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Park
1. 소개 ¶
2. 특징 ¶
2.1. 수위 ¶
최근에는 수위가 많이 낮아진 편이다.
2.2. 모두까기 ¶
2.3. 몰몬교 ¶
3. 오프닝 ¶
시즌 1부터 17까지의 오프닝.
가사:
Les: I'm goin' down to South Park, gonna have myself a time. Stan/Kyle: Friendly faces everywhere, humble folks without temptation. Les: Goin' down to South Park, gonna leave my woes behind. Cartman: Ample parking day or night, people spouting: "Howdy, Neighbor!" Les: Headin' down to South Park, gonna see if i can't unwind. Kenny or Timmy: (Unaired Pilot) Les: So come on down to south park and meet some friends of mine. |
시즌 6부터는 오프닝 배경에 이전 시즌 에피소드들의 장면을 넣어서 만들었다. 보다시피 오프닝이 매우 충격적인데, 시즌 1, 2, 3에는 오프닝이 정상(?)이였으나, 시즌 11 상/하반기에는 오프닝부터 검열삭제하는 장면이 잠깐 있으며, 시즌 12 하반기에는 오프닝에 검열삭제의 실루엣이 나타났으며, 시즌 13 하반기에는 여자가 검열삭제에서 반짝이를 뿜는 장면이 있었다.
5. 에피소드 목록 ¶
- 시즌 3
- 시즌 6
- 시즌 8
- 시즌 10
- 시즌 11
11. Imaginationland, Episode II
14. The List
- 시즌 13
- 시즌 14
6. 한국 관련 이야기 ¶
- "Chickenlover" : 바브레디 경감이 차를 몰고 가다가 'STOP'이라고 쓰여진 글자가 '멍청이'로 바뀐다.
- "A Very Crappy Christmas" : 4인방이 크리스마스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최종작업을 하기 위해 한국 애니메이션 회사에 하청을 맡긴다. 회사가 잠깐 비치는데 굉장히 엄격한 분위기에 회초리를 든 교관도 있고 어두컴컴하고 지저분하다. 물론 현실은 이렇지 않다.
- "Make Love, Not Warcraft" : 와우 플레이중 카일이 "사람들이 많은데?"라고 말하자, 에릭이 "하지만 절반은 한국인들이지."라고 했다.
근데 서버가 다를 텐데?
- "More Crap" : 랜디가 세계에서 가장 큰 똥을 쌌을 때 먹은 음식들 중 김치가 있다.
- "Pinewood Derby" : 랜디 마시가 각국 정상들과 통화하는 부분에서, 한국의 대표로 한승수 국무총리와 그 경호원이 잠깐 등장한다. 해당 이미지는 높으신 분들 참조.
- "Nightmare on Facetime" : 싸이의 강남스타일. 할로윈이라고 싸이 분장을 한 사람들이 여럿 돌아다니며, 후반부에는 강남스타일이 배경음악으로 등장한다.
- "Ginger Cow" : 이란인이 한국어로된 뉴스를 확인하는 모습이 잠시 비친다.
7. 사건 사고 ¶
- 투니버스에서 2001년경 방영을 '시도'했었으나 1기 6화 '나 좀 죽여줘요'(원제목: 'Death')에서 스탠의 할아버지가 "씨발 것들아 늙어서 오래 살면 뭐 해? 그러니까 나 좀 죽여달라고 개새끼들아!"이라 말하는 장면이 당시 2001년 당시 문제가 되어 방송위에서 징계를 받고, 벌금을 맏게 되고, 방영을 취소하면서 흑역사 가 되어버렸다.
- 2010년 4월 21일에 방영된 무함마드 관련 에피소드 때문에, 제작진들이 살해 협박 메일을 받아서, 무함마드가 등장하는 에피소드는 이후 방영 금지되었다. 200화와 201화인데 여기서 가장 마지막에 메시지를 주는 대사가 전부 다 블러처리가 되었다. 참으로 아이러니하게 그 블러 처리한 대사의 내용은 무함마드를 왜 사람들이 안 까는 것인가에 대한 것인데 안 까는게 아니라 폭력을 기반으로 한 협박을 해대니 못 하는 것이다. 폭력으로 사람들에게 두려움을 심으면 원하는 모든 것을 다 얻어낼 수 있다. 진정한 힘은 오로지 폭력뿐이다.라며 참으로 사우스 파크의 초심으로 돌아간 메시지였다.
8. 트리비아 ¶
- 게임도 있는데 N64로 나온 FPS 장르의 사우스 파크 게임이 하나있다. 게임성이 좋지만 난이도가 참으로...안습하다. 여기서도 케니는 죽는다.[24] 또 하나는 「South Park Let's Go Tower Defense Play!」라는 타워 디펜스식 게임인데(XBLA로만 발매) 테러리스트, 진저, 6학년, 히피, 소, 노인(...) 등을 잡아야 하는 게임. 그 외 「사우스 파크 랠리」라는 마리오 카트비슷한 레이싱 게임이 있다. 아이폰 게임으로는 일본 게임쇼에서 애들이 나와서 뻘짓하는 내용의 게임이 있다.
- 옵시디언에서 xbox와 PS3, PC용으로 사우스 파크 RPG 사우스 파크 진리의 막대를 출시했다. South park The stick of thuth 퓨디파이가 출하전에 플레이 영상을 올렸다.#[25] 항목 참조.
- 와우 에피소드는 여러 가지 상을 받은 에피소드이기도 하며, 이 에피소드를 위해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본 게임에는 없는 동작들을 만들어[26] 제작진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 주었다.
- 사우스 파크는 약빨았다는 소리를 많이 듣는데 실제로 제작자 트레이 파커와 맷 스톤은 사우스 파크 극장판의 음악 "Blame Canada"가 음악상을 받았을 때에 수많은 할리우드 인사가 모인 시상식에서 리무진을 타고 LSD를 빨고(...) 여자옷을 입고(...) 게이처럼 행동하며 간 적이 있다. 물론 지금은 안한다.
- 해외 애니메이션 중 동인녀에게 인기있는 소수의 작품 중 하나. 무슨 요소가 인기를 끄는 건지는 알 수가 없다.
어떻게 보면 남초이고 쇼타들이 많이 나오니까.픽시브에서 サウスパーク라고 쳐 보자. 팬아트 중 거의 대부분이 모에화, 미화그림이다. 그리고 BL그림만도 있으니 검색하지 말자할 때 주의. 구글 검색이나 이미지 검색으로 South Park라고 쳐보자. 그것도 미화그림과 BL그림도...그리고 BL그림을 보고 싶다면 Yaoi를 붙여주면 된다. 사우스 파크에 나오는 누구누구랑 엮이는 BL은, South Park (엮이는 사람)x(엮이는 사람)을 검색해보자. Yaoi 안 붙여도 BL 나온다.
- 사우스 파크의 특성상 등장인물이 나이를 먹지는 않는데 년도는 매 시즌마다 올라가므로 등장인물의 생년월일이 1년씩 올라간다...시즌14에서 스탠의 생일이 2001년으로 나온다. 그리고 사우스 파크는 1997년에 첫 방송했다.
- 2010년 만우절 특집으로 사우스파크 실사판이 계획된 적이 있었다. 아, 물론 만우절 드립이다.
- 모든 에피소드는 트레이 파커가 직접 대본을 쓰고 감독하였다. 당연히 트레이가 모든걸 한건 아니고 수많은 작가들이 서로 얘기한 다음 트레이가 대본을 쓰러 가는거다.
- 설정붕괴를 은근히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초기 시즌에는 주인공 4인방과 주요 조역들을 빼곤 이름이 오락가락한다. 예로 1시즌 6화 《Death》를 보면 카미카제 공격으로 희생되는 학부모 이름이 맥코믹(케니네 가족 성씨)이며, 리앤 카트먼이 쉴라 브로플로프스키를 "캐롤"이라고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버터스의 경우 스완슨 내지
낫케니낫낫케니푸프 푸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안습(...). 시즌11 에피소드 3화에서는 의사가 클라이드의 풀네임을 부를 때 클라이드 도노반 으로 부르지 않고 클라이드 해리스 라고 불리기도 한다.
- 아이들은 그림체가 워낙 단순하다보니 똑같은 옷과 헤어스타일을 하면 누가 누군지 알아볼 수 없다.
돼지 카트먼은 제외하고실제로 시즌5 4화 《Super Best Friends》에서 자학개그 소재로 활용된 바 있다.
- [1] 거의 모든 에피소드가 TV-MA 등급을 받았으나 코미디 센트럴에서 8시에 방영되는 재방송에서는 TV-14등급을 받았다.
- [2] 트레이 파커와 멧 스톤이 만든 사우스 파크의 기반이 되는 단편 애니메이션 '크리스마스 정신'의 제작 과정을 패러디한 것이다.
- [3] 이런 사우스 파크의 특징에 대한 다큐멘터리인 '6 Days to Air'도 있다.
- [4] 폭력 묘사는 매우 잔인하다. 머리가 터지는 장면이나, 장기자랑은 기본이고 신체폭발 같은 매우 고어한 요소가 가끔 나오며, 그중에서도 총상 묘사는 쓸데없이 리얼하다...총을 머리에 맞으면 피부가 찢어지고 살, 뇌조각이 나오고 나중에 구멍에서 뇌가 흘러나오는 것이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래도 색종이로 만들어서 입체감이 좀 떨어지는지라 모습은 덜 잔인하다.
- [5] 영국 등에서만 쓰이는 일부 욕설 'bloody!', 'knob' 등은 나오지 않는다. 대신 패밀리 가이에서는 스튜이가 'bloody'를 은근 자주 써먹는다.
- [6] TV-PG와 TV-14 등급의 경우 성적 대화를 의미하는 D 내용 표시가 붙을 수 있으나, TV-MA의 경우 D 내용 표시는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않아서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 [7] 시즌 18 1화에서는 대놓고 카트맨이 FUCK YOU를 외친다. 그것도 자기가 만든 회사 투자자들 앞에서, 자기가 만든 회사의 모토가 FUCK YOURSELF라며(...) 사람들에게 GO FUCK YOURSELF이라고 외친다.
- [8] 예를 들어 'fuck'를 검열삭제할 때 '삐~'처럼 완전히 가리느냐, '삐~k'처럼 뒤가 좀 남느냐 정도의 차이.
- [9] 물론 그랬다가 시즌 3의 첫화가 해외 정부 공식 인정 쓰레기 에피소드에 들었다. 트레이 말로는 나 여친이랑 거기갔는데 씨바 벼룩옮겨서 기분 좆같아서 만듦(...)이라고 제작자 코멘터리에서 말한다.
- [10] 종교같은 것도 다 까는데 어떤 한번은 무신론자들을 깠으니(...).
- [11] 혹시 헷갈릴 수도 있는데, 이 둘은 공동 제작자다.
- [12] 애초에 정상적인 존재로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 대체로 인간이 아니라 메카고지라같은 괴물로 출연하고 있다.
- [13] 브라이언 보이타노의 경우에는 뭐든지 할 수 있는 그런 사람으로 나오며 벤 애플렉의 경우에는 사우스 파크의 세계관의 사람들은 모두 그를 이상적인 남자의 표본이라고 생각한다.
- [14] 보이타노는 트레이 파커와 맷 스톤을 처음으로 공식방문한 유명인사라서 애플렉은 평소에 사우스 파크를 즐겨본다고 해서 그렇다는 이야기가 있다.
- [15] 케니가 사후세계에서 게임으로 천국의 군대를 조종한다는 에피소드에서
- [16] 이 에피소드에서 일본인들로부터 돌고래 공연장을 지키기 위해 고지라(...)를 고용하기도 했다.
- [17] 트레이 파커의 부인이 일본인이기도 하고, 일본어 강의를 수강하고 일본 문화 강좌를 여러 개 수여하는 등, 일본을 많이 알고 있다. 좋아하는 만큼 까는거다. 한국은 갈비와 김치밖에 몰랐으나, 팀 아메리카나 강남스타일을 보면 근래에는 또 아닌듯(...).
- [18] WOWOW, 일본 FOX 등에서 방영되었던 일본어 더빙판은 친포코몬 에피소드를 스킵하더니 결국 그 스바라시 친친모노가 나오는 8기 1화를 기점으로 아예 방영을 중단하고 말았다.
- [19] 미국은 방송국에서 프로그램을 만들 때 제작자하고 일정 기간에 한 번씩 계약한다. 최고 인기 드라마 및 쇼들은 돈을 더 받아 내기 위해서 1년에 한번 재계약을 하며, 스테디 셀러 프로그램들도 몇 년에 한 번씩은 재계약을 한다.
- [20] 글루텐을 섭취하니까 남성의 스바라시한 것이 날아다닌다. 그래서 미국 농무부에서 사람들을 통제하는데 이건 미국에서 서양인의 30~40%의 사람들이 글루텐을 잘 흡수하지 못한다고 나왔는데 에볼라 사태와 절묘하게 엮은것...
- [21] 모르몬 교를 바라보는 기독교, 무신론자 들의 시선을 비꼬는 것이다.
- [22] 시즌 6때는 스토리 설정 상으로 케니가 스토리에서 이탈하여 티미가 대신 오프닝에 참여하였다.
- [23] 따지고 들자면 이때의 오프닝은 기존의 에피소드들을 무작위로 짜맞춘 형태여서 저런 괴이쩍은 것들이 오프닝에 나온 것이다. Go god go 연작, 1205(Eak, a penis!), 1304(Eat, Pray, Queef)에 저 장면들이 등장한다.
- [24] 게임 회사 이름이 소개될 때도 웬 괴물에게 잡혀먹혀 죽는다. 물론 게임 플레이땐 스토리상 죽는다.
- [25] 8분 30초경의 예수의 총질과 13분경에 미스터 슬레이브의 xxx으로 적을 집어 넣는 건 꼭 보자.
- [26] 머리를 해머로 박살내는 동작이라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