西大門區 / Seodaemun-gu

[JPG image (86.78 KB)]
서대문구청 전경. 새 건물처럼 보이지만 실은
서대문구 西大門區 / Seodaemun District | |
국가 | 대한민국 |
면적 | 17.61km2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하위 행정구역 | 14동 |
시간대 | UTC+9 |
인구 | 31만 3,216명 (2014년 7월 주민등록인구) |
인구밀도 | 17,786.26명/km2 |
구청장 | 문석진 재선(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국회의원 | 우상호(서대문구갑) 재선(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정두언(서대문구을) 3선(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
Contents
- 1. 개요
- 2. 역사
- 3. 정치
- 4. 지리
- 5. 지역 특색
- 6. 교통
- 7. 관내 철도역 목록
- 8. 기타
- 9. 하위 행정구역
- 9.1. 남가좌1동, 남가좌2동: 남가좌동(南加佐洞)
- 9.2. 북가좌1동, 북가좌2동: 북가좌동(北加佐洞)
- 9.3. 북아현동: 북아현동(北阿峴洞) 일부
- 9.4. 신촌동: 대신동(大新洞), 대현동(大峴洞), 봉원동(奉元洞), 신촌동(新村洞), 창천동(滄川洞)
- 9.5. 연희동: 연희동(延禧洞)
- 9.6. 천연동: 냉천동(冷泉洞), 영천동(靈泉洞), 옥천동(玉川洞), 천연동(天然洞), 현저동(峴底洞)
- 9.7. 충현동(忠峴洞): 미근동(渼芹洞), 북아현동 일부, 충정로2가(忠正路2街), 충정로3가(―3街), 합동(蛤洞)
- 9.8. 홍은1동, 홍은2동: 홍은동(弘恩洞)
- 9.9. 홍제1동, 홍제2동, 홍제3동: 홍제동(弘濟洞)
- 10. 관련 항목
2. 역사 ¶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 연희방, 반송방 지역이었고, 1910년 경성부 연희면이 되었다. 1914년 고양군에 편입되어 고양군 연희면이 되었다가, 1936년 경성부에 재편입되었다.
1943년 경성부 구제(區制) 실시로 설치된, 서울 최초의 7개 구 중 하나이다.[1]
1944년 서대문구의 일부를 마포구로 분리하였다. 1949년 고양군 은평면을 편입하고 은평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64년 노고산동·대현동의 일부가 마포구에 편입되고, 마포구 아현동 일부가 서대문구 북아현동에 편입되었다.
1975년 서대문구 관할이었던 구기동·평창동·무악동·교남동 등이 종로구에, 정동·서소문동·의주로동·충정로1가[2]·중림동·만리동 등이 중구에, 서대문구 상암동·성산동·연희동 일부[3] 등이 마포구에 편입되었다. 서대문이 있는 정동이 바로 이때 중구로 편입되어 서대문구에는 더이상 서대문이 존재하지 않게 된 것.
1979년 서대문구 은평출장소가 은평구로 분리된 이후 오늘날에 이른다.
3. 정치 ¶
서대문구 : 박근혜 88,811표(45.53%) < 문재인 105,412표(54.04%)
박근혜 : 없음
문재인 : 신촌동(58.2%), 북아현동(55.7%), 북가좌2동(55.7%), 홍제3동(55.6%), 북가좌1동(55.3%), 홍제1동(54.8%), 홍은1동(53.9%), 천연동(53.6%), 남가좌2동(53.5%), 연희동(53.2%), 홍은2동(52.4%), 남가좌1동(51.5%), 홍제2동(51.4%), 충현동(51.0%), 재외투표(57.2%), 국내부재자(53.4%) (14개동 + 재외투표 + 국내부재자)
박근혜 : 없음
문재인 : 신촌동(58.2%), 북아현동(55.7%), 북가좌2동(55.7%), 홍제3동(55.6%), 북가좌1동(55.3%), 홍제1동(54.8%), 홍은1동(53.9%), 천연동(53.6%), 남가좌2동(53.5%), 연희동(53.2%), 홍은2동(52.4%), 남가좌1동(51.5%), 홍제2동(51.4%), 충현동(51.0%), 재외투표(57.2%), 국내부재자(53.4%) (14개동 + 재외투표 + 국내부재자)
4. 지리 ¶
![]() [JPG image (564.8 KB)] |
|
가장 먼저 구의 한복판에는 안산(鞍山, 해당 항목의 2)이 있다. 산의 꼭대기에는 근래에 복원된 조선시대의 봉수대가 있으며, 맑은 날에 동쪽을 바라보면 N서울타워나 63빌딩 등을 볼 수도 있다. 도시 한복판에 있으면서도 산세가 험하지 않아 인근 주민들이 많이 찾는다. 산기슭에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절 봉원사 등이 있으며, 연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의 일부 또한 이 산에 걸쳐 있다.
바로 옆 구의 동쪽 경계(境界)에는 서울성곽의 서쪽 경계를 이루고 있는 인왕산(仁王山)이 있으며, 두 산 사이에는 무악재가 있다. 이 무악재를 가로질러 통일로(예전엔 의주로)가 놓여 있고, 그 아래로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지나고 있다. 무악재 아래에는 독립문과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 있으며, 이 일대는 독립공원으로 불리고 있다.
한편 구의 북쪽 끝 홍은동에는 북한산이 아주 조금 걸쳐 있다.
홍제천이 구의 북부에서 남서부로 비스듬히 흘러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간이 이 하천을 따라 지어진 내부순환도로의 아래에 가려 있다. 안습. 그래도 물길을 따라 자전거도로가 놓여 있고 구청 근처의 절벽에는 인공폭포가 설치되어 있는 등, 훌륭한 공원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하천을 따라 내부순환도로가 설치될 무렵부터 건천이 되었다가, 최근에는 청계천처럼 한강의 물을 끌어올려 흘려보내면서 다시 물이 흐르기 시작하였다.
구 서쪽에 흐르는 불광천이 북가좌동과 은평구 증산동의 경계 역할을 하며, 불광천변에도 물길을 따라 산책로와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등이 갖추어져 있다.은평구쪽 시설이 더 좋다
구 서쪽에 흐르는 불광천이 북가좌동과 은평구 증산동의 경계 역할을 하며, 불광천변에도 물길을 따라 산책로와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등이 갖추어져 있다.
5.1. 대학교와 대학가(大學街) ¶
세브란스병원으로도 유명한 연세대학교가 신촌동에 있고, 이화여자대학교가 대신동에 있다. 두 대학교의 근처에 있는 신촌이 먹자골목/유흥가대학가로서 서울의 주요한 부도심들 중에 하나로 성장하였다. 서강대학교 또한 이 근처에 있어, 신촌은 이 대학교의 대학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5] 서대문구의 유일한 백화점인 현대백화점 신촌점도 여기에 있다. [6] 한편 한국에서 찾기 힘들다는 일본산 노래방 기계가 있어, 국내 오덕들에게는 성지와도 같은 곳이 되었다. (홍대 항목을 참조하라.)
남가좌동과 홍은동에 걸친 지역에는 명지대학교의 인문 캠퍼스와 명지전문대학이, 냉천동에는 감리교신학대학교가, 북아현동에는 추계예술대학교가, 충정로동에는 경기대학교의 서울 캠퍼스가, 홍제동에는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와 서울여자간호대학이 자리잡고 있다.
5.2. 의료기관 ¶
한국 최초의 근대식 의료기관인 광혜원/제중원을 기원으로 하는 세브란스병원[7]이 신촌동에 있다. 홍은동에는 동신병원이 있다.
연희동(서대문구청 근처)에 서대문보건소가 있으며, 홍은동(홍은분소)과 옥천동(천연분소)에 분소를 두고 있다.
5.5. 젊은이와 늙은이 ¶
신촌 및 연대, 이대를 중심으로 젊은이들이 많이 들리고 있는 곳이면서 독립문을 중심으로 노인들이 많이 들리는 복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신촌/연대나 이대만 가봐도 젊은이들이 왕래하는 편이고 독립문이나 독립공원에는 노인들이 왕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6.1. 궤도교통 ¶
남쪽에는 경의선이 마포구와의 경계를 따라 지나며, 신촌 지역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마찬가지로 마포구와의 경계를 따라 지나간다. 동쪽 끄트머리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이 통일로를 따라 지나고, 서쪽 끄트머리인 북가좌동에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이 지나간다. 한편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5호선의 환승역이자 무지막지한 규모를 자랑하는 던전인 충정로역도 이 구에 있다.
경의선, 2호선, 3호선, 5호선, 6호선 등 궤도교통 노선이 많기는 한데 어째 다 구 끄트머리의 경계만을 지나가는지라 안쪽에 있는 연희동, 홍은동, 남가좌동은 철도교통으로의 접근성이 극히 안 좋다. 실제로 이 지역은 서울시계 내에서 궤도교통 접근성이 제일 나쁘기로는 동대문구 전농동-장안동 지역과 함께 손에 꼽힐 정도다. 서대문구청도 이 라인 안에 있다. 이들 지역으로 가려면 홍제역(홍은동, 서대문구청 방면), 새절역(홍은동 방면), 홍대입구역(경의선/공철 → 연희동 방면)에서 환승해야 한다.
추후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지어지면 이 지역들의 교통 여건이 매우 좋아지겠지만, 언제 지어질지 모른다.
7. 관내 철도역 목록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충정로역(2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충정로역(5호선)[11]
- 수도권 전철 경의선 : 가좌역, 신촌역(경의선)[12]
8. 기타 ¶
구의 중앙부에 있는 연희동은 대표적인 고급주택 밀집 지역으로,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의 거주지이기도 하다. 서태지도 연희동에 살았다.
미용실은 명지대학교 인문캠 정문앞 이열헤어컷과 이가미방, 오모쿠가 유명하다. 이열헤어컷은 여자가 많이 가며 오모쿠는 남자가 많이 간다.
9.2. 북가좌1동, 북가좌2동[13]: 북가좌동(北加佐洞) ¶
구 서쪽에 위치한 동으로 가재울중, 가재울고, 북가좌초가 있다. 거북골로를 경계로 남쪽이 북가좌1동, 북쪽이 북가좌2동으로 구분된다. 오래된 주거지역이었으나 최근 북가좌1동 일부 지역이 가재울뉴타운에 포함되어 주거환경관리사업이 시행되었다. 수색로에 접한 북가좌1동 상당 부분은 가재울뉴타운 3구역으로 지정되어 아파트 대단지가 들어섰으며 2012년 재개발이 완료되었다.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증산역이 동의 북서쪽에서 가까우며(역사는 불광천 건너 은평구에 위치한다.) 은평구와의 경계에 불광천이 흐르고 있다.
응암로를 기준으로 불광천과 접한 서쪽은 구획정리가 잘된 평탄지대인 반면 응암로 동쪽은 울퉁불퉁한 언덕이 많으며 언덕 꼭대기까지 주택이 들어차 골목길이 상당히 복잡한 편이다. [14]
사실상 은평구권이라 은평구로 아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9.5. 연희동[18]: 연희동(延禧洞) ¶
조선시대 이궁 가운데 하나였던 연희궁이 동명의 어원이다. 연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가 인근에 위치하며 특히 구 연희3동 지역 상당 부분은 연대서문이라 불리는 연세대학교 근처 자취촌이 된다. 한편 경내의 고급 주택지에는 교수, 선교사, 외국인들과 정치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연남동과 더불어 화교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으로,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화교 학생들을 위한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가 이 동네에 있다.
연희로를 기준으로 동쪽에는 연희초, 한성화교고, 연북중, 신연중, 서대문도서관, 서대문구청, 서대문소방서, 서대문자연사박물관, 리치몬드제과점 연희점이 있다. 과거 서태지가 살았던 곳이 연세대학교 북문 근처에 있다.[19] 동의 남서쪽에는 서연중, 104고지, 연희사러가쇼핑센터가 있다. 동의 서쪽에는 운동장만한 고급주택이 밀집한 부촌이 형성되어 있다. 연희삼거리에서 북서쪽으로 가다 보면 도로변에 SF&판타지 도서관이 있다. 도서관이 있는 블록 안쪽으로 들어가면 자칭 '보통사람'이신 그분의 자택이 있다. 도서관의 건너편 블록에는 연희문학창작촌이 있는데 바로 옆에 전재산 '29만원'의 그분의 자택이 붙어 있다 마침 근방의 마포구 서교동(동교동 포함)에도 최규하, 김대중 두 대통령의 사저가 있다. 특히 현대사에서 밀접하게 얽힌 이들 4명의 대통령들의 사저가 이 근방에 모여 있다는 것이 흥미롭다.
사러가쇼핑 주변은 먹자골목이라 불리며 음식점 상권이 잘 형성되어 있다.
원래 마포구 연남동 역시 연희동에 속했으나. 1975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경의선 남쪽 연희동을 떼어 마포구로 편입시키면서 떨어져나가버렸다. 연남동(延南洞)은 연희동의 남쪽이란 뜻이다.
9.8. 홍은1동[22], 홍은2동[23]: 홍은동(弘恩洞) ¶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홍은1동은 서쪽으로 통일로와 접하며 남쪽으로 홍제천과 접한다. 홍은사거리 근처에는 재개발이 예정된 유진상가가 있다. 산자락을 따라 조성된 주거지들은 추후 재개발, 재건축이 예정되어 있다. 철도 접근성이 나쁜 편으로 그나마 가장 가까운 역이 홍제역이다.
홍은2동은 남쪽으로 홍제천과 접하며 서쪽으로는 남가좌동과, 동쪽으로는 홍은1동과 접한다. 북쪽으로는 백련산이 자리잡고 있다. 홍은중, 정원여중, 홍연초, 그랜드힐튼서울호텔, 서대문문화회관, 명지초중고, 명지전문대학, 백련사가 있다. 동의 남쪽은 완전히 철도 사각지대로 홍제역, 가좌역 모두 접근성이 나쁘며, 명지중고교 및 명지전문대학 근처에서는 그나마 새절역이 가깝다.
재미있는 것은 동 내에 홍제초등학교(1동)가 있는데, 정작 동 이름과 같은 홍은초등학교는 홍제동(행정동 홍제3동)에 있다(...)[24]
----
- [1] 7개 자치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성동구, 영등포구, 용산구, 종로구, 중구.
- [2] 충정로역 근처인 충정로2·3가는 그대로 서대문구에 남았다.
- [3] 현재의 마포구 연남동이다.
- [4] 예전에는 YMCA가 운영/관리하는 서대문문화체육회관이었으나, 2012년에 서울시설공단으로 운영/관리 주체가 변경되고, 이름도 오늘날과 같이 바뀌었다.
- [5] 상위권 대학교들이 밀집해 있는 것도 신촌의 발전을 도왔지만, 교통의 발달도 이에 큰 역할을 하였다. 신촌로터리는 과거부터 서울 서북부 교통의 요지였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개통하면서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다. 지금도 신촌역이 있는 신촌로터리와, 연세대학교 정문 앞의 성산로로 수많은 버스 노선들이 경유한다.
- [6] 현대백화점 뒷 편에 있는 공원은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주변에 살던 어린이들의 놀이터이자 유치원들의 소풍 장소였는데, 어느 순간부터 가출 동성애자 청소년들의 서식지가 되어 현재 그곳에서 노는 어린이는 아무도없다.
- [7] 미국 북장로교에서 파견된 알렌 박사가 1885년에 설립하였다. (출처: 위키백과 한국어판 "광혜원" 항목) 1899년부터 "세브란스" 명칭이 해당 병원/의료교육기관에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955년에 연희전문학교와 통합하여, 연세대학교 의료원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역사가 오랜 세브란스병원 명칭이 널리 쓰이고 있다.
- [8] 유학 도중 교통사고로 숨진 딸을 기리기 위하여 한 독지가가 건립기금을 기부해 설립한 도서관이다. 도서관의 이름이 바로 이 유학생의 이름을 딴 것이다.
- [9] 어린 자녀들이 있는 가족들이 많이 찾는다.
언덕 꼭대기에 있는주제에 버스는 언덕 아래에 선다. - [10] 한때 유영철이 살인 후 사체를 유기한 장소로도 유명하였다.(…)
- [11] 서대문역은 종로구 관할이다.
- [12] 서울 지하철 2호선 지하 신촌역은 마포구 관할이다.
- [13] 1977년 북가좌동에서 분동(分洞)
- [14] 북가좌1동 측의 가재울뉴타운은 언덕을 대부분 깎아내서 평지로 만든 후 재개발이 진행된 곳이다.
- [15]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기존의 북아현1, 2동
- [16] 14년 2월 6일부터 차량통행이 금지됨, 14년 11월 아현-충정로 구간 중앙차로 개통.
- [17]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행정동 대신동과 창천동이 합병되어 신설된 행정동
- [18]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기존의 연희1, 2, 3동
- [19] 서태지와 아이들 활동 시기에 거주했던 곳으로 담벼락에 서태지 팬들의 흔적이 남아 있다. 현재는 평창동 거주.
- [20]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기존의 북아현3동과 충정로동. 이 때문에 새 행정동의 지명은 '충정로'와 '북아현'에서 한 글자씩 따 와서 만들어졌다.
- [21]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기존의 북아현3동
- [22]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홍은1, 2동
- [23] 2008년 행정동 개편 이전의 홍은3동
- [24] 내부순환로 타고 홍은네거리 쪽으로 내려가는 옆에 보인다.
- [25]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홍제1, 2동
- [26] 2008년 행정동 개편 이전의 홍제3동
- [27] 2008년 행정동 개편 이전의 홍제4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