防衛大学校(ぼうえいだいがっこう). National Defense Academy of Japan.
주소는 가나가와현 요코스가시 하시리미즈 1-10-20 (神奈川県横須賀市走水1-10-20). 전화번호는 -81-468-41-3810이다.약칭은 방대(防大/ぼうだい)
주소는 가나가와현 요코스가시 하시리미즈 1-10-20 (神奈川県横須賀市走水1-10-20). 전화번호는 -81-468-41-3810이다.약칭은 방대(防大/ぼうだい)
일본 자위대의 간부 자위관 양성 학교. 4년 간의 교육을 마친 뒤 이곳을 졸업한 학생들은 OCS 교육[1]을 거쳐 육상자위대의 삼등육위(三等陸尉), 해상자위대의 삼등해위(三等海尉), 항공자위대의 삼등공위(三等空尉)로 임관한다. 한국군의 소위에 해당. 병과 부사관은 자위관 후보생으로 모집한다.
특이하게도 일본의 다른 대학들은 대학이란 표현을 쓰는데 비해 이곳은 대학교란 표현을 쓴다. 문부과학성 소관이 아니라 방위성 소속이기 때문이다. 해상보안대학교가 국토교통성 소속인 것과 비슷하다.
1. 역사 ¶
1952년 일본 가나가와현의 요코스카에서 개교했다. 당시에는 보안대학교(保安大學校)란 이름이었고 방위대학교란 이름으로 바뀌며 4년제 대학이 된 것은 1954년. 여성 생도를 받아들인 것은 1992년으로 한국과 엇비슷하다. 과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으로 깨달은 게 있는지 일본 제국 시절 일본육군사관학교와 일본해군병학교를 운영하던 것과는 달리 각군 사관학교를 통합하였다. 해상자위대는 육상자위대에게 먹힐 까봐 군별로 사관학교를 세울 것을 주장했지만 당시 총리였던 요시다 시게루가 강력하게 통합을 요구했다고. 공군이야 독립 군종도 아니었고 미국공군사관학교조차도 1950년대 들어서 생겼다. 평화헌법의 영향으로 일본은 일본군을 보유할 수 없었으므로 사관학교 대신 방위대학교란 애매한 이름이 붙었다.
3. 운영 및 사관생도 생활 ¶
한국의 사관학교와는 달리 일반 대학교로 보며 이 학교에 입학한 수험생들은 방위성의 직원이 된다. 다만 자위관은 아니며 자위대/계급은 부여받지 않는다. 한국의 사관생도가 원사 이상 준위 이하란 신분을 받는 것과 달리 방위대 학생은 공무원 소속상 자위대원이기는 하나 자위관은 아니다. 졸업 후에 간부후보생이 되어야 원사(조장) 이상 준위 이하의 계급으로 친다. 입학이란 용어 대신에 채용이란 말을 쓴다. 지원 대상은 18세에서 27세 사이의 일본인이다.
교육을 받는 동안 월급도 나온다. 한국 사관학교의 품위유지비보다 더 높은 편. 2006년 기준으로 월 11만엔이며 연 2회 기말수당으로 38만엔을 지급한다고 한다. 출처 미군의 웨스트포인트, 아나폴리스, 콜로라도 스프링스가 월 500달러 수준의 품위유지비가 나오는 걸 생각하면 높은 편이다. 다만 임관 후에는 미군이 넘사벽 2011년엔 월 103,800엔이고 학기별로 상여금 31만엔이 나온다고 한다.
입학생은 인문계열이 65명, 자연계열이 285명 선이라고. 상당수가 공학사로 학위를 받는다. 졸업할 때는 총리와 국방장관이 참여한다. 한국의 경우엔 대통령이 참여한다. 군사학과목을 24학점, 인문사회학계열과 이공학계열을 모두 152학점 이수해야 졸업한다고.
교양 24학점, 자신의 전공 57학점, 전공기초 27학점, 군사학[2] 23학점, 체육 6학점, 영어 10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그 외에 독일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중에 하나를 4점 들어야 한다. 중국어와 한국어 과정도 있긴 한데 그냥 선택이다. 합계 151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한국어 같은 경우엔 일본인 교수가 가르친다. 사실 외국어교육실 강사 전원이 일본인이다. 우에무라 준킨(上林順錦) 부교수가 한국어 담당이다.
1992년부터 여학생을 받아들였다.
학생의 선서는 아래와 같다.
나는 방위대학교 학생으로서 명예와 책임을 자각하고 일본국 헌법과 법령과 교칙을 준수하며 항상 덕조를 함양하고 인격을 존중하며 심신을 단련하고 지식을 키우며 정치적활동에 관여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학업에 힘쓸 것을 맹세합니다.
私は、防衛大学校学生たるの名誉と責任を自覚し、日本国憲法 、法令及び校則を遵守し、常に徳操を養い、人格を尊重し、心身を鍛え、知識をかん養し、政治的活動に関与せず、全力を尽して学業に励むことを誓います。
학사 말고 대학원 석/박사 과정도 있다. 석사는 이학/공학/안전보장학 과정이 있으며 박사는 이학/공학 과정이 있다.
좀 옛날 영상이긴 하나 방위대생들의 일상을 방영한 자료.
3금정책 같은 건 없다. 술은 영내에서 금지이지만 담배는 지정된 장소에서 피워도 되고 내부에서만 안 될 뿐 외부인과 연애해도 된다.
3.2. 조직도 ¶
- 학교장(学校長)[4]/President
- 부교장(副校長)/Vice President[5]
- 부교장(副校長)/Vice President[6]
- 간사(幹事)/Vice President[7]
- 인재확보통괄관(人材確保統括官)/Director General for Recruitment
- 총무부(総務部)/Administrative Department
- 총무과(総務課)/General Affairs Division
- 후생과(厚生課)/Welfare Division
- 회계과(会計課)/Finance Division
- 관리시설과(管理施設課)/Logistics and Facilities Division
- 위생과(衛生課)/Medical Division
- 총무과(総務課)/General Affairs Division
- 교무부(教務部)/Academic Department
- 고등교육개발관(高等教育開発官)/Officer Faculty Development
- 국제교육연구관(国際教育研究官)/Officer International Education
- 이공학연구과교무주사(理工学研究科教務主事)/Dean of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Engineering
- 총합안전보장연구과교무주사(総合安全保障研究科教務主事)/Dean of Graduate School of Security Studies
- 교무과(教務課)/Academic Division
- 입학시험과(入学試験課)/Admission Division
- 고등교육개발관(高等教育開発官)/Officer Faculty Development
- 훈련부(訓練部)/Training Department
- 훈련과(訓練課)/Training Division
- 학생과(学生課)/Cadets Affairs Division
- 총괄수석지도교관등(総括首席指導教官等)/Head Guidance Officer
- 훈련과(訓練課)/Training Division
- 총합정보도서관(総合情報図書館)/Information and Media Library
- 학술정보관(学術情報官)/Chairma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원격/멀티미디어교육연구부문(遠隔・マルチメディア教育研究部門)/Division of Remote and Multimedia Education
- IT기술연구부문(IT技術研究部門)/Divis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정보시스템활용연구부문(情報システム活用研究部門)/Division of Digital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 원격/멀티미디어교육연구부문(遠隔・マルチメディア教育研究部門)/Division of Remote and Multimedia Education
- 총합정보도서관사무실(総合情報図書館事務室)/Information and Media Library Office
- 학술정보관(学術情報官)/Chairma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총합교육학군(総合教育学群)/School of Liberal Arts and General Education
- 총합교양교육실(総合教養教育室)/Department of General Education
- 외국어교육실(外国語教育室)/Department of Foreign Languages
- 체육학교육실(体育学教育室)/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 수학교육실(数学教育室)/Department of Mathematics
- 총합교양교육실(総合教養教育室)/Department of General Education
- 인문사회과학군(人文社会科学群)/Schoo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인간문화학과(人間文化学科)/Department of Humanities
- 공공정책학과(公共政策学科)/Department of Public Policy
- 국제관계학과(国際関係学科)/Depart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 인간문화학과(人間文化学科)/Department of Humanities
- 응용과학군(応用科学群)/School of Applied Sciences
- 응용물리학과(応用物理学科)/Department of Applied Physics
- 응용화학과(応用化学科)/Department of Applied Chemistry
- 지구해양학과(地球海洋学科)/Department of Earth and Ocean Sciences
- 응용물리학과(応用物理学科)/Department of Applied Physics
- 전기정보학군(電気情報学群)/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 전기전자학과(電気電子学科)/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 통신공학과(通信工学科)/Department of Communications Engineering
- 정보공학과(情報工学科)/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 기능재료공학과(機能材料工学科)/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 전기전자학과(電気電子学科)/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 시스템공학군(システム工学群)/School of Systems Engineering
- 기계공학과(機械工学科)/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 기계시스템공학과(機械システム工学科)/Department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
- 항공우주공학과(航空宇宙工学科)/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 건설환경공학과(建設環境工学科)/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기계공학과(機械工学科)/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 방위학교육학군(防衛学教育学群)/School of Defense Science
- 국방론교육실(国防論教育室)/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Studies
- 전략교육실(戦略教育室)/Department of Strategic Studies
- 통솔/전사교육실(統率・戦史教育室)Department of Leadership and Military History
- 안전보장/위기관리교육센터(安全保障・危機管理教育センター)/The Center for Security and Crisis Management Education
- 국방론교육실(国防論教育室)/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Studies
- 부교장(副校長)/Vice President[5]
3.4. 학생 생활 ¶
교복. 교내복과 상장(常装)으로 나뉘는데 상장은 다시 동복과 1종하복, 3종하복으로 나뉜다. 한국의 사관생도처럼 화려한 예복은 없다. 자위대의 다른 옷을 보고 싶으면 제복/자위대를 참고할 것.
동복 | 1종 하복 | ||
남 | 여 | 남 | 여 |
교내복 | 3종 하복 | ||
남 | 여 | 남 | 여 |
일과표
06:00 | 기상 |
06:35-07:20 | 아침 식사 |
08:00 | 국기게양 |
08:30-10:00 | 1/2교시 |
10:10-11:40 | 3/4교시 |
12:00-13:00 | 점심 식사 |
13:15-14:45 | 5/6교시 |
14:55-16:25 | 7/8교시 |
16:30-17:15 | 9교시[8] |
17:30 | 국기 강하 |
-18:30 | 교우회 활동 |
17:30-19:15 | 입욕[9] |
18:00-19:15 | 저녁 식사 |
20:00-22:10 | 자습 |
22:30 | 소등[10] |
오전 8시 30분부터 수업을 시작하고 4시 20분에 마친다고 한다. 그 뒤엔 일과 후로 교우회 활동을 하는데 동아리 같은 거다. 문화계와 체육계로 나뉘는데 체육계는 필수다. 체련하는 셈. 방위의과대학교는 동아리가 필수가 아니다. 오후 7시 5분에 일찌감치 청소를 하고 7시 25분에 일석점호, 8시부터 자습이라고.[11] 취침은 10시 반부터.
해마다 극기훈련도 한다고 한다.
1학년은 8km 수영. 원영(遠泳)이라고 한다. 2학년은 스키훈련, 3학년은 이오지마에서 사격 훈련을 하고 4학년은 그딴 거 없고 여친이나 남친을 불러 댄스파티 한다고 한다.
고도제한 때문에 도서관이 지하에 있다고 한다. 방위대 사료관엔 한국 해사와 공사의 생도복이 있다고 한다. 한국에서 기증했다고. 한국의 육해공이 별도의 사관학교를 돌리는 것과 달리 일본의 방위대는 통합된 형태라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올라갈 때 육해공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 이때 고르면 낙장불입. 조종사 경쟁률이 제일 치열하다고 한다.
외박은 2학년부터 가능하며 1학년은 외출만 가능하다고 한다.
한국에선 생도대란 표현을 쓰지만 일본에선 학생대라고 한다.[12] 정작 한국의 학생회에 해당하는 곳은 생도회라 부르는 일본 학교...
한국의 사관생도들은 4인 1실을 쓰는데 방위대학생들은 8인 1실을 쓴다. 한때는 2인 1실을 쓰기도 했지만 현재는 학년별 두 명씩 배정하여 8인 1실이다. 최근 한국의 사관생도들이 동기 생활관을 쓰는 걸 생각하면 안습. 다만 자취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하다. 요리도 할 수 있고. 점호 때 악 쓰는 건 한국 사관학교랑 똑같다고.
유학은 미국과 프랑스, 독일 그리고 한국의 사관학교로 갈 수 있다. 이중에서 1년 단위 유학은 대한민국의 공군사관학교만 가능하며 나머지는 1-3주에서 4개월짜리 단기 코스들이다. 3/4학년 중에 선발하여 연간 40명을 해외로 유학보낸다.
3.4.1. 학교 축제 ¶
3.5. 졸업 ¶
모자 던지기.
2010년 졸업 당시. 방위대학교 졸업에는 총리가 참여한다. 이때는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가 참석했다고. 5년씩 하는 한국 대통령과 달리 일본 총리는 1년을 간신히 버티는 일이 많아서 매년 바뀐다... 한국군에선 사관생도가 졸업 후에 곧 통합임관식을 하지만 일본의 경우에 방위대학생은 자위관이 아니라 방위성 소속의 직원이라서 일단 각 군 간부후보생학교에 가서 조장(원사) 계급으로 훈련을 받고 훈련을 마친 뒤에 임관한다.
2013년 졸업식 때 배석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졸업생들이 졸업증서를 받고 있다. 육상자위대 복장을 한 남자 옆에 연미복을 입은 남성이 현 교장인 고쿠분 료세이(國分良成, 1953-)다.
2013년 졸업식에서 모자를 던지는 방대생들. 이 행사는 2011년에는 예외적으로 하지 않았다. 당시 참석했던 간 나오토 총리는 도호쿠 대지진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발언을 했으며 추모 차원에서 모자 던지기는 하지 않았다.
3.6. 졸업 후에 ¶
육자대 | 해자대 | 공자대 |
졸업 후에는 OCS(Officer candidate school) 교육을 받는데 이때 그냥 임관을 포기하고 나갈 수 있으며 그 동안 받은 수당을 뱉어내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이것 때문에 일본의 성적 높은 수험생들이 수업료 공짜에다 월급까지 주는 방위대학교에 진학한 뒤 간부 자위관으로 임관하지 않고 그냥 나가버리는 것 때문에 사회문제가 되기도 했다. 웨스트포인트, 아나폴리스, 콜로라도 스프링스 출신 중에 군인 대신 CIA나 등의 안보부서 공무원이나 군수 관련 업체에 가는 사람들이 많긴 하지만 이들은 적어도 의무복무 5년은 하고 가는 사람들이다. 한국군도 공군 파일럿을 제외하면 사관학교 출신들에게 의무복무 5년은 시킨다.
정확히 말하자면 바로 3위(소위)로 임관하는 것이 아니다. 일단 각 군별 간부학교에 가서 간부후보생으로 조장(曹長)이 되고 6개월동안 간부후보학교를 거쳐야 장교가 된다. 이젠 1년으로 늘어났다고. 육자대의 경우 9개월 동안 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3개월 동안 다시 보병교육을 받고 소위로 임관한다. 해자대는 1년간 해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공자대는 6개월간 항공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뒤 6개월 동안 부대에서 배치돼 교육을 받은 뒤에 임관한다. 즉 모두 1년 뒤에 소위로 임관한다. 일반적인 국가에서 재수를 하지 않았을 경우 만 22세에 소위로 임관하는 걸 생각하면 1년 정도 늦은 편이다. 하지만 진급 속도는 빠른 편.
특히나 사이타마에 소재한 방위의과대학교가 문제가 된다. 군의관[15]을 양성하기 위한 곳인데 6년 동안 공짜로 공부하고 월급도 받고 의사 자격만 취득하고 의무복무가 없으니 그냥 나가버린다.
일본 국방장관(방위성 대신)의 지시로 방위대학교 개혁 검토 위원회를 설치하여 학비 및 급여 반납 등을 검토했으나 중의원에서 계류 중에 자동 폐기되었다고 한다. 하여간 어느 나라고 국회의원들은 비슷하다 2014년부터 임관전 사퇴자는 최대 250만엔, 졸업 후 6년 이내에 퇴직하는 자에게도 일정액을 받으려고 했다고 한다.
현재 자위관 고위 장성 대부분은 방대 출신이라 봐도 무방하다. 학군사관 같은 제도가 존재하지 않고 학사사관 정도의 장교 후보생 과정이 전부라 방대의 입김이 셀 수 밖에 없다. 한국의 사관학교와 같은 상황. 방위대학교와 방위의과대학교가 합쳐서 자위대의 장관급 장교의 90%를 차지한다. 자위대/장관급을 확인할 것.
졸업자가 400여명 선에서 형성되며 장성에 진출하는 인원은 기수당 30명 내외.
3.7. 잡다한 사항 ¶
여담이지만 일본인으로 귀화한 한국계 일본인 중에 자위대에 들어간 경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어느 정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정보기관 소속인 한국계 일본인들이 한국에서 정보 수집활동을 하다가 한국 정부에 의해 추방된 일이 있긴 했다. 현재 한국외교부에서는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조선적, 한국계 일본인은은 2010년 12월 기준, 90만명 선으로 추정하는데[16] 이들중 영주권자는 46만1627명, 일반체류자[17]는 96,146명, 유학생은 20,362명이며 일본인으로 귀화한 시민권자는 32만6671명으로 파악한다.[18] 이 수치는 1998년 이전까지 한국의 국적법이 부계만을 인정했기 때문에 1998년 이전에 일본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를 두고 있는 일본인 자식을 포함하지 않는 수치고 일본인으로 귀화한 사람의 자식도 포함하지 않는 수치기 때문에 실제 한국계 일본인의 숫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인구가 1억 2800만명선 임을 감안할 때 한국계 일본인의 숫자는 0.255% 수준이며 자위대 247,746만명과 비교할 때 단순 계산으로만 자위대 내의 한국계 일본인은 600명 정도이다. 간부 자위관에도 몇 명 정도는 있을 듯 하다.
4. 기수 ¶
1953년에 1기가 입교하여 1957년에 임관했다. 2013년 신입생은 61기. 방대(防大) X기라고 적는다. 한국사관학교와 비교할 때 육사랑은 12기수, 해사랑은 10기수, 공사랑은 4기수 차이난다. 방대 61기면 한국 육사 73기, 해사 71기, 공사 65기와 상당한다.
서기 | 일본연호 | 기수 | 한국육사 | 한국해사 | 한국공사 |
1953 | 쇼와28년 | 1기 | 13기 | 11기 | 5기 |
1954 | 쇼와29년 | 2기 | 14기 | 12기 | 6기 |
1955 | 쇼와30년 | 3기 | 15기 | 13기 | 7기 |
1956 | 쇼와31년 | 4기 | 16기 | 14기 | 8기 |
1957 | 쇼와32년 | 5기 | 17기 | 15기 | 9기 |
1958 | 쇼와33년 | 6기 | 18기 | 16기 | 10기 |
1959 | 쇼와34년 | 7기 | 19기 | 17기 | 11기 |
1960 | 쇼와35년 | 8기 | 20기 | 18기 | 12기 |
1961 | 쇼와36년 | 9기 | 21기 | 19기 | 13기 |
1962 | 쇼와37년 | 10기 | 22기 | 20기 | 14기 |
1963 | 쇼와38년 | 11기 | 23기 | 21기 | 15기 |
1964 | 쇼와39년 | 12기 | 24기 | 22기 | 16기 |
1965 | 쇼와40년 | 13기 | 25기 | 23기 | 17기 |
1966 | 쇼와41년 | 14기 | 26기 | 24기 | 18기 |
1967 | 쇼와42년 | 15기 | 27기 | 25기 | 19기 |
1968 | 쇼와43년 | 16기 | 28기 | 26기 | 20기 |
1969 | 쇼와44년 | 17기 | 29기 | 27기 | 21기 |
1970 | 쇼와45년 | 18기 | 30기 | 28기 | 22기 |
1971 | 쇼와46년 | 19기 | 31기 | 29기 | 23기 |
1972 | 쇼와47년 | 20기 | 32기 | 30기 | 24기 |
1973 | 쇼와48년 | 21기 | 33기 | 31기 | 25기 |
1974 | 쇼와49년 | 22기 | 34기 | 32기 | 26기 |
1975 | 쇼와50년 | 23기 | 35기 | 33기 | 27기 |
1976 | 쇼와51년 | 24기 | 36기 | 34기 | 28기 |
1977 | 쇼와52년 | 25기 | 37기 | 35기 | 29기 |
1978 | 쇼와53년 | 26기 | 38기 | 36기 | 30기 |
1979 | 쇼와54년 | 27기 | 39기 | 37기 | 31기 |
1980 | 쇼와55년 | 28기 | 40기 | 38기 | 32기 |
1981 | 쇼와56년 | 29기 | 41기 | 39기 | 33기 |
1982 | 쇼와57년 | 30기 | 42기 | 40기 | 34기 |
1983 | 쇼와58년 | 31기 | 43기 | 41기 | 35기 |
1984 | 쇼와59년 | 32기 | 44기 | 42기 | 36기 |
1985 | 쇼와60년 | 33기 | 45기 | 43기 | 37기 |
1986 | 쇼와61년 | 34기 | 46기 | 44기 | 38기 |
1987 | 쇼와62년 | 35기 | 47기 | 45기 | 39기 |
1988 | 쇼와63년 | 36기 | 48기 | 46기 | 40기 |
1989 | 헤이세이1년 | 37기 | 49기 | 47기 | 41기 |
1990 | 헤이세이2년 | 38기 | 50기 | 48기 | 42기 |
1991 | 헤이세이3년 | 39기 | 51기 | 49기 | 43기 |
1992 | 헤이세이4년 | 40기 | 52기 | 50기 | 44기 |
1993 | 헤이세이5년 | 41기 | 53기 | 51기 | 45기 |
1994 | 헤이세이6년 | 42기 | 54기 | 52기 | 46기 |
1995 | 헤이세이7년 | 43기 | 55기 | 53기 | 47기 |
1996 | 헤이세이8년 | 44기 | 56기 | 54기 | 48기 |
1997 | 헤이세이9년 | 45기 | 57기 | 55기 | 49기 |
1998 | 헤이세이10년 | 46기 | 58기 | 56기 | 50기 |
1999 | 헤이세이11년 | 47기 | 59기 | 57기 | 51기 |
2000 | 헤이세이12년 | 48기 | 60기 | 58기 | 52기 |
2001 | 헤이세이13년 | 49기 | 61기 | 59기 | 53기 |
2002 | 헤이세이14년 | 50기 | 62기 | 60기 | 54기 |
2003 | 헤이세이15년 | 51기 | 63기 | 61기 | 55기 |
2004 | 헤이세이16년 | 52기 | 64기 | 62기 | 56기 |
2005 | 헤이세이17년 | 53기 | 65기 | 63기 | 57기 |
2006 | 헤이세이18년 | 54기 | 66기 | 64기 | 58기 |
2007 | 헤이세이19년 | 55기 | 67기 | 65기 | 59기 |
2008 | 헤이세이20년 | 56기 | 68기 | 66기 | 60기 |
2009 | 헤이세이21년 | 57기 | 69기 | 67기 | 61기 |
2010 | 헤이세이22년 | 58기 | 70기 | 68기 | 62기 |
2011 | 헤이세이23년 | 59기 | 71기 | 69기 | 63기 |
2012 | 헤이세이24년 | 60기 | 72기 | 70기 | 64기 |
2013 | 헤이세이25년 | 61기 | 73기 | 71기 | 65기 |
2014 | 헤이세이26년 | 62기 | 74기 | 72기 | 66기 |
5. 교장 및 직원 ¶
현재 교장은 고쿠분 료세이(國分良成). 중국 공산당 문제 연구가로 자위대 복무 경력이 전혀 없다. 사관학교가 아닌 방위대학교의 특징 탓으로 보인다. 게이오기주쿠대학을 졸업하고 모교에서 주로 교편을 잡았고 동 대학을 은퇴한 뒤에 방위대학교 교장으로 부임했다.
- 역대 교장
역대 이름 한자 재임기간 경력 1 마키 토모 槇智雄 1952.8.19 - 1965.1.16 게이오대학 교수 2 오모리 칸 大森寛 1965.1.16 - 1970.7.1 육상막료장 3 이노키 마사미치 猪木正道 1970.7.16 - 1978.7.15 교토대학 법학부 교수 4 츠치다 쿠니야스 土田國保 1978.9.29 - 1987.3.24 경시총감 5 나츠메 하루오 夏目晴雄 1987.3.24 - 1993.9.30 방위 사무 차관 6 마츠모토 사부로 松本三郎 1993.10.1 - 2000.3.31 게이오대학 교수 7 니시하라 마사시 西原正 2000.4.1 - 2006.3.31 방위대학교 교수 승진 대리 바바 슌조 馬場順昭 2006.4.1 - 2006.7.31 방위대학교 부교장 (교육 담당) 8 이오키베 마코토 五百籏頭真 2006.8.1 - 2012.3.31 고베대학 대학원 교수 9 고구쿤 료세이 国分良成 2012.4.1 - 게이오대학 교수
6. 유명 동문/직원 ¶
자위관의 통합막료장이나 각 군종별 막료장을 확인해보면 1990년대 이후 모두 방대 출신이다.
- 1기
- 2기
- 오카베 후미오: 해막장
- 오카베 후미오: 해막장
- 3기
- 4기
- 5기
- 6기
- 7기
- 야마모토 야스마사: 해막장
- 야마모토 야스마사: 해막장
- 8기
- 9기
- 다케고치 쇼지: 공막장/통합막료회의의장.
- 모리모토 사토시(森本 敏, 1941-): 방대 9기 출신으로 1965년 항공자위대에 들어가 1979년 3좌(소령)로 전역한 뒤 외무성에 들어갔다. 2012년 6월 노다 요시히코 내각에서 방위대신이 됐는데 의원직이 없는 첫 방위대신이었다. 소속정당도 없었다. [19] 원래는 2009년 8월에 아소 다로 내각 때 방위대신 밑의 방위대신보좌관을 맡기는 했지만 알다시피 아소 다로가 삽질하느라 내각이 날라가버리는 바람에 8월 30일에 퇴임한 바 있다.
- 이소지마 쓰네오: 육막장.
- 후지타 고세이: 해막장
- 다케고치 쇼지: 공막장/통합막료회의의장.
- 10기
- 나카타니 마사히로: 육막장
- 나카타니 마사히로: 육막장
- 11기
- 12기
- 13기
- 14기
- 15기
- 16기
- 17기
- 아카호시 게이지: 해막장
- 아카호시 게이지: 해막장
- 18기
- 19기
- 20기
- 21기
- 가와노 가쓰토시: 해막장, 통막장
- 가와노 가쓰토시: 해막장, 통막장
- 22기
- 사이토 하루카즈: 공막장
- 사이토 하루카즈: 공막장
- 23기
- 24기
- 25기
- 가와마타 히로미치(川又弘道)
- 가와무라 마사오(河村正雄)
- 고쿠분 마사히로(國分雅宏)
- 나가이 마사히로(永井昌弘)
- 나리타 지하루(成田千春)
- 나카노 시게노리(中野成典)
- 다카하시 가쓰오(髙橋勝夫)
- 다케모토 류지(竹本竜司)
- 도가시 가쓰유키(冨樫勝行)
- 도쿠마루 신이치(徳丸伸一)
- 모리모토 데쓰오(森本哲生)
- 무라카와 유타카(村川豊)
- 아카시 겐지(明石健次)
- 야마모토 아쓰마사(山本敦督)
- 야마시타 스미오(山下純夫)
- 오세토 이사오(大瀬戸功)
- 오카베 도시야(岡部俊哉)
- 요시다 고스케(吉田浩介)
- 우에타 도모유키(上田知元)
- 이즈카 미노루(飯塚稔)
- 이치가와 다케히코(市川武彦)
- 이케다 도쿠히로(池田徳宏)
- 이케다 야스이치로(池田安一郎)
- 이토 도시유키(伊藤俊幸)
- 호사카 가즈히코(保坂一彦)
- 후쿠에 히로아키(福江広明)
- 히게오카 야스히로(重岡康弘)
- 히라모토 마사노리(平本正法)
- 가와마타 히로미치(川又弘道)
- 26기
- 가미하라 세이지(神原誠司)
- 가와세 마사토시(川瀬昌俊)
- 가케가와 히사이치(掛川壽一)
- 고바야시 히로시(小林博史)
- 고조 신이치(小城真一)
- 기타가와 후미유키(北川文之)
- 나오키 신세이(真木信政)
- 니시카와 기미야스(西川公康)
- 다하라 게이(田原計)
- 다하라 요시노부(田原義信)
- 도시타 데츠로(堂下哲郎)
- 도쿠만 세이이치(道満誠一)
- 마스다 준이치(増田潤一)
- 모리야마 나오타다(森山尚直)
- 모토하시 도시히코(本橋稔彦)
- 사카타 류조(坂田竜三)
- 사쿠라이 요시노부(櫻井喜宣)
- 사토 마코토(佐藤誠)
- 사토 히사노리(佐藤壽紀)
- 스기야마 마사키(杉山政樹)
- 스즈키 준지(鈴木純治)
- 시모조노 데루아키(下薗輝昭)
- 아라키 마사쓰구(荒木正嗣)
- 아카마쓰 마사후미(赤松雅文)
- 야마나카 요지(山中洋二)
- 야마모토 유이치(山本祐一)
- 에구치 나오야(江口直也)
- 오가와 기요시(小川清史)
- 오노 요시조(小野賀三)
- 오에 사다마사(尾上定正)
- 오타 마키야(太田牧哉)
- 와타나베 긴조(渡邊金三)
- 요시키와 레이지(吉川礼史)
- 우치지마 오사무(内嶋修)
- 하시모토 스스무(橋本進)
- 후치노우에 히데토시(淵之上英寿)
- 후카즈 아키라(深津孔)
- 가미하라 세이지(神原誠司)
- 27기
- 가네마루 아키히코(金丸章彦)
- 고모리 가즈오(小森一生)
- 고바야시 시게루(小林茂)
- 구마모토 요시히로(熊本義宏)
- 나카니시 마사토(中西正人)
- 나카하라 시게키(中原茂樹)
- 노나카 사카리(野中盛)
- 다키구치 류지(滝口龍治)
- 데즈카 신이치(手塚信一)
- 도쿠타 히데히사(德田秀久)
- 마루모 요시나리(丸茂吉成)
- 마에하라 히로아키(前原弘昭)
- 스나미 류지(角南良児)
- 아라키 준이치(荒木淳一)
- 야마노우에 데쓰로(山之上哲郎)
- 야마모토 요리토(山本頼)
- 야마시타 가즈키(山下万喜)
- 야마오카 다케오(山岡健男)
- 야마자키 고지(山崎幸二)
- 오니시 히로후미(大西裕文)
- 오쓰카 우미오(大塚海夫)
- 오우라 히로요시(大浦弘容)
- 오카 히로시(岡浩)
- 이마가와 하지메(今金元)
- 이케 다로(池太郎)
- 이토 노부키(伊東伸基)
- 하시모토 나오노리(橋本尚典)
- 호시사시 다카시(星指隆)
- 후지모토 다쿠미(藤本卓美)
- 후카세 나오히사(深瀬尚久)
- 가네마루 아키히코(金丸章彦)
- 28기
- 가와모토 히로아키(河本宏章)
- 가이 요시키(甲斐芳樹)
- 구도 다카히코(工藤天彦)
- 기시카와 기미히코(岸川公彦)
- 기쿠치 사토루(菊池聡)
- 니시 히로노리(西浩德)
- 다나카 간지(田中幹士)
- 다우라 마사토(田浦正人)
- 도쿠가와 야스히사(德川泰久)
- 마나베 히로시(眞鍋浩司)
- 무토 시게키(武藤茂樹)
- 사토 나오토(佐藤直人)
- 스미다 가즈아키(住田和明)
- 쓰루타 신이치(鶴田眞一)
- 아라키 히로시(荒木文博)
- 아리마 다쓰야(有馬龍也)
- 야마다 마사시(山田真史)
- 야마무라 히로시(山村浩)
- 오모리 다케요시(大森丈義)
- 오우치다 겐지(大内田憲治)
- 와타나베 히로시(渡邊博史)
- 유아사 고로(湯浅悟郎)
- 이노우에 쓰카사(井上司)
- 이와야 가나메(岩谷要)
- 하루키 히데유키(春木秀之)
- 하타노 슌이치(畠野俊一)
- 후나타 히로카즈(藤田浩和)
- 가와모토 히로아키(河本宏章)
- 29기
- 가스이 히로유키(糟井裕之)
- 고카와 요시미치(小川能道)
- 곤도 미치로(權藤三千蔵)
- 기도노 다모쓰(城殿保)
- 기요타 야스시(清田安志)
- 나가시마 준(長島純)
- 나카오 다케히사(中尾剛久)
- 노토미 나카(納富中)
- 다카타 가쓰키(髙田克樹)
- 도키토 가즈오(時藤和夫)
- 마스코 유타카(増子豊)
- 모토마쓰 다카시(本松敬史)
- 미타니 나오토(三谷直人)
- 사카모토 도모시(坂本知司)
- 사토 겐조(佐藤賢上)
- 스기모토 다카유키(杉本孝幸)
- 시바타 쇼이치(柴田昭市)
- 아가리오 히데키(上尾秀樹)
- 아사이 아키라(浅井玲)
- 야마우치 다이스케(山内大輔)
- 오시마 고지(大島孝二)
- 오와세 하지메(小和瀬一)
- 와타나베 고지로(渡邊剛次郎)
- 우치다 유조(内田雄三)
- 이사이 스스무(飯盛進)
- 이와무라 기미히토(岩村公史)
- 핫토리 다다시(服部正)
- 가스이 히로유키(糟井裕之)
- 30기
- 31기
- 32기
- 33기
- 36기
7. 트리비아 ¶
- 일본어 언사이클로피디아에 따르면 국가에서 설치한 감옥이며 극악의 마조히스트들을 상대로 다림질과 청소의 프로를 양성하는 곳이라고 한다. 일본어 백괴사전 방위대학교 실제 방대생이 적었는지 배배 꼬면서도 사관생도 생활을 잘 적어내고 있다.
- 재학생 행사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고 있다. 가을에 참배 이틀 전에 체육복 차림으로 행군을 가서 70km 떨어진 도쿄에 도착하면 정복으로 갈아입고 참배를 한다. 학교 측에서는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참여하는 행사라고 주장하지만 학교 측에서 정복 배달 등의 편의를 봐주는 걸로 볼 때 학교 측에서 미는 행사인 듯. 1990년대 중후반부터 시작한 걸로 추정되며 그 전에는 개인의 자유에 맡겨 불참해도 상관없었다. 해당 행사에 한국인 사관생도 교환학생들은 참가하지 않는다. 치도리가후치 전몰자 묘원 참배는 전범이 없으니 그렇다쳐도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는 건 일본군을 미화하는 행위지만 일본 내에서 이를 두고 개인참배라며 눈 가리고 아웅 식으로 넘어가는 듯.
- 가혹행위가 상당해서 일본 인터넷에선 선후배간에 구강성교가 의무라는 얘기가 돌 정도이다.
----
- [1] 각 군종별로 간부후보생학교가 있다.
- [2] 자위대가 일단은 군이 아닌지라 군사학이 아니라 방위학이라고 표기한다.
- [3] 출처: http://ja.wikipedia.org/wiki/防衛大学校
- [4] 총장급이다.
- [5] 방위사무관으로 임명한다. 한마디로 교무부총장이다.
- [6] 방위교관으로 임명한다. 한마디로 교수부총장이다.
- [7] 육상자위대 중장(육장)을 임명하지만 그리고 가끔 해상 및 항공자위대의 중장(해장 및 공장)을 임명한다
- [8] 할 때도 있고 안 할 때도 있다.
- [9] 개인 정비시간을 말하는 듯.
- [10] 24:00까지 연등 가능하다.
- [11] 출처: 오동룡, 일본인도 모르는 일본자위대, 중앙mb, 2007 p.258-9
- [12] 한국에서도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에서는 학생대란 표현을 쓴다.
- [13] 장보는 투스타지만 1종과 2종으로 나뉘는데 2종은 준장에 상당한다.
- [14] 일본 만화 보면 자주 나오는 간이 음식적을 말한다.
- [15] 자위대에서는 의관이라고 한다. 무슨 조선시대냐!
- [16] 출처: http://www.mofa.go.kr/travel/overseascitizen/index.jsp?menu=m_10_40
- [17] 영주권 없이 들어온 직장인, 주재원 등. 불법체류자의 숫자는 여기에 포함된 것인지 확실지 않으나 일본 내 불법체류자 1위는 한국인으로 3만명이며 2위 중국인의 1.5배이다.
- [18] 1990년대에는 연간 1만명이 넘게 귀화하다가 최근엔 한국의 경제적 위상 증가 등으로 줄어들었다.
- [19] 일본에선 의원직이 없이 내각의 각료가 되는 사람을 민간인이라고 부른다. 문민통제의 민간인과는 상관없다. 한국 기준의 민간인은 군 장성 출신이 아닌 사람을 뜻하는데 일본에서 이 기준으로 말하면 방위청장관이나 방위대신은 모두 민간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