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MANI 시리즈 | ||||
현역 기종 (★는 대한민국 정식 출시작) | ||||
beatmania IIDX 22 PENDUAL ★ |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 ★ | 댄스 댄스 레볼루션 2014년 버전 ★ | GITADORA OverDrive | 유비트 프롭 ★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 ★ | 댄스 에볼루션 아케이드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 | 미라이다갓키 Ver.2 | BeatStream |
단종/발매 취소 기종 | ||||
beatmania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 팝픈스테이지 | 댄스 댄스 레볼루션 솔로 | 키보드매니아 |
beatmania III | 댄스매니악스 | 파라파라 파라다이스 | 맘보 아 고고 | 토이즈 마치 |
댄스 86.4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XG | 랩 프릭스 | ||
발매예정 | ||||
GITADORA Tri-Boost |
같이 보기 | ||
아티스트 | 연동 이벤트 | 음반 |
SOUND VOLTEX III GRAVITY WARS
- 이 항목은 사볼3로 들어올 수 있다.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 | ||||
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 | →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 → | 미정 |
가동시작일 | 2014년 11월 20일 | |
일본 공식 홈페이지 | ||
한국 공식 홈페이지 |
1. 개요 ¶
- 엔트리 및 튜토리얼 영상
미지의 중력을 체험하라
2014년 5월 28일 제작이 발표되고, 2014년 9월 BEMANI 생방송(가)를 통해 정식으로 공개된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 테마 컬러는 주황색과 검은색으로, 전작에 비해 보다 무거워진 분위기가 특징이다. 정식 가동은 2014년 11월 20일.
2.1. 로케 테스트 ¶
로케 테스트 고지 PV
9월 17일자 비마니 생방송 51회에서 처음 발표되었다. beatmania IIDX 22 PENDUAL 등의 로케 테스트가 개최되었던 실크햇 가와사키다이스점에서 1차 로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테스트 일정은 9월 27일부터 9월 28일까지 이틀간. 이후의 테스트 진행 일정은 아래를 참조.
일자 | 장소 | 비고 |
2014년 9월 27일 ~ 2014년 9월 28일 | 실크햇 가와사키다이스점 | |
2014년 10월 3일 ~ 2014년 10월 5일 | 나고야 레저랜드 | |
2014년 10월 10일 ~ 2014년 10월 13일 | 라운드원 우메다점 | 신곡 1곡 추가 |
2014년 10월 17일 ~ 2014년 10월 19일 | 라운드원 후쿠오카텐진점 | |
2014년 10월 31일 ~ 2014년 11월 3일 | THE 3RD PLANET BiVi 센다이점 | |
2014년 11월 7일 ~ 2014년 11월 9일 | 디노 파크 노루베사 |
유저들의 반응을 의식했는지 근 몇 년 사이에 발매된 BEMANI 시리즈 작품들에 비해 빠르고 잦게 로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3. 요금 체계 ¶
현재 한국에서는 아래의 3개 모드로 플레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1크레딧 = 500원이다.
모드 | LIGHT START | STANDARD START | BLASTER START |
크레딧 | 1 | 2 | 2 |
곡 수 | 최대 3곡 (보장 없음) | 3곡 보장 | 2곡 보장 |
특징 | 자신의 스킬 레벨에 따라 1,2트랙의 선곡 가능 레벨에 제한이 걸림 레벨 7 이하의 패턴에 한해 다음 트랙 보장 | 보유곡 내에서 자유로이 선곡 가능 | - |
4. 시스템 변경 및 추가 ¶
- 게임 플레이 관련
- 노브 패턴의 시작점 및 이동 범위 제한 해제
노브 패턴의 시작점 및 이동 범위 제한이 사라져 트랙 안팎 어디서나 등장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 나오던 반대 방향에서 노브가 나오거나 트랙 중간이나 심지어 밖에서부터도 노브가 등장한다.
- FX노트 + BT노트 동시치기
지금까지 FX+BT 노트의 동시치기는 FX롱과 BT칩을 제외하면 겹치지 않았으나, 본작부터는 이 제한이 사라져 BT롱+FX롱, BT칩+FX칩, FX칩+BT롱과 같이 어떤 방식으로든 겹칠 수 있게 되었다.
- GRAVITY 난이도 신설
전작의 INFINITE 난이도와 같은 개념의 난이도인 GRAVITY가 추가되었다. III 신요소를 추가한 난이도로, 실질적으로 INFINITE가 이름을 바꾼 것에 가깝다. 선곡 창에서도 INFINITE와 함께 난이도 네 번째 칸을 공유하나, 공식에서는 두 난이도를 다른 난이도로 취급하며 INFINITE 패턴들은 기존의 난이도명을 그대로 유지한다.
- 트랙 스타일 개편
겉보기엔 큰 변화는 없지만 직접 플레이해보면 보여지는 트랙 길이가 전작보다 짧아서 노트 표시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짧아졌다. 때문에 레인 스피드(LANE SPEED, BPM * HI-SPEED)는 전작 대비 약 40정도 낮게 맞추고 플레이하는 것이 추천된다. 그리고 체감 판정선 위치도 변경되었기 때문에 일부 유저는 초기에 판정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추후에 판정선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 트랙 연출 스타일 추가
트랙의 상하 각도가 조절되거나 트랙 자체가 확대/축소되는 연출이 추가되었다. 이 연출들은 플레이어의 행동이나 플레이에 반응하여 일어나는 연출이 아니라 패턴 자체에 이미 지정이 되어있는 연출로, 기존 사운드 볼텍스에서 좌우로 앵글 각도가 변화하는 연출을 확장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 스토리 미션 추가
1월 21일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GRAVITATIONAL RADAR라는 이름으로,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처럼 하나의 스토리로 진행되며 미션을 수행하면 스토리가 흘러가는 구조로 되어있다. 신곡 INDEPENDENT SKY를 이 미션을 통해 해금할 수 있다.본격 미연시화
- 노브 패턴의 시작점 및 이동 범위 제한 해제
- 옵션 관련
- EARLY/LATE 표시
beatmania IIDX 시리즈의 FAST/SLOW처럼 입력을 빠르게 했는지, 느리게 했는지를 표시하는 옵션이 추가되었다. EARLY/LATE의 표시 위치는 변경하거나 아예 끌 수도 있다. 일본에서는 2014년 12월 14일, 한국에서는 12월 17일 진행된 업데이트를 통해 결과화면에서 각 판정의 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아래 판정선 조절 기능에 참고할 수 있게 되었다.
- HI-SPEED 제한 확장
최대 HI-SPEED가 종전의 6.0배에서 7.0배까지 상승했다.
- 레인 스피드 설정 및 저장
스타트 버튼을 두 번 누르면 레인 스피드를 직접 조정할 수 있어, 이전보다 더 세밀한 배속 조정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스타트 버튼을 누른 채로 키패드의 6번을 누르면 현재의 레인 스피드가 붉은색 숫자로 저장되며, 이후 스테이지 시작 시 같은 레인 스피드로 자동으로 조정된다. 단, 변속곡에서는 시작시의 BPM값이 아닌 곡마다 설정된 주 BPM값에 맞춰 조정된다는 점에 주의하자.
- 카테고리 폴더 기능
FX를 누르면 전작에서는 장르 탭 이동이 가능했으나, 본작에서는 beatmania IIDX처럼 레벨별, 버전별, 장르별 카테고리 폴더 기능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인풋 스테이션에서도 카테고리 폴더 옵션은 사용이 가능하다.
- 스킬 애널라이저 모드 관련
전 스킬 애널라이저와 달리 A코스, B코스, C코스 중에서 하나를 선택 가능하며, 마지막 트랙을 제외한[1] 전체적인 난이도가 감소하였다. 대표적으로 스킬 레벨 9의 수록곡 난이도 구성이 15-15-15에서 14-15-15 혹은 14-14-15로 하향 조정되었다. 이는 이번 작에서 대규모의 난이도 개편이 있었고, 전체적으로 전작보다 악곡들의 레벨이 내려갔기 때문에 스킬 애널라이저의 난이도가 전작과 같은 수준이 되려면 난이도 구성을 하향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노브 색 변경
좌우측의 노브 라인 색을 붉은색, 푸른색, 초록색, 노란색 중 하나로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색약이 있는 유저를 배려하기 위한 기능이라고 한다. 양 라인을 같은 색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 노브 라인을 모두 같은 색으로 설정하거나 양쪽을 서로 반대 색깔로 바꿔서 플레이하는 변태적인(...) 플레이를 할 수도 있다. 예시1 예시2
- 판정선 조절 기능
2014년 12월 4일에 신곡 업데이트 및 새로운 옵션을 업데이트로 판정선 조절 옵션이 추가 되었다. 사운드 볼텍스 3으로 넘어오면서 판정이 적응이 안된다는 의견이 많아 이 옵션을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노래를 선택한 후 START 버튼 + 키패드 3,9번을 누름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EARLY가 뜨면 9번을 누르고 LATE가 뜨면 3번을 누름으로써 판정선 조절이 가능하다. 현재 판정선의 위치는 배속 설정 부분의 밑에 나타난다.
- EARLY/LATE 표시
- 해금 요소 관련
- 인풋 스테이션에서 BT 버튼을 누르면 악곡 선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2개 이상의 곡을 한꺼번에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 어필 카드를 최대 10장까지 동시에 뽑을 수 있다. 초기에는 II의 카드 고르기 이벤트처럼 뽑은 카드 중 하나만 가져갈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으나 실제로는 NEW 표시가 된 카드는 모두 받게 된다. 단순히 획득한 카드의 종류를 보여주기 위한 연출이지만 그 연출이 카드 고르기 이벤트와 완전히 흡사했기 때문에 이런 오해가 발생한 것. 증거영상
- 어필카드 제너레이터 No.3 신설. 색깔은 노란색, 가격은 장당
500Pc[2]200Pc[3]이며 작동 시 좌우 노브 중 어느쪽이든 돌려도 된다는 설명이 붙었다.[4]
- 2015년 2월 13일에는 붉은색[5]의 '어필카드 제너레이터 스페셜'이 출현. 가격은 장당 500Pc.
- 인풋 스테이션에서 BT 버튼을 누르면 악곡 선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2개 이상의 곡을 한꺼번에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 리얼 어필카드 제네레이터
리얼 어필카드 제네레이터가 별도의 기계로 존재한다. 팝픈뮤직의 팝픈 카드처럼 추가 과금시 게임 종료 후 배출되는 형식이나, 처음부터 이미지가 그려진 카드가 배출되는 팝픈뮤직과는 달리 실시간으로 내부 프린터에서 이미지가 인쇄되는 방식이며, 오레카 배틀 시리즈의 것을 그대로 사용. 2015년 3월 11일부터 일본 내에서 정식 가동을 시작했다. 사진
4.2. INFINITE BLASTER ¶
인피니트 블래스터 항목 참조.
4.3. 구곡 변경점 ¶
이전 버전 기동시에도 난이도 조정이 좀 있긴 했지만, 이번 작에서는 ADVANCED 및 EXHAUST를 중심으로 총 70패턴에 달하는 대규모 난이도 조정이 이루어졌다. 다음은 주요 변경점.
- 난이도 상향
- 10 → 11
- MAX 300 takamatt MIN REMIX EXH
- 人生リセットボタン ADV
- ドロボウナイトトリック ADV
- MAX 300 takamatt MIN REMIX EXH
- 11 → 12
- 最終鬼畜妹フランドール・S ADV
- 恋する☆宇宙戦争っ!! あばばばみっくす ADV
- 最終鬼畜妹フランドール・S ADV
- 10 → 11
- 난이도 하향
- 15 → 14
- 有頂天ビバーチェ EXH
- 断片Story EXH
- 西日暮里の踊り INF
- チルノのパーフェクトさんすう教室 INF
- 有頂天ビバーチェ EXH
- 14 → 13
- TRIGGER★HAPPY EXH
- イカサマライフゲイム EXH
- 天ノ弱 EXH
- 青春☆してるかい?READY&LADY! EXH
- dreamin' feat. Ryu☆ EXH
- ALBIDA Powerless Mix EXH
- 不思議玩具ガンガラディンドン EXH
- おにゃのこ きねんび EXH
- Tomato Leaf Breaks EXH
- ゆうしゃのなつやすみ EXH
- カーニバル EXH
- アノ華咲クヤ EXH
- Antinomie EXH
- TRIGGER★HAPPY EXH
- 13 → 12
- ソラヘドライブ EXH
- キミノメヲ EXH
- Black Board EXH
- 秘封倶楽部の未踏世界 EXH
- Diffused Reflection EXH
- HΨ=世界創造=EΨ EXH
- Smile EXH
- Devotion EXH
- ソラヘドライブ EXH
- 12 → 11
- ハートブレイク・ヘッドライン EXH
- dream control EXH
- 蒼空に舞え、墨染の桜 EXH
- 自由のための不自由 EXH
- Two Fates EXH
- 夢の空、約束の場所 EXH
- VALLIS-NERIA ADV
- コンベア速度Max!? しゃいにん☆廻転ズシ"Sushi&Peace" ADV
- ハートブレイク・ヘッドライン EXH
- 15 → 14
하지만 문제는 六兆年と一夜物語 EXH 패턴같이 내려가야할 것은 안내려간데다 15레벨에서 이상한 게 내려가서 14레벨에 순식간에 불지옥이 펼쳐졌다는 점. 당장 15레벨에서 14레벨로 하향된 곡들 중 정말 내려가야했던 西日暮里の踊り INF 패턴 빼고는 전부 다 15레벨에서 하위권정도는 했지 14레벨로 내려갈 패턴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5. 수록곡 관련 정보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 항목 참조
6. 기타 ¶
로케테 이후, For UltraPlayers로 사운드 볼텍스 3의 플레이 화면을 재현한 시뮬레이션 영상이 업로드 되었던 것이 많은 유저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었다. 자세히 보면 사운드 볼텍스 2와 비교했을 때 노브에 미러가 걸려있고, 상하로 흔들리는 효과가 계속해서 지속되는데 이것은 단순히 추가된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 줄곧 흔들리게 처리한 것이다. 문제는 이것이 로케테 참가자들에 의하면 거의 흡사하게 재현되었다는 것. 과장된 부분이 있다는 반응도 있지만, 영상으로만 보면 비주얼적인 측면에만 치중한 듯 알아보기 힘든데다 어지럽고 복잡해진 탓에 유저 여론이 상당히 나빴다.
그리고 2014년 11월 19일 BEMANI 생방송(가)에서 시연 플레이를 보였다. 노브 시작 지점 제한 삭제, 버튼 동시치기 제한 삭제, 트랙 줌인 줌아웃 등 다양한 신 요소가 공개되었는데, 유저들 사이에서는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이 극과 극으로 갈리는 상황이다. 확실한 것은 위의 재현 영상은 과장된 부분이 상당히 많다는 것. 사운드 볼텍스 2가 나왔을 때 BT, FX의 숏노트 롱노트 구분이 사라졌을 때에도 반응은 이와 비슷했고, 결국 유저들이 적응해나가며 부정적인 여론은 점차 수그러들었던 것을 생각해보면, 사운드 볼텍스 3도 같은 길을 걸어갈 것인지는 두고봐야 할 것이다.
로고 폰트나 일부 UI 등이 스타크래프트 2를 연상시킨다는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