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의 현행 모바일 제품군 및 iOS 사용 제품 | |||||||||||||||||||||||||||||||||||||||||||||||||||||||||||||||||||||||||||||||||||||||||||||||||||
iPhone | 오리지널, 3G, 3GS, 4, 4s, 5, 5s/5c, 6/6 Plus | ||||||||||||||||||||||||||||||||||||||||||||||||||||||||||||||||||||||||||||||||||||||||||||||||||
iPod touch |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5세대 | ||||||||||||||||||||||||||||||||||||||||||||||||||||||||||||||||||||||||||||||||||||||||||||||||||
iPad | 9.7인치 모델 |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Air, Air 2 | |||||||||||||||||||||||||||||||||||||||||||||||||||||||||||||||||||||||||||||||||||||||||||||||||
mini(7.9인치) 모델 | 1, 2, 3 | ||||||||||||||||||||||||||||||||||||||||||||||||||||||||||||||||||||||||||||||||||||||||||||||||||
Apple TV | | ||||||||||||||||||||||||||||||||||||||||||||||||||||||||||||||||||||||||||||||||||||||||||||||||||
Apple Watch | 오리지널 | ||||||||||||||||||||||||||||||||||||||||||||||||||||||||||||||||||||||||||||||||||||||||||||||||||
굵은 글씨는 최신 제품, 밑줄은 구 모델이면서 애플스토어(세계 설정 기준)에서 단종되지 않은 제품. 제품군의 순서는 출시 순서 및 iOS 채용 순서임. |
![]() [JPG image (311.53 KB)] | ||
스페이스 그레이 | 실버 | 골드 |
애플 코리아 iPhone 6 시리즈 공식 사이트 |
Bigger than bigger (크다는 것 그 이상)
2. 사양 ¶
- 사양이 두 가지 이상으로 나뉘는 경우, 한국 내수용 사양에 해당되는 부분에 노란색 바탕으로 표기.
프로세서 | Apple A8 SoC. Apple Cyclone MP2 1.4 GHz CPU, PowerVR GX6450 -- MHz GPU | ||
메모리 | 1 GB LPDDR3 SDRAM, 16 / 64 / 128 GB 내장 메모리 | ||
디스플레이 | 5.5인치 FHD(1920 x 1080, 2208x1242) RGB 서브픽셀 방식의 Retina HD Display (IPS TFT-LCD 방식 & 401 ppi)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
네트 워크 | 기본 | LTE-2CA Cat.4, HSPA+ 42Mbps, HSDPA & HSUPA & UMTS, GSM & EDGE, 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0, NFC | |
선택 | TD-LTE, TD-SCDMA | CDMA & EV-DO Rev. A | |
카메라 | 전면 120만 화소, 후면 OIS 기술 탑재 8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True Tone LED 플래시 | ||
배터리 | 내장형 Li-Polymer 2915 mAh | ||
운영체제 | iOS 8.1.3 → 8.2 | ||
규격 | 77.8 x 158.1 x 7.1 mm, 172 g | ||
색상 | 스페이스 그레이, 실버, 골드 | ||
기타 | VoLTE[1] 및 Wideband Audio 지원, 에어리어 방식 지문인식 Touch ID 지원 모션 인식 프로세서 M8 탑재 및 기압계, 3축 자이로 센서, 가속도계, 근접 센서, 주변광 센서 내장 |
3. 상세 ¶
전반적인 디자인은 아이팟 터치 5세대와 비슷하게 라운딩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아이폰 5s가 가졌던 디자인적 요소는 찾기 어렵다. 전면은 라운딩처리가 되어있는 강화유리, 후면역시 라운딩처리가 되어있는 알루미늄 재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카툭튀'와 '절연 테이프'처럼 보이는 외관 때문에 디자인의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카메라의 경우, 모듈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카메라 품질까지 포기하면서 모듈 경량화를 할 수 밖에 없기에 나름대로 절충한 것으로 보인다. 절연 테이프 디자인이라 불리는 안테나 라인의 경우, 아이폰 5와 아이폰 5s를 볼 때 이렇게 선이 두드러지지 않았는데, 이는 안테나 선을 기점으로 위아래는 유리로 처리하고 투톤처리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이렇게 처리하지 않고 완전 유니바디 디자인을 선택했기 때문에 부각이 된 것이다.[2] 기본 색상은 아이폰 6와 동일한 스페이스 그레이, 실버, 골드로 총 3종이다.
AP로 Apple A8을 사용한다. TSMC의 20nm SoC 공정에서 생산된다. 전작과 동일한 Apple Cyclone 1.4 GHz 듀얼코어 CPU가 들어가며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러지 社의 PowerVR GX6450 쿼드 클러스터 GPU가 탑재되었다. 키노트 당시 아이폰 5s의 Apple A7과 비교할 때 CPU 성능은 25%, GPU 성능은 50%가 향상되었다고 한다. 또한, 애플 A 시리즈 중 최초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가 AP 내에 통합되었다고 한다.
RAM 용량은 1 GB다. 내장 메모리는 16 GB 모델, 64 GB 모델, 128 GB 모델로 나뉘며 32 GB 모델은 존재하지 않는다. 128 GB가 기본 용량으로 사용되는 최초의 아이폰 중 하나다. 스마트폰 전체로 확대하면 메이쥬 MX3가 최초다. 해상도가 높은데 램은 그대로라서 OS 업데이트에 따라 버벅임이 생길 것이 우려된다. 그런데 일부 제품에 상대적으로 저성능인 TLC가 섞여 있고, TLC 제품의 경우 저장소 측에 캐시가 없기 때문에 안 그래도 부족한 1GB 메모리 일부를 캐시로 유용하고 있다. 사건사고 항목을 참고할 것.
디스플레이는 5.5인치 Full-HD 해상도를 지원한다. 소프트웨어 해상도는 2208x1242이며 다운스켈링해서 실제 해상도인 1920*1080이 된다. 다음세대에 해상도를 올려도 이미 앱은 2208x1242로 동작하기에 개발자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3] 동시에 패널 구조가 개선되면서 명칭이 Retina HD Display로 바뀌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크기가 5.5인치인 반면에, 전체 사이즈가 5.7인치인 갤럭시 노트 4보다 크고, 5.9인치인 LG G Pro 2와 비슷해서 크기에 대해서도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지원 LTE 레벨은 Cat.4로 다운로드 최대 1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하며 20 MHz 대역폭의 광대역이 구축된 LTE에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미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LTE-FDD/TDD를 지원한다.[4] 또한, 2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며 VoLTE를 공식적으로 지원한다. 그리고 Apple Pay 서비스를 위해 NFC를 지원한다.[5]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2915 mAh로 대형화된 기기에 맞게 배터리 용량도 커졌다. 아이폰 5s 대비 약 1.5배에서 2배가량 높은 배터리 타임을 보여준다고 한다.
후면 카메라에는 기존에 수율 등 대량 생산의 문제로 사용할 수 없었던 OIS 모듈이 추가되었다. 800만 화소에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하는 카메라로 이는 아이폰 6와 동일한 센서다. F/2.2의 조리개 밝기를 가지고 있으며 아이폰 5s부터 도입된 True Tone LED 플래시를 가지고 있다. HD 720p 240 fps까지 촬영이 가능하다고 한다.
iOS 8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8.0 이다.
5.1. 한국 출시 ¶
LG U+를 포함한 대한민국의 통신 3사에서 모두 출시하게 된다. 유플러스 육플러스 iOS 8ollow Me 다만, 1차 출시국과 2차 출시국 명단에서는 제외되었다. 기존처럼 차수와 무관하게 출시 시기가 잡힐 것으로 보인다.
2014년 10월 31일(금)부터 대한민국에서도 공식 판매를 개시한다. 통신 3사는 10월 24일(금)부터 예약가입을 실시할 예정. 통신 3사는 10월 20일(월)에 10월 24일(금) 오후 3시 예약 시작을 시작한다고 공지했다. 10월 21일(화)에 KT가 문자 예약 시스템을 통해 예약을 받는다고 밝혔다. 10월 22일(수)에 SKT 티다이렉트샵에 예약 안내 페이지가 생성되었다. 1차 예약 물량은 6와 6 Plus 합쳐서 총 1만대이다.(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합친 물량이다.) 출고가와 공시지원금은 추후에 공지하겠다고 한다.
10월 24일 15시부터 통신 3사가 공식 예약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30분만에 1차 예약 물량이 동났다고 한다. #
SK - 2분만에 초기물량 1만대 매진. 1차예약마감.
KT - 30분만에 5만대매진. 조기마감.
LG - 20분만에 2만대. 예약마감.
KT - 30분만에 5만대매진. 조기마감.
LG - 20분만에 2만대. 예약마감.
5.1.1. 11.01 보조금 대란 ¶
아이폰 출시일이 다가오자 아이폰 관련 커뮤니티에는 예약 판매 관련 게시글이 실시간으로 올라오고 하루라도 빨리 아이폰을 만져보고 싶어하는 애플 유저들은 통신사의 예약 판매 프로모션에 참여하게 된다.
근데 여기서 웃긴 것은 예약 판매 기간(10월 24일 ~ 10월 31일)에는 아이폰이 한국 출시 이전이기 때문에 공시지원금이 공개되지 않았고, 예약 판매 신청자들은 자기가 사는 아이폰이 얼마인지도 모르고 예약하는 사태가 벌어지게 되었다. 물론 출고가보다 비싸진 않겠지만 부르는게 값이 된 셈이다. 결국 보조금은 31일 KT(최대 25만원)>LG(최대 20만)>SK(최대 17만원) 결정되었다.
그런데 11월 1일 통신 3사는 2011년 이후로 최초로 주말 개통을 정부에 요청하면서까지 아이폰 판매를 개시하였고 이 과정에서 단통법 시행 최초로 불법 보조금이 지급되게 되었다. #
그 결과 10월 31일, 11월 1일 단 하루 차이로 똑같은 아이폰을 구매한 소비자들간에 보조금 차이가 심각하게 벌어졌다. 가장 싸게 구매한 소비자의 경우 아이폰6 16GB 모델을 10만원에 구매했다고도 한다. 자세한 내용 추가바람
이로 인해 아이폰 관련 커뮤니티는 난리가 났으며, 단통법을 위반한 판매점에서 개통을 한 소비자는 구속이 된다는 등 말도 안되는 유언비어가 나돌고 뉴스 1면에는 단통법 관련 기사로 넘쳐나게 되었다.
5.2. 한국 외 지역 ¶
2014년 9월 12일에 프리오더를 시작하며, 애플스토어 매장에서는 9월 19일 판매를 개시한다. 1차 출시국은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홍콩, 싱가포르, 일본으로 총 9개국이다.
2014년 9월 12일, 2차 출시국 명단이 발표되었다. 2차 출시국은 스위스, 이탈리아, 뉴질랜드, 스웨덴, 네덜란드, 스페인, 덴마크, 아일랜드,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러시아, 오스트리아, 터키, 핀란드, 벨기에, 포르투갈, 대만, 아랍에미리트연합(UAE)으로 총 18개국이다. 2014년 9월 26일부터 프리오더를 시작하며 UAE만 2014년 9월 27일부터 시작한다.
출고가는 미국 기준으로, 이동통신사 2년 약정 기준일 때 16 GB 모델이 $299, 64 GB 모델이 $399, 128 GB 모델이 $499로 책정되었으며, 무약정 언락 기기일 때 16 GB 모델이 $749, 64 GB 모델이 $849, 128 GB 모델이 $949로 책정되었다.
2014년 9월 13일, 프리오더량이 종전을 뛰어넘었다고 한다. 다만, 구체적인 수치는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종전 아이폰 5s를 반납할 때 최대 $300를 할인해주는 이벤트가 진행 중임을 감안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2014년 9월 15일(현지시간 기준), 예약 판매로 하루에 400만대를 기록했다.
2014년 9월 19일 애플스토어에서 판매를 개시했는데 이전과 같이 아이폰을 사려는 사람들로 긴 줄이 늘어섰다. 하지만 단순히 아이폰을 빨리 사기 위해서가 아니라 되팔이를 위해 줄을 선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
2014년 9월 30일, 중국 정부가 아이폰 6와 아이폰 6 Plus의 판매를 최종 승인하였다. 승인한지 6시간만에 3대 통신사에서 200만대가 판매 예약되었으며, 그날 하루에 400만대가 판매 예약되었다. 대륙의 기상 정식 예약판매는 아직 진행하지 않았으며, 정식 발매일은 10월 17일이다.
2014년 10월 5일 발표에 따르면, 발매 약 2주만에 총 2100만대 이상을 팔아치웠다고 한다. 뭐야 이거 무서워 아이폰 6와 아이폰 6 Plus의 판매비율은 4.25:1 정도.
결국 4분기 결산 결과 '''전세계 스마트폰 영업이익의 93%를 독식했다고 한다. 그래서 안드로이드 진영이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세로 돌아갔을 정도. 이런저런 조롱을 들어먹든 말든 화면을 키운 전략이 잘 먹혔다는걸 알 수 있으며 특히 중국시장에서의 선방이 큰 효과를 발휘했다.기사 링크
6. 논란 ¶
아이폰 관련 사건과 사고 그리고 논란 관련 부분은 아이폰/사건사고 및 문제점 항목 참조.
7. 기타 ¶
- 형형색색의 실리콘 케이스와 가죽 케이스가 출시되었다.
iPhone을 non으로 만드는 마법
- 과거, 애플이 공적인 자리에서 대화면 스마트폰에 대한 저격성 발언을 했던 것과 맞물려서 삼성전자와 HTC 등 저격당한(...) 기업들의 일명 '조롱 마케팅'을 받고 있다.[7] 이와중에 소니 모바일은 일명 '카툭튀' 디자인을 가지고 저격하고 있다. 여기에 애플이 발표한 아이폰 광고를 이용한 조롱도 늘어가고 있다.
근데 엄청 잘 팔리고 있다는게 아이러니... 욕하면서도 보는 막장 드라마
아이폰 6와 아이폰 6 Plus의 제품 소개 영상
----
- [1] 키노트 진행 중 LG U+의 로고가 SK텔레콤과 KT의 로고와 함께 VoLTE 지원 이동통신사로 소개되었다.
[JPG image (38.31 KB)] - [2] 참고로 팬택은 기존의 메탈 프레임을 안테나로 사용하는 엔드리스 메탈 기술을 선보인바 있다. 애플은 디스플레이만 빼고 모두 통짜 금속으로 덮는 유니바디 공법을 사용했으므로 팬택과 비슷한 방법을 취하긴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 [3] 이전 항목의 경우 보편적 해상도를 사용하는 최초의 아이폰이라는 내용이 있었는데 이미 아이폰 / 아이폰 3G / 아이폰 3GS가 320 x 480의 보편적인 HVGA 해상도를 사용했기 때문에 최초는 아니다. HVGA의 경우 블랙베리, 소니 클리에 등의 많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했던 해상도 중 하나다.
- [4] 한 가지 특이사항으로, 글로벌 모델에 TD-SCDMA도 같이 묶여있다.
- [5] 일각에서는, Apple Pay 소개 영상에서 후면 상단 부분을 가져다 대어 인식하는 묘사가 나와 일명 '절연 테이프' 디자인에 NFC가 연관되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하고있다.
- [6] 누르는 것이 아니다.
- [7] 아이러니하게도 삼성전자는 갤럭시 노트 4의 유격문제와 뒷판 도색 마감문제, HTC는 아이폰 6보다 약한 내구성을 가짐이 드러나 반대로 조롱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