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고기나 쇠고기 등에 각종 야채를 같이 넣고 걸~쭉하게 끓인 수프다. 그런데 이건 수프도 스튜도 아니고 감자죽에 넣은 고기찜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영국 요리 까는 평에 반발해서 진정한 영국 음식이라고 주장할 때 내놓는 음식이기도 하지만 잉글랜드 음식은 아니고,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아일랜드 요리. 엎치나 뒤치나 영국이라고 생각하면 아일랜드 사람들이 화낼지도 모른다. 한국인 앞에서 된장국이나 미소시루나 그게 그러라고 말하는 수준의 자폭발언.[1]
감자를 넣을 때 제형태로 넣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으깨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국물이 걸쭉해질 수밖에 없다. 그밖의 재료도 큼직하게 썰어넣기 때문에 위의 의견도 일리가 있다. 이게 어딜 봐서 수프냐… 찜요리지.
뭐 지금까지의 혐오스런 설명은 그렇다고 하더라도 영국의 (혹은 아일랜드의) 쌀쌀한 날씨 아래에서 먹기엔 꽤나 그럴싸한 요리다. 여러가지 야채와 고기에서 우러난 즙(…)과 함께 건더기를 건져먹으면 몸이 따뜻해지는 느낌이 비 오는 날 뱃속을 데우기엔 딱 좋다.
아일랜드 요리니만큼, 아일랜드 특산인 기네스 흑맥주를 곁들이면 제맛이라 한다. 그런데 영국 요리는 대부분 맥주랑 먹으라고 추천한다. 맥주빨이 아니면 안 들어간단 걸까? 미각을 마비시켜야 먹을 마음이 난다는 깊은 뜻
그리고 패전 이후 고도성장기 일본에서는 하우스식품[2]에 의해 아예 옥수수가루와 크림을 잔뜩 집어넣은 돼지고기 스튜로 현지화되기도 했으며 지금도 니쿠쟈가, 카레라이스와 함께 일본에서 가정식 고기요리 하면 떠오르는 요리로 정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