別名, Nickname
1. 설명 ¶
어떤 대상을 그 대상의 원래 이름(인간이라면 성도)을 대신하여 부르는 명칭을 뜻한다. 고대로부터 이렇게 자신을, 혹은 누군가를 지칭하는 사례는 많았으며, 한자문화권에서는 아예 자(字), 호(號)라는 별개의 단어로 지칭될 정도이다. 한자문화권에서는 본명을 직접 부르는 것을 불경하게 여겼기 때문에 자, 호가 널리 사용되었고, 다른 문화권에서는 반대로 이름이 너무 흔해서(...) 이름 대신 별명을 사용하는 전통(?)이 있었다. 예를 들어 프랑스 왕실은 루이라는 이름만 18명에 달한다. 이러니 세대수로 구분한다고 해도 너무 동명이인이 많아지니 이름 대신 별명을 많이 사용한 것. 태양왕 루이 14세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면 된다.
현대에도 굳이 인터넷 뿐만이 아니더라도 실명이 아니라 인물의 특성을 반영하는 특정한 단어를 정해서 부르거나 자칭하는 사례는 매우 흔하다.
보통 상대의 신체적 특징이나 인격적 특징 등을 장난스럽게 비꼬아서 만드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친근감을 표시하거나 또는 조롱할 때 사용한다[1]는 특징이 있다. 상대를 존중한다는 뜻은 별로 없는 것이 특징. 보통 존경의 뜻으로 쓰는 것은 호(號)로 부른다.
프로게이머들은 초창기에 황제, 폭풍, 영웅, 천재 이런 식으로 선수마다 멋들어진 별명을 붙이다보니 언제부턴가 왠지 필수적으로 한 개 이상은 갖고 있어야 하는 것처럼 되어버렸다. 물론 정말로 갓 데뷔한 1회용 캐듣보잡의 경우에는 별명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다. 그러나 인지도는 어느 정도 생겼지만 아직 별 특징이 없어서 딱히 이렇다할 별명이 없는 신인들에게, 방송사나 팬들이 억지로 어울리지도 않는 구색맞추기용 별명을 갖다붙이는 안쓰러운 경우도 있다[2]. 물론 이런 선수들도 꾸준히 활동하다보면 대체로 자기 이미지에 맞는 별명을 가지게 된다. 선수들이 그 별명을 마음에 들어할지는 별개의 문제. 쉽고 빠른, 그러면서도 좋은 별명은 전세대의 게이머들이 다 가져가버려서 뭐라고 해야하나 고민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한 반동인지 스타판에서는 비꼬는 별명 또한 제법 많다. 지금까지 활동하는 올드게이머나 최상급 프로게이머의 경우 좋은 별명 2 ~ 3개에 나쁜 별명 10여 개를 달고 다니는 경우가 부지기수고(극단적인 예가 바로 홍진호나 마재윤), OME스러운 플레이를 선보이는 경우 바로 그 선수에게 반어법적으로 찬양하는 별명(버뮤다, 흑마술사...)을 달기도 한다. 그리고 이 비꼬는 별명을 선수들 자신이 받아들이는 경우(정ㅋ벅ㅋ자, 테러리스트...)도 있다. 프로게이머중에는 자신에게 붙여진 수많은 별명을 팬들에게 사랑받는 증거로 생각하는 선수도 있다.
한국 프로야구 선수중에서 별명이 400개 이상인 선수가 있고 서울에 있는 어느 야구단의 전 주장도 별명이 무수히 많다고 한다. 우크라이나의 모 축구선수도 이에 맞먹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온라인 웹사이트의 경우 별명은 보통 아이디와는 별도로 남에게 표시되는 이름을 의미하며[3], 이쪽은 얼마든지 본인이 지을수 있다. 이러는 이유는 보통 아이디의 경우 이런저런 제한이 있기 마련이지만(영어로만 기입해야 한다거나 등) 별명은 이런 제한 없이 아무렇게나 지을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안 친한 사람들이라면 모를까 친한 사람들 사이에서 이 별명으로 불릴 가능성은 많지 않다.[4] 그들 나름의 자체적인 별명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모 아이돌 그룹 모 멤버은 별명이 2000개가 넘는다. 그냥 막 가져다 붙인 별명이 아니라 별명 하나하나 계기와 근거가 있다. 찾아보면 근거 자료도 나온다...
모 아이돌 그룹 모 멤버은 별명이 2000개가 넘는다. 그냥 막 가져다 붙인 별명이 아니라 별명 하나하나 계기와 근거가 있다. 찾아보면 근거 자료도 나온다...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별명 리다이렉트 조건은 각 항목의 별명이 그 항목의 공식 예명이거나 공식 닉네임인 경우로 한정하고 있다. 그 외에는 별명으로 리다이렉트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