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항목: 포켓몬스터/목록/3세대
310 썬더볼트
이름 | 도감 번호 | 성비 | 타입 | ||
한국어 | 일본어 | 영어 | |||
썬더라이 | ラクライ | Electrike | 전국 : 309 호연 : 078 | 수컷 : 50% 암컷 : 50% | 전기 |
썬더볼트 | ライボルト | Manectric | 전국 : 310 호연 : 079 |
특성(5세대 PDW 특성은 * / 메가진화 특성은 **) | |
정전기 | 접촉공격을 한 상대를 30%의 확률로 마비시킨다. |
피뢰침 | 전기 타입 공격을 자신에게 돌린다. |
*마이너스 |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특성의 포켓몬과 같이 있으면 특공이 1.5배 오른다. |
**위협 | 전투에 나왔을 때 상대방의 공격을 1랭크 낮춘다. 필드에서 선두에 있을 때 자신보다 레벨이 낮은 포켓몬이 나타날 확률을 낮춘다.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알 그룹 |
309 썬더라이 | 천둥번개 포켓몬 | 0.6m | 15.2kg | 육상 |
310 썬더볼트 | 방전 포켓몬 | 1.5m | 40.2kg | |
메가썬더볼트 | 1.8m | 44.0kg |
진화 | 309 썬더라이 | 레벨 26 -> | 310 썬더볼트 |
메가진화 | ![]() [PNG image (335 Bytes)] 썬더볼트나이트 → | ||
썬더볼트 | 메가썬더볼트 |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2배 | 1배 | 0.5배 |
땅 | 격투 고스트 노말 독 드래곤 물 바위 벌레 불꽃 악 얼음 에스퍼 페어리 풀 | 강철 비행 전기 |
종족치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309 썬더라이 | 40 | 45 | 40 | 65 | 40 | 65 | 295 | |
310 썬더볼트 | 70 | 75 | 60 | 105 | 60 | 105 | 475 | |
메가썬더볼트 | 70 | 75 | 80 | 135 | 80 | 135 | 575 |
도감설명 | |
309 썬더라이 | |
루비 | 긴 털에 전기를 모으고 있다. 전류로 다리의 근육을 자극해서 폭발적인 순발력을 낳는다. |
사파이어 | 눈에 보이지 않는 스피드로 달리는 포켓몬. 공기의 마찰로 전기를 발생시켜서 온몸의 털에 모아둔다. |
에메랄드 | 공기와의 마찰로 전기를 만들어낸다. 특히 공기가 건조한 계절에는 온몸에서 스파크를 격렬하게 뿌린다. |
파이어레드 리프그린 | 정전기를 털에 모아서 방전한다. 폭풍이 다가오면 온몸에서 스파크를 뿌린다. |
하트골드 소울실버 | 정전기를 털에 모은다. 공기가 건조한 계절에는 전신에서 스파크를 뿌린다. |
4~5세대 | 털에 모은 전기를 써서 근육을 자극함으로써 순발력을 높인다. |
310 썬더볼트 | |
루비 | 갈기에서 항상 방전하고 있는 탓에 스파크로 산불을 내버릴 때도 있다. 싸움이 벌어지면 번개구름을 만든다. |
사파이어 | 갈기에서 강한 전기를 발산하고 있다. 공기 중의 전기를 갈기에 모아서 머리 위에 번개구름을 만든다. |
에메랄드 | 썬더볼트 근처에 번개가 떨어지는 탓에 번개로부터 태어났다고 생각됐었다. 싸움이 벌어지면 번개구름을 만든다. |
파이어레드 리프그린 | 사람 앞에서는 좀처럼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번개가 떨어진 곳에 보금자리가 있다고 한다. |
하트골드 소울실버 | 번개가 떨어진 곳에 썬더볼트의 보금자리가 있다고 한다. 갈기에서 방전을 하고 있다. |
4~5세대 | 갈기에서 방전을 하고 있다. 머리 위에 번개구름을 만들고 천둥번개를 떨어트려 공격한다. |
1. 개요 ¶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의 스토리를 진행하면서 가장 처음 잡을 수 있는 전기 포켓몬 중 하나인데, 기술 습득 테이블이 좋지 않아서 키우려면 상당히 고생해야 한다. 찌리리공처럼 처음부터 전기타입 공격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인데, 찌리리공은 출현시 레벨이 높아서 실제로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이놈은 초반에 나오는 걸 잡으면 레벨이 10대 초반인데 물리공격도 낮은 놈을 레벨 20까지 몸통박치기와 전광석화로 키워야 겨우 스파크 하나를 배우기 때문에 전기 포켓몬 구실도 못 하고 매우 고통스럽다. 그렇다고 주변에서 나오는 플러시와 마이농을 잡기에는 이녀석들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파도타기를 얻을 때까지 기다리기 싫다면 저렇게 키우는 것밖에 방법이 없다. 그나마 이 당시에는 스파크가 특수공격이었던 것이 다행이다.
2. 대전 ¶
3세대에 처음 등장했을 때는 쥬피썬더의 하위호환에 가까웠다. 평균 이상의 특공/스피드를 가지고 있지만 모두 쥬피썬더가 우위였고 그렇다고 내구가 더 좋은 것도 아니다. 그래도 완전히 하위호환은 아닌 것이 서브웨폰으로 쥬피썬더의 물기보다 더 강한 깨물어부수기를 갖고 있었고, 특성이 다르기에 차별화는 되었다. 싱글배틀에서 쓰는 정전기는 영 능동적으로 써먹을 수 있는 특성은 아니었지만 운이 좋으면 상대에게 마비를 남기고 죽을 수 있었고 특히 피뢰침으로 더블배틀에서는 특유의 입지가 있었다. 피뢰침 역할만 보면 코뿌리나 텅구리가 더 강력하긴 했으나 서로 역할이 완전히 다르니 파티에 따라서는 이쪽을 쓰는 것도 나쁘진 않았다.
4세대부터 기술폭이 더 다양해지면서 쥬피썬더와 제대로 차별화되기 시작했다. 쥬피썬더가 섀도볼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 한편 이쪽은 깨물어부수기를 제대로 못 쓰게 되었지만 얻은 것이 더 크다. 갑자기 자력기로 불꽃엄니가 생겼는데 아니나다를까 기술머신으로 화염방사, 오버히트같은 제대로 된 불 기술들을 익히는 것이 가능해져서 전기 타입 중에서 흔치 않은 불 공격이라는 메리트가 있다. Pt에서 썬더가 열풍을, 로토무 히터형이 오버히트를 배우긴 하지만, 둘 다 썬더볼트보다 느리고[1] 썬더는 비행 타입이 섞여 약점도 늘어났다는 점, 로토무는 속도가 느린데다 화염방사를 사용할 수 없다는 점[2]을 생각하면 차별할 점은 충분히 있다. 또한 5세대에선 전기 포켓몬 저리더프도 특공이 같고 역시 화염방사를 사용하며 맷집도 썬더볼트보다 더 좋지만, 이 녀석은 속도가 매우 떨어지므로 차별화가 가능.
공격용 기술 외에도 바꿔치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애의 안경 같은 걸 가지고 있다가 깔짝형 포켓몬에게 넘겨주는 변칙적인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배틀에서도 맹활약을 하는게 가능하다.
피카츄하고 비교를 하자면 안정성은 당연히 썬더볼트가 앞선다. 스피드도 빠르고 내구도 한 수 위이다. 다만 피카츄는 일단 공격을 맞추기만 하면 그야말로 확정 한 방은 보내는 엄청난 화력을 자랑하는 데에 비해 썬더볼트의 화력은 어중간한 편.
5세대에서는 피뢰침 효과가 던전 시리즈처럼 "특성 자체로 전기 기술 무효"가 되고 피뢰침 특성에 발동시 특공 1랭크 상승이 붙어 상대적으로 상향. 이젠 싱글 배틀에서도 쥬피썬더에게 전혀 꿀릴 것이 없는 특성을 보유하게 되었다.
2.1. 메가썬더볼트 ¶
6세대에서 등장한 메가진화 포켓몬 중 하나. 메가진화를 해도 종족값 총합은 575로 600족에 못 미치지만 메가진화로 늘어난 종족값이 쓸모없는 공격에 안가고 특공과 스피드 위주로 적절하게 분배되었다. 방어와 특방도 오르고 특성이 위협으로 변하면서 내구도 어느정도 보완되었다. 다만 불타입을 제외하면 여전히 서브웨폰의 부족한데다 잠재파워의 위력까지 60으로 고정되어 기존보다 최대 위력이 낮아졌다.
종족값 상으로 보면 메가진화치고는 애매해보일 수 있으나 환경의 특성상 상당히 잘 통하는 포켓몬. 일단 파이어로의 선공 브레이브버드에 위협+반감으로 비교적 안정적이며 빠른 스피드로 위에서부터 때릴 수 있다. 갸라도스, 마릴리, 토게키스 등에도 상성상 우위에 있고, 펌킨인 등도 오버히트로 태워버릴 수 있고 C187기준으로 H167-D170 킬가르도에게도 64.6~76.6% 데미지를 입히며 원찬스가 있다. 메가진화 전의 피뢰침 특성으로 워시로토무등의 볼트체인지를 무효로 돌릴 수 있다. 그 외에 빠른 스피드의 볼트체인지로 기점메이커 역할도 가능하다.
단, 무버가 풀린 후 파이어로를 더욱 잘 막는 포켓몬이 늘어나 싱글에서 이전보다는 줄어들었다. 더블에서도 어느정도 사용률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