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개 ¶
1990년 KBS 공채 22기 여자 성우. 이미나, 루비, 송유나처럼 주로 귀엽고 순진한 미소녀 연기로 많이 기억되지만 아구몬과 위자몬에서 색다른 연기를 보여줘 사람들에게 크나큰 충격을 줬으며, 간간히 이재하같은 소년 캐릭터랑 KBS 라디오 드라마를 비롯해 조디 센티밀리온, 미나세 아키코처럼 성숙한 여성 연기도 잘 소화한다.
대표작은 자타공인 <카드캡터 체리>의 주인공 유체리. 귀엽고 사랑스러운 연기가 최고점을 찍었다. 더빙팬들 사이에서는 일본판을 능가한다고 많이 회자되는데 특히 봉인~ 해제!는 모두가 알 정도로 인상이 깊다. 성우 본인도 이 작품을 계기로 팬들이 많이 생기게 되었고, 녹음한지 몇 년이 지나도 장면 하나 하나를 기억할 정도로 가장 열심히 더빙한 작품으로 꼽기도 했다.
2006년 애니맥스가 개국한 뒤론 한동안 우정신과 함께 투톱을 달릴 만큼 여주인공으로 굉장히 많이 출연했는데, 이게 너무 심해서 빛이 바래기도 했다. 연출 피디들 딴에는 시간이 지나도 소녀, 소년 역이 건재한 정미숙, 엄상현도 있으니 <카드캡터 체리>에서 보여준 미소녀 연기를 기대하며 이런 배역들로 캐스팅을 했겠지만, 문제는 성우도 사람이라서 나이가 들수록 음역은 당연히 낮아진다. 솔직히 유체리를 연기할 당시에는 30대였지만 인덱스나 루이즈는 이미 40대라서 실제로 둘 다 논란이 있을 때 팬들 사이에도 '나이가 많아서 옛날만큼 미소녀 연기를 잘 하지는 못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본인 목소리도 바뀌었지만 세월 때문에 연기가 다른 것도 있다. 세월이 흐를수록 성우 연기가 달라진다. 25년 전 달려라 하니 초등학생 연기와 현대 안녕 자두야 초등학생 연기는 분명히 다르고, 초창기 짱구는 못말려 유리 목소리와 현재 유리 목소리도 정말 다르다. 만약 카드캡터 체리가 2010년대 애니메이션이었고, 당시 90년대 성우진을 그대로 기용했다면 지금처럼 호평을 받지는 못했다. 비슷한 세대 성우라도 여전히 많이 활동하는 성우들도 있지만[1], 반대로 목소리를 듣기 힘들어진 성우들도 있다. 이건 성우들 개인적 사정 때문이겠지만.
이제는 고등학생 정도가 적정 연령 한계선인 듯. 그래선지 《꿈의 보석 프리즘 스톤》에서 아미를 맡았을 때도 자연스러운 애 목소리를 내기 보다는 엄청 노력해서 목소리를 낸다는 느낌이라서, '이젠 리즈시절 체리 같은 낭랑한 소녀연기를 듣기는 힘드냐'며 아쉬워하는 이들도 많다. 특히 이 중에서도 제로의 사역마 루이즈가 가장 논란이 심했는데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미소녀 연기는 많이 힘들어 보이지만, 명탐정 코난의 조디 센티밀리온이나 먼데이 모닝스의 시드니 나푸르 선생같은 뛰어난 성인 여성 연기를 보여준다. 그리고 시드노벨 드라마 CD에서 나그그그의 채송화나 용마무우의 홍보PV에서 나레이션과 등장 인물 전원을 연기한 후# 동 작품에서 나오는 마왕 '루리' 등의 소녀 배역을 맡았다. 연기력으로 커버해서 생각보다 괜찮다는 평.
2014년 11월부터 xtm 가제트에서 성우 배한성과 나레이션에 참여하고 있다.
3.1. 애니메이션 ¶
- 검용전설 야이바 (대교방송) - 소라◆
- 귀를 기울이면 - 츠키시마 시즈쿠
- 꿈의 보석 프리즘 스톤 - 아미
- 다카하시 루미코 극장
- 화분 속 비밀 - 유키에
- 일탈 가족 파이어 - 엄마
- 당신의 존재만으로 - 부인
- 화분 속 비밀 - 유키에
- 두근두근 비밀친구 - 이요, 미스 얼룩, 코코 선생님★
- 두치와 뿌꾸 - 마두나, 코코
- 듀얼마스터즈 (SBS) - 미미[3]
- 드래곤볼 (95년 비디오판) - 런치, 치치, 란판
- 디지몬 시리즈
- 라제폰 - 시토 하루카
- 로젠메이든 - 사쿠라다 노리★
- 로미오의 푸른 하늘 - 안젤레타
- 마법소녀 리나 TRY (SBS) - 피리아, 파르의 엄마
- 마법신화 라그나로크 - 유파◆
- 마법천사 루비 (KBS) - 루비[6]
- 마호로매틱 - 안도우 마호로
- 매직 유저스 클럽 - 나나, 사에의 엄마★☆
- 명탐정 코난 - 조디 센티밀리온[7], 장미의 엄마★
- 미안하다 사랑한다 (애니판) - 윤서경
- 로미오의 푸른 하늘 - 안젤레타
- 바람의 검심 - 신곡 카린, 화영, 쇼고&유리의 엄마
- 방가방가 햄토리 - 송유나
- 별나라 요정 코미 - 코미
- 뱀부 블레이드 - 치바 키리노★☆
- 보글보글 스폰지밥 (니켈로디언) - 퍼프 선생님, 진주★, 스폰지밥 할머니
- 블랙·잭 - 공주, 칙의 엄마, 키요미
- 사우르스 팡팡 - 박사, 별이, 토토&투키의 엄마
- 선녀전설 세레스 - 유나 벨몬드◆, 세레스◆
- 솔티레이 - 솔티 레반트[8]☆
- 스쿨럼블 - 츠카모토 텐마
- 스피어즈 - 주아라 선생님◆, 앙가라★
- 슬램덩크 (SBS) - 이한나
- 쏙 빠져들 것 같아! (대교방송) - 백나리
- 아침 안개의 무녀 - 히에다 쿠라코
- 암굴왕 - 빅토리아 드 당글라르, 페포, 미쉘☆
- 애니멘터리 한국설화 - 내레이션(다큐 파트)[9]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인덱스, 콘고 미츠코, 바실리사★☆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 인덱스[10]☆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 인덱스[10]☆
- 요리왕 비룡 - 유란, 미령, 해조
- 웨딩피치 (투니버스) - 노이즈, 엘레나, 데미
- 올림포스 가디언 - 판도라★◆
- 작은 눈의 요정 슈가 - 사가 베르이만
- 제로의 사역마 - 루이즈 프랑소와즈 르 블랑 드 라 발리에르☆
- 조이드 신세기 제로 - 휴마
- 지옥소녀 2기 - 마키, 유미에, 에리의 엄마☆
- 쫑아는 사춘기 2기 (대교방송) - 나종아 / 쫑아
- 카논 리메이크 - 미나세 아키코, 어린 아이자와 유이치☆
- 카드캡터 체리 - 유체리★
- 키라메키 프로젝트 - 클로네
- 체포하겠어 극장판 (DVD) - 민호영[11]
- 토이 스토리 2 - 바비
- 택틱스 - 쿠라마 유리☆
- 플레이볼 - 인성의 엄마☆
- 핑크팬더와 친구들 극장판 - 평화로운 사랑 이야기 - 키사라기, 아미
- 추억은 방울방울 - 오카지마 타에코[12]
- 후르츠 바스켓 - 정수정◆
- DNA2 - 쿠리모토 아미★☆
- Winx Club - 스텔라◆
3.2. 외화 ¶
3.5. 드라마CD ¶
- 나와 그녀와 그녀와 그녀의 건전하지 못한 관계 - 채송화
- 용사가 마왕을 무찌를 때 우리들도 있었다 - 루리 프란시스 애기
3.6. 기타 ¶
- 용사가 마왕을 무찌를 때 우리들도 있었다PV - 나레이션, 론, 루리, 린.
- Guy's Academy 가제트(XTM) - 해설(배한성과 함께)
----
- [1] 대표적으로 위에 여러번 언급한 엄상현. 이 성우는 예나 지금이나 소년 음색의 차이가 거의 없어 신기하게도 위화감이 안 든다. 엄밀히 말하자면 겉으로 들리는 음색만 그렇다는거고 사실 젊은 감성은 2010년대 이후 뜨는 성우들인 최승훈, 남도형 이런 성우들보다는 약하지만. 일단 세세하게 들어보지 않으면 엄상현은 정말 나이를 안 먹는다고 착각할 정도이다.
- [2] 한 쪽은 남매관계로 그리고 다른 한 쪽은 동료관계로 나왔다.
- [3] 후에 재능TV에서 방영됐을 땐 우정신이 맡았다.
- [4] 후반부에는 잠시 장혜선이 맡았는데, 이유는 출산 휴가로 추정된다.
- [5] 근데 목소리가 이전과 상당히 많이 달라서 사실상 그대로 캐스팅한 의미가 없어졌다. 아마 연기한 지 10년이 넘어가서 연기력을 제대로 못잡았던 것 같다.
- [6] 투니버스에 방영한 OVA판은 양정화.
- [7] 어린 시절은 정선혜. 이 때부터 사실상 소녀 연기는 이제 힘들다는 것을 감안한 듯.
- [8] 참고로 로이 레반트를 맡은 성우는 남편인 이정구.
노렸구나 - [9] 설화 파트는 이장원이 담당.
- [10] 초전자포에서 인덱스는 엑스트라 수준의 등장과 20초 정도의 대사만 있다. 중복이었던 콘고 미츠코가 윤승희로 바뀌고 20초 정도의 대사만 했으며 전후 엑스트라 중복도 없이 끝.
최옥주 피디의 패기인가? 그런데 나빛나는 왜 김현지로 중복돌린 거야? - [11] 투니버스 방영판은 최덕희, 애니맥스 극장판은 이선이 맡았다.
- [12] 성인과 어린 시절 모두 연기했다.
- [13] 주인공인 세자르에게 집착하는 연인 역할. 세자르 역을 김승준이 맡았는데 《후르츠 바스켓》의 정수정과 송유진을 보고나면 괴리감이 꽤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