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왜 보쿠 소녀인가? ¶
사실 현대에 들어와서는 뉘앙스가 약해졌고, 1인칭의 성(性) 구분이 따로 없는 언어권(한국어나 영어 등)에서는 그 뉘앙스가 훨씬 약하게 다가오는데,[1][2] 보쿠라는 일인칭은 본래 남성들만 쓰는 단어이다. 예를 들면 슈퍼로봇대전을 통해 익숙한 마초 캐릭터인 하란 반죠의 일인칭도 보쿠일 정도이다.[3]
막부와 일본군같은 무사집단이 수천년 동안 집권하고 남존여비 사상이 사회를 지배해 왔던 일본의 역사적 배경을 생각해 보면[4] 여성이 1인칭으로 보쿠를 사용한다는 것은 일종의 건방진 행위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이 단어는 주로 남성들이 쓰다 보니, 여성들의 입장에서는 여자답지 않고 남자다워 보이는 단어가 되어 웬만한 여자들은 잘 쓰지 않는 단어가 되었고 쓴다고 해도 사회적으로 곱지 않은 시선을 받게 되므로 초등학교~중학교 초중반 이후에는 쓰지 않는 단어다[5].
현대에는 사용하는 여성이 늘었다고는 하나, 여전히 보쿠나 오레의 사용자는 합쳐서 전체의 5퍼센트가량밖에 되지 않았다는 심리학자 혼다 유키의 조사결과도 있었다.
여성이 남성형 일인칭을 사용하는 원인은, 크게 '남성(강함, 권력)에 대한 동경', '다른 여성들과 다르고 싶은 욕구[6]', '주변(친구,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영향[7]'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는 주변의 영향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현대에는 사용하는 여성이 늘었다고는 하나, 여전히 보쿠나 오레의 사용자는 합쳐서 전체의 5퍼센트가량밖에 되지 않았다는 심리학자 혼다 유키의 조사결과도 있었다.
3. 픽션에서의 사례 ¶
보통 1970년대의 만화 등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고있다. 보통 남성형 1인칭이라는 특성 덕분에 보이시나 남장여자[8] 속성의 여자 캐릭터가 주로 사용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첫 등장 당시부터 지금까지 의외로 큰 상관관계는 없다. 꼭 보이쉬나 남장여자 속성이 아니더라도 마이페이스 걸이나 건강계 미소녀, 또는 쾌활하고 발랄한 성격의 소녀가 1인칭으로 보쿠를 쓰는 경우도 어느 정도 있다. 반대로 남성적인 말투를 쓴다고 꼭 1인칭으로 보쿠를 쓰는 것도 아니다[9]. 작품 속 일부 보쿠 소녀의 경우 작품 속 마이페이스 아가씨처럼 다른 사람들보다 높은 지위(1인칭으로 보쿠를 쓴다고 감히 태클을 걸지 못할 지위)에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하지만 위에 모든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소녀가 보쿠를 쓴다면 그 캐릭터는 작품 전반을 꿰뚫는 치명적인 스포일러와 관계(아래의 '특수계' 중 일부분)됐을 가능성이 높다.
3.1.1. 명랑계 ¶
가장 대중적인 유형이 '밝고 활발한 미소녀' 유형. 대체로 아래의 특성을 가진다.
- 학생이며 반에서 인기인.
- 육상이나 무술 등 스포츠를 좋아한다.
- 머리 모양도 움직이기 쉬운 숏컷이나 포니테일.
- 성적은 그다지 좋지 않다.
- 친구로 청순가련한 반 친구가 있다.
4. 현실의 사례 ¶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에서 보쿠를 일인칭으로 사용하는 캐릭터들과는 의미가 완전히 다르다. 여자들 사이에서도 보쿠 소녀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통하며, 일본으로 수입되는 외국 소설을 번역할 때, 등장인물(여성)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만들기위해 이 일인칭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특히 오타쿠 등에서 볼 수 있는 오레온나와 보쿠온나들은, 호칭만 남성형을 쓰는 것만이 아니라 망상병에다가 중2병, 주변을 신경쓰지 않는 마이페이스로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혀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좀 다르긴 하지만 한 때 세간의 눈을 찌푸리게 했던 팬픽이반과 비슷한 케이스로 보면 될 듯. 동인계에서 여성의 오레, 보쿠와 같은 1인칭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이러한 부류의 사람들때문에 굳어졌다. 사실상 일본 동인계에서 '보쿠온나'나 '오레온나'라는 말은 '보쿠라는 1인칭을 사용하는 여자'가 아니라 '보쿠온나라는 중2병에 걸린 여자'를 지칭하는 의미가 더 강하다. 피해 사이트도 있는 상태. 이건 말투보다 사람 자체의 문제 같지만.
피해 사례를 보면, 자기가 사중인격이라고 믿으며 자신의 캐릭터를 강요한다든가, 노예와 주인님 상태로 피해자에게도 이러한 관계에 참여하라고 강요하거나, 자기는 우월하므로 숙소를 제공하라는 등의 글들이 넘쳐난다. 단순히 호칭만의 문제라기보다는 개념없이 자기 세계에 빠져있는 상태라고 봐야한다. 나이들고 철들면 이불 속에서 하이킥하는 문제로 끝날지도 모르지만 간혹 범죄로 치닫는 경우도 있다고 해서 주의대상이 되고 있다. 한때 일본을 떠들썩하게 했던 탈륨 소녀도 블로그에서 자신을 '보쿠'라 일컬었다.
비터 버진과 걸즈 사우르스와 야가미군의 가정사정으로 유명한 쿠스노키 케이도 젊은 시절 보쿠로 자칭했다고 그의 쌍둥이 언니인 오하시 카오루가 만화에서 증언한 바 있다(젊은 시절의 작가 아바타 역시 단발머리의 지극히 보이쉬한 그림이였다.)
'현실'의 정의를 좀 넓게 잡자면 몇몇 여자 연예인들이 기믹성으로 쓰고 있긴 하다.
5. 오레온 ¶
오레(俺)를 1인칭으로 쓰는 여자는 실생활은 물론 픽션에서도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경우. 이들은 오레온이라고 별도로 나뉘기도 하는데오레오 아니다. 오리온도 아니다, 실제로 오레를 쓰는 여자는 2차원의 세계가 아닌 이상 무식한 사람 정도를 넘어 아예 병신 취급을 받으니 주의하자. 어설프게 애니나 만화 등으로 일어를 배운 여자들(주로 일본만화로 일어를 배운 사람들)이 일본에서 오레나 보쿠뿐 아니라 거친 말투(테메, 오마에 등)[10]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언어는 예절과도 직결되어 있으므로 부디 제대로 된 문법과 예의를 갖춘 어법을 배운 뒤 사용해야만 한다.
여하튼 이렇게 거친 느낌 때문에 1인칭으로 오레를 쓰는 여자 캐릭터는 양아치나 일진 등 불량한 느낌의 캐릭터가 많다. 진짜로 불량한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단순히 성격이 남성스럽거나 활발한 건강계 보쿠 소녀 캐릭터와는 확연히 구별되며 진짜 여장부나 여걸형 캐릭터는 대부분 제대로 1인칭으로 와타시를 쓴다. 단, 이런 분위기의 오레온나가 아예 완전 불량+똘마니 쪽으로 나가버리면, 1인칭이 아타이로 퇴화진화한다(...).
남자의 경우 오레를 일반적으로 쓴다. 실생활에서 남자가 와타시(私)를 사용하는 경우는 정중하게 말할 때가 아니면 그다지 들을 기회가 많지 않다. 직장이나 공식적인 장소가 아닌 경우 일인칭을 평소대로 오레로 쓰고 이후의 말투를 경어로 쓰는 것도 가능하기야 하겠지만, 어색한 표현이 되므로 역시 삼가는게 좋을것이다. 다음의 문장은 자연스러운가?
"나는 이런 형편인데, 그쪽분은 어떻습니까?"
6. 그 밖에 ¶
보쿠라는 1인칭은 J-pop 가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인칭이기도 하다. 오레, 와타시와 비교해보면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는 아무래도 박자 때문인 듯. 한국어의 경우 자신을 가리키는 말('나')이 1음절로 끝나는 반면, 'わたし' 는 3음절이나 된다. 즉, 랩이 아닌 이상 わたし라고 해버리면 그 다음이 너무 빽빽하다. 따라서 1음절이라도 줄이려는 눈물겨운 노력의 결과 'ぼく' 를 택한 것이 아닐까 추측해볼 수 있다[11]. 이러한 경향 때문인지, J-pop 가운데에는 분명 여자 가수가 부르는데도 가사를 뜯어보면 남자의 입장인 경우도 드물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다만 한국어의 '너' 나 '그대' 에 해당하는 말로는 3음절이나 되는 'あなた' 를 잘만 쓰므로(...), 약간은 애매하다.
어떤 작품에서 텍스트로 '보쿠' 라는 말을 쓰면, 일반 남성의 경우 정상적인 한자인 '僕'자가 나오지만, 여성은 'ボク'라는 가타카나로 나오기 때문에 금방 구별이 가능하다. 보통의 일본인들 사이에서 보쿠 소녀를 보는 시각을 어느 정도 엿볼 수 있다. 물론 예외도 존재한다.
7.1.1. 명랑계 ¶
- 나오 - 드림 클럽
- 도로시 올브라이트 - 아르카나 하트
- 디안느 - 일곱 개의 대죄
- 레인보우 대쉬 -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일본어 녹음
- 리지 - 성흔의 퀘이사
- 마모루(시스터 프린세스) - 시스터 프린세스
- 마에다 이츠키 - 도키메키 메모리얼 4
- 마키 키요카 - 단간론파 어나더
- 밀리엄 오라이온 - 영웅전설 섬의 궤적
- 메나드 시세이 - 란스 시리즈
- 미키 - 수호캐릭터
- 베니츠바사 - 세키레이
- 사츠키, 모가미 - 함대 컬렉션
- 셀디아 루즈 - 슈퍼로봇대전 K
- 아르르 나쟈 - 마도물어, 뿌요뿌요 시리즈
- 아즈마 히나타 - 카나메모
- 와타츠미 츠바사 - 택티컬 로어
- 우노 아오이 - 걸 건
- 유즈리자키 네로 -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
- 이치노세 하지메 - GATCHAMAN CROWDS[12]
- 이치몬지 아카네 - 도키메키 메모리얼 2
- 잉꼬 츠바사(나래) - 천사의 꼬리[13]
- 제미니 선라이즈 - 사쿠라 대전 5[14]
- 죠제트 카프아 - 영웅전설 천공의 궤적
- 츠무하나 이스즈 - 오오카미카쿠시
- 쿠도 아이코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 타오 - 워저드
- 토우하라 아스하 - 롯테의 장난감
- 타치 료코 - 나나와 카오루
- 타키자와 아카네 - 방과 후 괴담
- 푸푸르 - 성마도이야기
- 호쿠토 - 도쿄 레이븐스
- 소마 타키코[15] - 도쿄 레이븐스
7.1.2. 특수계 ¶
- 나이아 - 참마대성 데몬베인 [16]
- 마오 - 코드 기아스 나이트메어 오브 나나리
- 미즈하라 하즈키 - 투신도시2
- 미츠카이 도쿠로 - 박살천사 도쿠로
- 미카와 후미카[17] - 사후편지
- 사사키[18]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시구마 리카 - 나는 친구가 적다[19]
- 시라키인 리리치요 - 이누x보쿠 SS
- 아지무 나지미 - 메다카 박스
- 오노노키 요츠기 - 이야기 시리즈
- 요시노 사쿠라 - 다카포 시리즈[20]
- 우미노 모쿠즈 - 사탕과자 탄환은 꿰뚫지 못해
- 코러스 - 원반황녀 왈큐레
- 코시미즈 사치코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쿠나기사 토모[21] - 헛소리 시리즈/인간 시리즈
- 쿠니히로 하지메 - 사키
- 쿠사카베 히요리 - 가면 라이더 카부토
- 타이냥 - 퀸즈 블레이드 리벨리온
- 하리메 누이 - 킬라킬
- 후루데 리카 - 쓰르라미 울 적에
- 하뉴(쓰르라미 울 적에) - 쓰르라미 울 적에
7.1.4. 백합계 ¶
- 아즈마 하즈키 - 어둠과 모자와 책의 여행자
- 앙리 앙리에트 - 사피즘의 현창
- 코치카제 유리카 - 아키칸
- 키리가야 히츠기 - 악마의 리들[24]
- 텐오 하루카[25] -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7.1.5. 남장계 ¶
- 고이도 유이[26] - 신만이 아는 세계
- 노노미야 노노[27] - 노노노노
- 레오 클리젠[28] - 철권
- 리라 - 포켓몬스터
- 묘도인 이츠키 - 하트 캐치 프리큐어!
- 미즈타니 이쿠스 - 이 중에 1명, 여동생이 있다!
- 사나키아 드렐슈카프 - 란스 시리즈
- 산죠 아사히[29] - 매리지 로얄
- 샤를로트 뒤누아[30] - 인피니트 스트라토스
- 소마 아키토(송인영)[31] - 후르츠 바스켓
- 소우세이세키[32] - 로젠메이든
- 시로가네 나오토 - 페르소나4
- 안젤라 - 소닉윙즈 시리즈
- 야규 큐베 - 은혼
- 옐로 상록 글로브 - 포켓몬스터 SPECIAL
- 이스핀 샤를 - 테일즈위버[33]
- 코노에 스바루 - 마요치키
- 크루셰 엘렌디아 - 알 토네리코 세계의 끝에서 계속 노래하는 소녀, 알 토네리코 3
- 텐죠 우테나 - 소녀혁명 우테나
- 파 뮬란[34] - 뮬란
- Z1 - 함대 컬렉션
- 츠치미카도 나츠메 - 도쿄 레이븐스
7.1.6. 중성계 ¶
- 레니 미르히슈트라세(쿨) - 사쿠라 대전 2
- 리리 시라이시(쿨) - 언젠가는 대마왕
- 세라 마스미 - 명탐정 코난
- 소와레 - 파이어 엠블렘 각성
- 에튜 - 회색정원[35]
- 엘 멜리제-소라토로보
- 유벨 - 유희왕 GX[36]
- 요우 미즈노(4) - STAR DRIVER 빛의 타쿠토
- 이무 - 섬란 카구라 시리즈
- 카임 - 시문[37]
- 칸나기 노엘 - 하늘의 소리
- 키쿠치 마코토 - 아이돌 마스터
- 하급요괴 - 동방오인선
- 황 파오링 - TIGER & BUNNY
- 후지미야 스이(쿨) - 푸른 하늘이 보이는 언덕
- 히로노 나기(4) - ef - a fairy tale of the two.
- 사쿠라이 치아키 - Wake Up, Girls! ~스테이지의 천사
7.1.7. 기타/미분류 ¶
- 가후, 허저 - 연희무쌍 시리즈
- 구열 - 포켓몬스터
- 니노미야 아스카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도플갱어 아르르 - 뿌요뿌욘[38]
- 라스티 - 티어즈 투 티아라
- 라임 - 멋진 이 세계
- 리리 시라이시 - 언젠가는 대마왕
- 오오사와 미우 - 열등용사의 귀축미학
- 와카바 미라이, 아사미 사키[39] - 마법소녀 카즈미☆마기카
- 메로나 - 퀸즈 블레이드
- 모모세 쿠루미 - 파니포니 대쉬
- 바첼러 - 발드 포스
- 뵤인자카 쿠로네코 - 세계 시리즈
- 사베렌티 - 시큐브[40]
- 세나 마코토 - 코코로
- 세스 - 트리니티 블러드
- 소라 - 소라
- 스오우 파블리첸코 - DARKER THAN BLACK -유성의 제미니-
- 시구레 - 함대 컬렉션
- 시구레 아사, 시구레 아마[41] - 셔플
- 아미 - 파랜드 오딧세이
- 앨리스 - 하느님의 메모장
- 에노모토 츠카사 - 피아캐롯에 어서오세요! 2
- 엘리엇 챤들러 - 마이 오토메 S.ifr
- 오사라기 하즈무[42] - 카시마시 ~걸 미츠 걸~
- 유우키 - 소드 아트 온라인
- 이브 - 엘소드(일본어판 한정)
- 이시가키 타마키 - 다이쇼 야구 소녀
- 치로루 - 쇼콜라 -메이드 카페 큐리오-
- 카니사와 키누 - 츠요키스
- 카린 - 파랜드 사가2
- 키노 - 키노의 여행[43]
- 키사라 웨스트필드 - 통쾌 GANGAN 행진곡
- 타케우치 유카 - 베리어블 지오(V.G) 시리즈
- 트리샤 포스터 - 유구환상곡 시리즈
- 히라카와 나츠미 - 오늘의 5학년 2반
- Windows 98 - OS땅
- 로드 카멜롯 - D.Gray-man[44]
키타무라 에리
7.2. 오레온 ¶
- 개장수(이누카시) - NO.6
- 고카죠우 사츠키 - 해피☆레슨
- 그라디스 폰 와켄하임 - 거유 판타지
- 나가요시 스바루 - 아이돌 마스터 밀리온 라이브
- 나제 요카 - 메다카 박스
- 노야마노 미캉 - 에어기어
- 노이 - 도로헤도로
- 니시미야 유즈루 - 목소리의 형태
- 니시자와 오오카 - 개구리 중사 케로로[48]
- 다케다 신겐 - 전국오토메
- 다나 - 이런 영웅은 싫어[49]
- 라르 미르치 -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 레베카 리드 - 작안의 샤나
- 료우기 시키 - 공의 경계
- 린도 란마루 - 가난뱅이 신이!
- 릴토토 램퍼드 - 블리치
- 마량[50] - 투하트 2
- 마그마단조무래기 - 포켓몬스터
- 마츠바라 카오루 - 파워퍼프걸Z
- 마키무라 카오리 - 시티헌터
- 메일 슈트롬(토모노리) - 이것은 좀비입니까
- 모리무라 세이라 - 프린세스 나인
- 미나미 토마 - 미나미가
- 바이켄 - 길티기어
- 반바 마히루 - 악마의 리들[51]
- 하이드라 - 원반황녀 왈큐레
- 진소아[52] - 블레이드 앤 소울
- 베스 - 쁘티프리 유시
- 베타 - 이나즈마 일레븐 GO 크로노 스톤[53]
- 사와리네코 - 이야기 시리즈
- 세이렌(쿠로카와 엘렌) - 스위트 프리큐어
- 소마키 유라코 - 신의 인형[54]
- 슈리 아트레이드 - 영웅전설 제로의 궤적, 벽의 궤적
- 스바루 료코 - 기동전함 나데시코[55]
- 시노노메 노조무 - 하츠유키사쿠라[56]
- 시노다 이치에 - 산카레아
- 시바 쿠우카쿠 - 블리치
- 아마노 아이 - 전영소녀
- 아마츠카 메구미 - 건방진 천사
- 아와시마[57] - 누라리횬의 손자
- 야규(섬란 카구라) - 섬란 카구라 시리즈
- 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에이브 볼란 - 늑대와 향신료
- 여자 란마 - 란마 1/2
- 오오카미 료코 - 오오카미 씨 시리즈
- 오모카게 마고코로 - 헛소리 시리즈/인간 시리즈
- 오와리 아카네 - 단간론파2
- 오쿠자키 아키라 - 마이히메
- 유우 - 슈퍼 리얼 마작 [58]
- 유우키 하루 - 신데마스
- 윤 - 시문
- 이노우에 쥰, 에구치 세라 - 사키
- 이소가이 치히로 - Wake Up, Girls! ~스테이지의 천사[59]
- 제리코 - 일곱 개의 대죄
- 코즈키 안나 - 유희왕 ZEXAL[60]
- 코죠 아스카 - 골판지 전기 W
- 쿠도 카나에 - 다 카포 1[61]
- 쿠마토라 - MOTHER3
- 키도 츠보미 - 아지랑이 프로젝트
- 키드 - 크로노 크로스
- 키리마 나기 - 부기팝 시리즈
- 키얄 바치카 - 천원돌파 그렌라간
- 타마노 히나기쿠 - 애천사전설 웨딩피치
- 키소, 텐류 - 함대 컬렉션
- 토모카네 - GA 예술과 아트디자인 클래스
- 프랑 - 단탈리안의 서가
- 프릿슈 - 파이널 판타지 11
- 피노 블러드스톤 - 용사가 되지 못한 나는 마지못해 취직을 결심했습니다
- 후지나미 류노스케 - 시끌별 녀석들
- 히사우 마이야 - 페이트 제로
테일 레드 - 저, 트윈 테일이 됩니다아니 얜 애당초 남ㅈ...지만 여자잖아!
사이가 미츠키
센고쿠 나데코 - 이야기 시리즈[62]
아이유#
마코쨩
9. 바깥고리 ¶
----
- [1] 약간 성질이 다른 예이긴 하지만, 이쁘장한 미소녀가 자신을 형이라고 부르면서 다가오는 장면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 이해가 가긴 할 것이다. 단, 이 예시는 90년 이후 출생자 한정. 90년대 초반까지 대학에선 여학생들이 남자 선배를 형이라고 부르는 시절이 있었다(다만 이 경우는 페미니즘이 정치적 올바름의 주장과 엮여서 이상한 방향으로 발현된 이야기.).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나이드신 분들이 가족관계를 말할 때 자매,남매보다 여자 형제라는 이상한 말을 쓰는 것은 아직까지 남아있다. 보쿠 소녀를 한국으로 현지화할 때 오빠를 형으로 부르는 것으로 고치는 경우가 있긴 하다.
- [2] 물론 현대에도 친한 사람들끼리 장난으로, '오빠'라는 호칭이 어색하고 느끼하다는 등의 이유로 오빠를 형이라 부르는 여성들은 생각보다 드물지 않다. 일본(현실)의 보쿠온나에 비하면 인식이 그렇게까지 나쁘진 않으며 보통은 "뭥미..."하면서도 그러려니하고 웃어넘기는 수준.
- [3] 하지만 '보쿠'나 '오이라'의 경우 오히려 어린 개구쟁이 꼬마애같은 이미지가 더 강하다. '다 큰 남성이 거친 말투로 쓰는 이미지'는 '오레'
- [4] 현대에도 아내가 남편을 부르는 호칭이 '주인(主人)'이다.(...)
- [5] 이 때문에 3인칭화 와 함께 캐릭터의 미성숙함을 나타내는 장치로도 쓰인다(예를 들어 카논의 아유나 프레젠트 프리티의 아야나 등).
- [6] 심리학자인 토미타 타카시에 의하면 "어릴 적에는 '아직 성별이 바뀌지는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여자아이들이 많습니다. 어른이 되어도 '보쿠'라는 1인칭을 쓰는 여자의 대다수는 '기존의 여성들처럼 성장하고 싶지 않아'라는 일종의 성장거부라고 볼 수도 있지요." 즉 오레온은 '남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해서, 보쿠 소녀는 '여자가 되고 싶지 않아서'라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다. 즉 위에 언급한 이유처럼 캐릭터의 미성숙함을 나타내는 장치로도 쓰인다는 것도 어느 정도 맞는 셈. 참고 : http://r25.yahoo.co.jp/fushigi/wxr_detail/?id=20080822-90004782-r25
- [7] 특히 이런 사례의 경우는 여성이 남성에 대해 가지는 성적 판타지-좀 더 나아가자면 페티시적 심리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많다. 러키☆스타의 코나타의 캐릭터송인 D드라이브·러브에서 'ぼくの ヨメ, じつは 男で, わたし 女だよ'(내 신부는 사실 남자고, 저는 여자에요)'라고 하는 대목이나, 유장전대 달러레인저의 전체적인 가사에서 이 모습이 잘 드러난다.
- [8] 특히 남장여자는 대외적으로는 남자일 필요성이 있고 모종의 사정 때문에 여자임을 들키면 안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산죠 아사히, 옐로 상록글로브 등).
- [9] 오히려 진짜 여걸형 캐릭터들은 대개 일인칭으로 정확하게 私를 쓰곤 한다.
- [10] 여성의 경우 '안타!'정도가 가장 과격하게 말할 수 있는 정도다. 불량한 여자들이나 남성어투를 쓴다. 여성이 쓰는 테메-의 뉘앙스를 한국어로 직역하면 야이X끼야 정도로 엄청난 말투다.
- [11] 위의 '오레온' 항목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おれ라는 표현은 여성이 쓸 말이 아니고.
- [12] 보쿠+슴다체
- [13] 2기에서는 1인칭이 여자아이가 자주 쓰는 1인칭 아타시(アタシ)로 바뀐다.
- [14] 이중인격이 발현될 경우 오레온으로 변한다.
- [15] 아타시를 쓸 때도 있다.
- [16] 굳이 따지자면 이쪽은 보쿠 '아줌마'
- [17] 병원 침실에 누워있는 본체 말고
- [18] 여자 앞에서는 여자 1인칭인 와타시를 쓰지만 남자 앞에서는 보쿠를 쓴다.
- [19] 이웃사촌부 내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1인칭 대명사로 쓰고 있지만, 본래는 보쿠 소녀. 작중에 유일하게 제목 일본어에 나온 보쿠를 1인칭으로 쓰고 있는 캐릭터다. 때문에 리카를 이 작품의 실질적인 주인공으로 보는 사람도 더러 있는 편.
- [20] 사실 반 정도는 아동계로 보아도 무방하다.(…).
- [21] 정확히는 '보쿠사마쨩(僕様ちゃん)'이라는 괴이하기 짝이 없는 1인칭. 단, '사선의 청색'으로서 활동할 때에는 와타시를 사용하는 듯 하다.
- [22] 이쪽은 명랑계와의 혼합형
- [23] 성격때문에 명랑계에 넣어도 무방하다.
- [24] 작품 자체가 백합 성향이 강할 뿐더러 1화에서부터 대놓고 백합 관계 형성하셨다(...). 단 치타루와 만나기 전부터 보쿠 소녀였을 가능성도 높다.
- [25] 하루카는 남장계에도 속한다. 평상시 복장은 전부 남성복이며 성격도 남성스러운 편.
- [26] 공략 후부터
- [27] 대외적으로는 이 1인칭을 쓰나 독백 등의 내면에서는 모두 '私'를 사용.
- [28] 일본어 자막을 보면 보쿠다.
- [29] 남자로서 자랐기 때문인지 '보쿠'의 표기가 한자인 '僕'이다.
- [30] 특이하게 여자임이 밝혀진 이후로도 계속 보쿠를 사용한다
- [31] 이 쪽은 모친의 명령때문
- [32] 남장이라고 하긴 애매하지만 보이쉬 컨셉인만큼
- [33] 일본판에서 일인칭으로 보쿠를 쓴다. 남장여자 컨셉을 때문이겠지만 남장하기 전 오를란느에 있을 때부터 보쿠를 쓴다... 공주인데.
- [34] 일본어 더빙에서
- [35] 외양은 여성스럽지만 성별이 없다.
- [36] 양성체다. 여성스러워 보이지만 어떻게보면 남자에 더가깝다. 진화형태가 될시 성우가 남자로 변하며 결정적으로 전생에 남자였다.
- [37] 외견은 소녀나, 아직 성별이 없다.
- [38] 아르르 나쟈부터가 일단 보쿠소녀. 도플갱어라도 보쿠소녀의 도플갱어는 보쿠소녀인 모양이다.(…)
- [39] 어렸을 때 한정
- [40] 애매한게, 남성형으로도 변장할 수 있다(…). 그곳만 납작하게 해준다면야(…).
- [41] 유부녀가 보쿠를 쓰는 괴이한 사례(‥).
- [42] 니코니코 대백과에서의 보쿠 소녀 일람에 적혀 있긴 한데, 이쪽은 원래 남자여서 좀 애매하다.
- [43] 정확히는 자신을 구하려다가 죽은 '원조' 키노의 이름을 쓰는 것.
- [44] 정확한 이유가 불분명해 기타/미분류에 추가. 아시는 분은 추가 바람 추가:노아는 죽으면 다른 인간으로 환생(?)한다는데 로드는 능력이 특이하니 전생의 기억도 있지 않을까? (예전에 남자였지 않나 싶다...) 누가 더 자세히 적어주길!
- [45] '가장 아름다운 나'는 봉래인형 3번 트랙 스토리에 등장하는 인물로 '정직촌'의 다른 7명과 달리 '보쿠'를 가타카나로 썼다. 따라서 13번 트랙에서 언급된 '유일한 여자애'가 그녀일 가능성이 높고, 다른 7명을 죽였다는 '아름다운 삐에로'도 그녀일 가능성이 높다. 자세한 건 해당항목 참조
- [46] 크로나의 성별은 불명, 여자인지 남자인지 팬들사이에서 설전이 오가고 있다.
- [47] 역시나 성별 불명. 일단은 인간이 아닌 '개미'라서 중성일 확률도 있고….
- [48] 아줌마다(...)
- [49] 네이버 웹툰앱 일본어판 한정 공식적인자리에서는 와타시 사용
- [50] 투하트2 AnotherDays 이후 작품에서
- [51] 밤일 경우에만 한정. 이 때는 '신야'의 인격으로 변한다.
- [52] 일본 게임판,
광년이가 된애니판 한정. 한국판에서는 ~하게체의 점잖은 말투를 쓴다. - [53] 난폭해질 때 한정
- [54] 척봐도 남자 같이 생겼다.
- [55] 텐카와 아키토에게 플래그(?)가 꽂혀 있는 동안에는 アタシ를 사용한다.
- [56] 주인공이 남자말투 써보는거 어떠냐고 했는데 진짜로 오레를 사용한다.
- [57] 요력이 충만한 밤에는 여자이지만 낮에는 남자가 되는 요괴다. 본인은 자신을 남자라고 생각하지만.
- [58] GBA판의 슈퍼 리얼 마작 동창회 한정
- [59] 오레온+중2병
- [60] 외양이 유우키 쥬다이와도 닮아서 쥬다이의 여체화가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 일인칭이 의도적인지는 한자 표기가 나와 봐야 할 듯.
- [61] 얜 아예 게임상에서 가타카나로 オレ라고 강조해서 나온다. 많이 해 본 사람은 벌써 얘 정체가 뭔지 감을 잡는다
- [62] 미끼 이야기에서 오레사마를 잠깐 쓴다. 평상시는 3인칭화.
- [63] 실제 마리사는 오레를 쓰지 않는다. 마리사 참조
- [64] 캐릭터 설명에는 オレ系라고 적혀 있지만 정작 1인칭은 와타시(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