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라인업 ¶
- 인터내셔날
- 숙성년수 미표기, 가격대는 12년급 블렌디드 위스키 정도 한다.
6년 숙성 원액과 21년 숙성 원액을 같이 섞는다고 하는데, 이걸 가지고 평균주령을 산출, 13년으로 표기 출시해서 한 때 문제가 된 적이 있다. 원래 위스키 숙성년수 표기는 함유된 원액 중 가장 어린 원액을 기준으로 한다. 이건 전세계 공통 규칙. 그런데 이걸 속이다니...참으로 롯데스럽다참고로 한국 한정으로 발매되는 발렌타인 마스터즈의 경우 17년 원액이 대부분(발렌타인 주장)이지만 12년 원액도 들어가기 때문에 17년으로 표기할 수 없어 마스터즈라는 이름을 대신 썼다고 한다. 해외에서는 조니워커 스윙도 같은 경우로 연수 표기 대신 스윙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이처럼 연수 표기는 꽤 엄격하다.
맛은 그다지 없다. 정말 없다. 위스키의 묵직한 느낌이 없지는 않으나, 소주와 비슷한 기묘한 단맛이 있으며, 위스키향은 나긴 나는데 금방 사라져 버린다. 이보다 훨씬 저렴한 발렌타인 파이니스트보다 훨씬 떨어지는 맛. 정 궁금하다면 180ml짜리 미니보틀을 따보자.몇천원 보태서 375ml짜리 발렌타인 파이니스트를 사는 게 낫다.
- 스카치블루 포켓 (숙성년수 미표기/ 200ml PET)
- 위의 스카치블루 인터네셔날을 200ml PET병에 병입한 것이라고 한다. 그냥 형편없다.
- 17년
- 21년
- 30년
- 12년 싱글몰트
환상종(있다고는 하는데 보이질 않아;)
- 토민톨 증류소의 원액을 병입했다고 한다.
대체로 평이하다는 평. 그러나 가격이 미쳤다. 아니, 롯데가 돈에 미쳤다는 말이 더 맞을 것 같다. 초심자에게는 괜찮을 듯. 하지만 끝에 단맛이 알수 없게 진하고 조금 역하다.설마 가당을 한 것은 아니겠지..하지만 증류소 이름도 안써있고...토민툴과 비교 테이스팅이라도 해야 확실해질듯. 무엇보다 최악인 점은 다른 라인업과의 연결되는 느낌이 없다. ~~대체 이걸 원액으로 쓰긴 쓴건가?!
- 12년 블렌디드 몰트
- 위 제품에 몇 개 증류소의 원액을 더 섞은 제품. 위 제품보다도 평이 안좋은 모양.아니, 애초에 구할수가 있나?
- (외전) 캐나디언 블루
- 캐내디언 라이 위스키를 병입해서 판매하는 제품. 위 몰트 제품군보다 더욱 보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