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Core
FrontPage
FindPage
TitleIndex
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Edit 아부기다
You are not allowed to edit this page !
아부기다
위키 관련 정보
주요 도움
위키를 작성하기 전에
리그베다 위키 기본방침
인터페이스 설명
항목 생성하기
편집 도움말
보조 도움
위키 연습장 1
위키 연습장 2
단축키
추가기능
FAQ
[[목차]] * [언어 관련 정보] == 개요 == 아부기다(Abugida)란 [음절문자]와 [알파벳](음소문자)의 중간에 위치하는 [문자]로, 각 [자음]에 내재적 모음이 존재하는 문자체계이다. 구조를 설명하자면 어떤 문자가 '가' 발음을 나타낸다고 했을 때 그 문자에다가 모음 'ㅓ'에 해당하는 부호를 붙이면 '거'가 되고 모음 'ㅜ'에 해당하는 부호를 붙이면 '구'가 되는 식이다. [데바나가리]의 प(뻐)를 예로 들자면, [힌디어] 기준으로 내재모음은 어(/ə/)이므로, प만 있을 경우에는 '뻐'라고 읽으며, 여기에서 모음에 변화를 주고 싶다면 기타 모음부호를 붙여 पि(삐), पु(뿌), पे(뻬) 등으로 읽는 식이다. 다만, 모음이 있는 기본형과 모음이 없는 글자를 구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자면 기본형이 'ㅏ'로 읽히는 문자 체계라면 '난'과 '나나'를 '''문자상으로 구별이 불가능하다'''는 이야기. 이런 경우 독음을 외워야 한다(...) == 아부기다에 속하는 문자 ==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에서는 쓰이는 아부기다 문자들은 [아소카] 대왕 시절에 쓰이던 아부기다 문자인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하였으며 이를 브라흐미계 문자라 부른다. 대표적인 브라흐미계 아부기다로 데바나가리가 있다. 또한 인도 문화권에서 문자를 받아들인 [티베트]([티베트 문자]), [태국]([태국 문자]) 역시 브라흐미계 아부기다에 속한다. [라오어]를 표기하는 [라오 문자]는 태국 문자와 매우 가깝지만 정서법 개혁으로 인해 내재모음이 없어지고 모든 모음을 표기하게 되었기에 사실상 음소문자에 가까워져 아부기다라고 부를 수 있을지 좀 미묘해진 상태. 아부기다라는 말 자체는 의외로 브라흐미계 문자가 관련없는, [암하라어]의 [그으즈 문자]에서 유래하였는데, 그으즈 문자는 원래 [아브자드](자음문자)에서 유래하였다가 독자적으로 아부기다로 진화한 케이스. 이외에, 선교사 [제임스 에반스]가 데바나가리에서 영감을 얻어서 만든 [캐나다 원주민 문자] 역시 아부기다에 속하는데, 이 문자는 자음의 방향으로 모음이 바뀌는 특이한 경우다. ᑌ(테)가 방향에 따라서 ᑎ(티), ᑐ(토), ᑕ(타)가 되는 식. 딱히 내재모음이라고 부를만한 게 없기에 아부기다로 분류하기에 마찬가지로 좀 미묘하기도 하다.
Summary
Category
---- Select ----
CategoryTemplate
ShowPage
FindPage
DeletePage
LikePages
last modified 2015-03-23 22:19:17
Processing time 0.0705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