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at West Point(USMA)로 미국 뉴욕에 위치한 미국의 육군사관학교이다. 그냥 웨스트포인트(West Point)라고 해도 통한다. 연방정부가 아닌 버지니아 주정부가 운영하는 버지니아군사대학의 경우엔 남부의 웨스트포인트라 불린다.
별개로 미국해군사관학교는 메릴랜드의 애너폴리스, 미국공군사관학교는 콜로라도의 콜로라도 스프링스, 해안경비대사관학교는 코네티컷의 뉴런던, 미국상선단사관학교[1]는 뉴욕의 킹스포인트에 소재한다. 학부 과정인 이들 사관학교와 달리 대학원 과정인 USUHS(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도 존재하는데, 육/해(+해병+해경)/공, 연방공공보건서비스부대와 협력관계인 군의관/간호장교/보건과학 분야 사관학교로, 이쪽은 일본 방위의과대학교와 비슷한 컨셉이다.
1. 역사 ¶
1802년 설립되었으나 원형은 1778년 대륙군의 육군 주둔지에서 비롯됐다. 초창기엔 미군이 제대로 된 상비군이 아니라 필요할 때 소집되는 예비군의 형태인지라 웨스트포인트 출신들도 진급 제대로 못 하고 딴 일 하고 그러느라 바빴다. 그러다가 남북전쟁을 거치면서 미군이 점점 기틀을 잡아가고 미국이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면서 장교 육성이 중요해지면서 점차 발전해나간다.
1877년엔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장교가 임관했다. 헨리 플리퍼(Henry O. Flipper) 소위로 노예 출신이었으나 해방된 뒤에 웨스트포인트에 입학하여 5년간 복무했다. 소위로 전역했다. 그는 버펄로 솔저의 지휘관이기도 했다.
남북전쟁 이후 미국의 남부 주들을 통합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통합하는 문제 외에도 웨스트포인트는 hazing, 신고식 등의 가혹행위로 골머리를 앓았다. 그 전에는 가혹행위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남북전쟁에 참전했던 자들이 신입으로 들어오면서 생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00년에 사관생도가 가혹행위로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나자 그제서야 사회에서 견제가 들어갔다. 당시 의회가 청문회를 했는데 이때 증언을 한 사람 중엔 더글러스 맥아더도 있다.[2]
2. 학교 생활 ¶
사관생도의 비중이 백인들이 압도적으로 높다. 실제 미국 인구 비율과 비교해도 높은 편. 또한 아시아계도 실제 미국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보다 굉장히 많이 입학한다. 한국계도 1년에 보통 10명 이상이 임관한다[4]. 다만 이 비율은 병으로 가면 바뀐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병의 20%를 거의 먹고 들어간다.
임관반지이다. 대략 1200명 정도가 입학해서 1000명 가까이가 임관한다.
ethnic group | 사관생도 비중 | 실제 미국 인구 비중 |
코카서스(백인) | 75% | 65.8% |
히스패닉 | 8% | 14.5% |
아시아계 미국인 | 7% | 4.3% |
아프리카계 미국인 | 6% | 12.1% |
아메리카 원주민 | 1% | 0.9% |
임관반지이다. 대략 1200명 정도가 입학해서 1000명 가까이가 임관한다.
3. 잡다한 사항 ¶
한국군과 달리 미국 육사는 장성을 독점하지 못 한다. 오히려 학군의 비중이 훨씬 크다. 미군 학군은 대학교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때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미군에는 부사관을 장교로 임관시키는 후보생 코스도 꽤 있다. 미국의 장교 임관은 사관학교가 3천명, 학군이 약 8천명, 사관후보생(OCS)이 약 3천명, 특수임관 과정이 약 3천명 수준이고 장군 중에도 학군이 제일 많다. 단 대장(계급)이나 중장 같은 최고위 장성은 사관학교가 가장 많다. 학군은 보통 준장이나 소장에서 끝난다.
미국해군사관학교와 하는 army navy game이 유명하다. 해사 항목 참조.
4. 동문(졸업년도) ¶
미 육군의 역사적인 명장들 대부분이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하였다. 또한 육군 항공대가 독립한 뒤 생길 예정이었던 미국공군사관학교가 6.25 전쟁 휴전 이후에나 생길 정도로 늦게 설립되었기 때문에 군적상 육군을 거치지 않고 공군으로 임관한 장교들이 50년대 전후로 꽤 많았다. 당시에는 미국해군사관학교에서도 제독들의 반란으로 꽁기꽁기한 공군에다 일정 수의 생도를 임관시켰을 정도로 공군이 인력난에 시달렸는데, 이 때문에 90년대 초반까지 육사 출신이 공군의 주요 장군 보직을 차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공사는 그런 육사의 포스에 밀린데다 여러 명문대학 학군단/OTS 출신의 러시와도 경쟁하느라 상당히 오랫동안 공군참모총장을 배출하지 못했다. 현직인 마크 웰시 장군이 겨우 4번째 공사 출신 참모총장이며 아직까지 공사 출신 합참의장이 없어놓으니 말 다했다(...) 또한 이들 중에서 엘리트 테스트 파일럿이 꽤 배출되었고, 이들은 MIT, 칼텍 등 유수의 명문 대학원에서 공학 학위를 취득, 1960년대 스푸트니크 쇼크와 유리 가가린의 우주 비행으로 전미가 열폭하며 촉발된 사상 초유의 문 레이스에서 크게 기여했다. 아폴로 계획에서 달에 착륙한 주요 미션들은 15호를 제외하면 모두 해군 출신자들이 선장을 맡았으나, 제미니 계획에서 미국인으로서 최초의 EVA를 수행했으나 아폴로 1호 화재참사로 순직한 에드 화이트, 최초로 달 궤도에 진입했던 아폴로 8호의 선장 프랭크 보먼, 아폴로 11호의 버즈 올드린과 마이클 콜린스, 최초로 월면차를 운전한 아폴로 15호 선장 데이비드 스콧 등의 여러 웨스트포인트 출신자들이 족적을 남겼다. 다만 이들은 육사 졸업했다 뿐이지 모두 공군이어서 육군 입장에서는 못내 떨떠름했지만, 이후에는 육군에서도 여러 우주 비행사들이 배출되었다.
이렇게 세계대전 시절부터 어쩔 수 없는 필요에 의해서라도 군종간 교류가 활발히 이뤄진 역사가 있는지라 오늘날에도 사관학교 교류 프로그램에서 삘을 받은 용자들이 타군으로 임관하는[5] 사례가 가끔씩 나온다. 물론 공군 초창기 같은 사례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쪽수가 적은지라 역사에 큰 이름을 남긴 이는 드물지만, 가끔씩 이렇게 전군한 인원 중에서 사관학교 훈육관, 교관이 나오기도 한다. 문제는 이게 육사 출신 해군 장교가 육사에 파견되는게 아니라 해사에서 훈육관을 하는 식이라, 육해전에서 유독 쓴웃음을 짓는 육사 훈육관이 있었는데 알고보니 해사 나왔다더라(...) 등의 아스트랄한 일화도 있다.
- 로버트 리(1829년)[6]
- 율리시스 그랜트(1843년)
- 더글러스 맥아더(1903년)
- 레슬리 맥네어(1904년)
- 헨리 아놀드(1907년)
- 조지 S. 패튼(1909년)[7]
- 월튼 워커(1912년)
- 드와이트 아이젠하워(1915년)
- 오마 브래들리(1915년)
- 맥스웰 테일러(1922년)
- 크레이튼 에이브럼스(1936년)
- 샘 워커(1946년)[8]
- 존 위컴(1950년)
- 버즈 올드린(1951년)
- 마이클 콜린스(1952년)
- 노먼 슈워츠코프 주니어(1956년)[9]
- 에릭 신세키(1965년)
-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1974년)
- 마틴 뎀프시(1974년)
- 로이드 오스틴(1975년)
- 레이먼드 오디어노(1976년)
- 스탠리 매크리스털(1976년)
- 커티스 스캐퍼로티(1978년)
- 빈센트 브룩스(1980년):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론 최초로 여단장생도를 지냈다. 형인 리오 브룩스도 1979년 졸업자로 준장을 지냈다.
- H.R. 맥마스터(1984년)
- 존 오(1993년)[10]
- 대니얼 최(1999년): 커밍아웃한 게이로 이라크전에 참전했고 전역 후에 인권운동을 하고 있다.
----
- [1] United States Merchant Marine Academy. 1943년 설립된 미국의 상선사관 양성학교이다. 사관학교로 구분되는데, 컨셉 자체는 해양대학교가 해군사관학교와 해경사관학교의 영향을 받은 꼴이다.
- [2] 여담으로, 맥아더는 이 때 당시 사관학교 내 가혹행위에 대해 침묵을 지켰다. 타산적인 이유에서인지, 정말로 명예를 지키고자 한 것인지는 각자의 판단에 맡긴다...
- [3] 한국 육사의 경우 800명 수준이지만 여긴 4000명이 넘는다.
- [4] 현재 웨스트포인트 생도를 자녀들로 둔 학부모들의 모임인 웨스트포인트 한인 학부모회가 활동중으로 웨스트포인트에 입학을 희망하는 학부모들에게 입학에 필요한 여러가지 도움을 주고 있다. 추천서 받는 것부터 복수국적 문제 등 여러가지가 걸린다면 찾아보자. 특히 복수국적문제는 아이들도 모르고 부모도 무신경했다간 신원조회에서 잘못 걸려서 위증 크리가 떠서 입학무효화에 패가망신까지 당할 수 있으므로...
- [5] 다만 해경은 정말 드물다. 육/해/공 사관학교에서는 가끔씩 보이지만 해경은 국방부와 아예 다른 소속인지라(국방부에서 키워줬는데 국토안보부로 가면 곤란하니까) 많이 복잡한 편.
- [6] 율리시스 그랜트가 그를 예우한 것은 14년이나 선배인 점도 한 몫 했다.
- [7] 아들도 1946년 졸업생이다.
- [8] 월튼 워커의 아들이다. 미 육군 역대 최초의 부자 4성 장군.
- [9] 아버지 노먼 슈워츠코프 1세도 웨스트포인트 1917년 졸업생으로서 육군 소장까지 지냈다.
- [10] 한국계 출신 미군 군의관. 임관 후 뉴욕 메디컬 스쿨을 마친 후 군의관으로 복무. 군의관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