지지 않는다. 마에스트로는 그런 거 없다. 비자카드/국내전용과 똑같다.
천조국 본사에서는 로튼 닷컴이 자기네 카드가지고 무언가 못된 드립을 치자 경고를 쳤던것 같고, 이 경고를 받은 로튼 닷컴측에서 "우리는 마스타카드랑 싸우지 않을래염" 정도의 내용인 데꿀멍을 받아내서 문제의 드립을 버로우타게 만들었다는것 같다.
비자카드와 더불어 대한민국 사용분도 로열티를 받고 있기 때문에 국부 유출에서 자유롭지 못한 브랜드다. 이에 삼성카드에서는 2014년 11월 27일 이후 발행되는 마스타 브랜드 카드에 대해 대한민국 사용시에 따른 로열티를 지급하지 않기로 마스타카드 측과 합의하여 해외사용분만 로열티를 받게 된다.
2. 가맹점망 ¶
전 세계의 신용카드 국제브랜드를 비자카드가 60%, 마스타카드가 30%, 그 외의 나머지 브랜드(JCB, 아메리칸 엑스프레스, 다이너스 클럽 /디스커버 등)가 10%를 점유하고 있는 현실 속에 꽤나 잘 나가고 있다. 점유율이 낮지만 외국에서는 다른 건 몰라도 비자카드와 마스타카드는 세트로 가맹하고 있기 때문에 마스타카드만 들고 나가도 문제는 없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어떻게 될 지 모르는 일이니 반드시 대타로 이용할 수 있는 다른 결제 수단(타 국제 브랜드 카드나 현금 등)을 준비해 두는 것도 나쁘지 않다. 특히 비자카드만 가맹되고 마스타카드 등 타사는 가맹이 안 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7]
그 예로 일본의 세븐은행의 ATM을 이용시 다른 브랜드는 잘 이용되는데 되는데 마스타카드[8]는 수수료 분쟁 때문에 서비스가 중지된 사건이 있었다. 2014년부터 서비스가 재개됬지만 세븐은행이 마스터카드와 수수료 분쟁을 벌인 게 두번이나 된다.. 마에스트로 장착 카드를 발급하게 된다면 주의사항에 이게 반드시 명기되어 있다.(확인해 보자.)
그러므로 해외에 나갈 때에는 반드시 여러 브랜드의 카드를 소지하는 것을 추천한다. 블로그 등에 보면 카드가 고장날 때를 대비하여 외국에서 먹힐 여러 카드들을 필수로 만들어 놓는 듯. 신한은행에서 나오는 마에스트로 국제현금카드(EXK 버전도 있음)와 한국씨티은행의 국제현금카드(현재는 체크겸용이 발행)는 거의 필수로 포스트에 올라와 있으며, 신한은행의 국제현금카드는 대한민국에서도 직불카드로 쓸 수 있다.
3. 2중환전 ¶
마스타카드를 페이팔에 등록할 때 2중 환전에 유의해야 한다. DCC라고 해서, 해외 가맹점에서 원화 금액으로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PayPal에 마스타카드를 등록하면 기본값으로 DCC가 활성화된다. 이미 해외직구가 많은 커뮤니티에서는 많이 알려져 있던 기능이지만, 의외로 뽐뿌와 신용카드 갤러리에는 늦게 알려진 기능이다. 해제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니 마스타카드를 페이팔에 등록하게 되면 꼭 확인한 후 해제하자. 참고바람
2중 환전이기 때문에 수수료가 2번 붙어서, 결제 금액이 눈에 띄게 불어난다. 독일 아마존 등에도 있는 기능이지만 PayPal에 마스타카드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게 매우 악질이다.
2중 환전이기 때문에 수수료가 2번 붙어서, 결제 금액이 눈에 띄게 불어난다. 독일 아마존 등에도 있는 기능이지만 PayPal에 마스타카드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게 매우 악질이다.
2중환전시 그 이익을 페이팔이 꿀꺽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항의하면 되돌려 준다고 한다. 아래 글을 참고해서 만약에라도 이중환전으로 인한 손해를 봤다면 항의하자.
이중환전으로 손해봤을 때 대처방법
이중환전으로 손해봤을 때 대처방법
6. 홀로그램 ¶

[JPG 그림 (320 KB)]
마스타카드의 홀로그램은 지구본이다. 이 홀로그램도 주로 후면에 있지만, 전면에 있기도 하다. 신용카드에서는 사진과 같은 홀로그램으로 되어있다. 하지만 직불카드에서는 이 지구본에 Debit이라는 글자가 써져있다. 또는 마그네틱이 이 홀로그램과 같이 있는 경우도 있다.
7. 로고 변천사 ¶
----
- [1] 국제 카드 시장 점유율은 비자카드 64.67%, 마스타 25.57%, 나머지는 순서대로 은련, 아멕스, JCB이다.
- [2] 마에스트로는 5021, 5898, 6060, 6360, 6281으로 시작한다. 외국에서 체크카드로 쓰려면 마에스트로가 아닌 마스타카드의 마크가 붙은 것을 써야 한다.
- [3] 국민은행/KB국민카드와 구 신한카드가 어마어마한 양의 마에스트로 직불카드를 찍어 냈다. 신한카드의 체크카드인 글로벌패스와 러브 체크카드는 BIN이 6060-45번으로 시작하는 마에스트로가 장착된 해외직불 겸용 체크카드였다. 신한은행의 국제현금카드는 별 말 없으면 모두 마에스트로로 주며 EXK가 달린 건 굉장히 드물기 때문에 콜센터에서 따로 물어 봐야 한다.
- [4] 마스타 영플러스 체크카드. 회색 바탕이 마스타카드가 달린 것이며, 흰색 바탕의 영플러스 체크카드는 국내 전용이므로 잘 볼 것. 하지만 마스타카드를 달아 놓은 주제에 iTunes Store에서는 결제용 카드로 등록하지 못해 사용할 수 없다. 그런데 결제용 카드로는 등록하지 못하면서, 결제용 카드의 등록을 시도할 때 카드 유효성을 위한 1달러 가승인을 때리는 아주 황당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 [5] 최근에 생긴 참 좋은 글로벌 체크카드가 마스타카드로도 나오고 있다.
- [6] 이른바 홀딩(Holding) 출금 방식. 물론 일주일이 넘어가면 최대 홀드 기간은 30일이다. 단, 카드 정상 여부를 위해 가승인으로 출금하는 1달러의 환급 시기는 카드사마다 다를 수 있다.(신한카드는 대개 1개월, 비씨카드는 10일 후 환급)
- [7] 반대로 독일 바이에른 주 일부 지역에서는 비자카드를 아예 받지 않는다. 카드기계가 없는 곳도 많은데다 그나마 있는 곳도 비자카드를 안 받는단다.
- [8] 마에스트로, 시러스 포함
- [9] 출처 일본 위키페디아
- [10] 하나카드에서는 안심클릭을 일반결제라고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