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3호선 | 운영기관 : 서울메트로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 |||||
대 화 방면 동대입구 0.7km | ← | 약 수 | → | 오 금 방면 금 호 0.8km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운영기관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개업일 : 2001년 3월 9일 | |||||
응 암 방면 버티고개 0.7km | ← | 약 수 | → | 봉화산 방면 청 구 0.8km |
藥水驛 / Yaksu Station
약수역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Yaksu |
한자 | 藥水 |
중국어 | 药水 |
일본어 | ヤッス |
역번 | |
서울 지하철 3호선 | 333 |
서울 지하철 6호선 | 633 |
[JPG image (84.75 KB)] 서울 지하철 3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JPG image (75.19 KB)] 서울 지하철 6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 [JPG image (230.92 KB)]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 지하철 3호선 약수역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122(舊 신당3동 373-13번지) |
서울 지하철 6호선 약수역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115(舊 신당3동 369번지) |
1. 개요 ¶
서울 지하철 3호선 333번.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122(舊 신당3동 373-13번지) 소재.
서울 지하철 6호선 633번.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115(舊 신당3동 369번지) 소재.
서울 지하철 6호선 633번.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115(舊 신당3동 369번지) 소재.
2. 역 정보 ¶
중구 신당동에 있지만 인근에 금호터널 건설 이전에 약수터가 있다는 데서 유래했다. 하지만 일대가 약수동으로 계속 불려왔고, 결국 2013년 7월 신당3동이 약수동으로 변경되었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을 만들 때, 상대식 승강장을 위에 짓고, 섬식 승강장을 아래에 짓지만, 이 역은 섬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지하 2층에 먼저 지어지고(1985년 10월 18일), 그 다음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서울 지하철 6호선이 지하 3층으로 나중에 지어진(2001년 3월 9일) 특이한 케이스다.[1]
환승이 불편한 측에 속하는데, 지하철 역사 구조물 위에 약수고가차도까지 얹고 있는 관계로 3호선 플랫폼에서 아랫쪽으로 환승 통로를 뚫기 어려운지라, 3호선에서 위층 맞이방으로 올라왔다가 터널을 통해 내려가야 하기 때문이다.[2] 이 때문에 특이하게도 환승 통로 중간에 화장실이 위치하게 되었다. 약수고가차도는 2014년 9월 4일에 철거가 완료됬다.
3호선의 경우 이 역은 대화발 열차의 심야 주박 역이다.[3]
인근 금호역과 마찬가지로(...) 이 역도 출구 중 하나가 계단과 캐노피 방식이 아닌 평면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가끔 운전에 미숙한 승용차들이 들어오는 듯. 뉴스 보도에도 나온 적이 있다(...)
5. 일평균 승차량[4]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3,230명 | 13,776명 | 13,999명 | 13,629명 | 14,042명 | 14,278명 | 14,419명 | 14,461명 | 14,353명 | 14,544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14,688명 | 14,822명 | 14,942명 | 15,193명 | 15,244명 |
● 서울 지하철 6호선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555명 | 2,884명 | 3,335명 | 3,391명 | 3,440명 | 3,551명 | 3,507명 | 3,466명 | 3,495명 | 3,547명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3,639명 | 3,746명 | 3,646명 | 3,585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