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B 아메리칸리그 소속 구단 홈구장 | ||||
동부지구 소속구단 | ||||
![]() [PNG image (4.94 KB)] | ![]() [PNG image (2.8 KB)] | ![]() [PNG image (3.52 KB)] | ![]() [PNG image (5.91 KB)] | ![]() [PNG image (3.98 KB)] |
양키 스타디움 | 펜웨이 파크 | 트로피카나 필드 | 로저스 센터 | 오리올 파크 앳 캠든 야즈 |
중부지구 소속구단 | ||||
![]() [PNG image (2.1 KB)] | ![]() [PNG image (5.94 KB)] | ![]() [PNG image (3.86 KB)] | ![]() [PNG image (4.2 KB)] | ![]() [PNG image (3.34 KB)] |
코메리카 파크 | 타겟 필드 | U.S. 셀룰러 필드 | 프로그레시브 필드 | 카우프만 스타디움 |
서부지구 소속구단 | ||||
![]() [PNG image (3.53 KB)] | ![]() [PNG image (5.59 KB)] | ![]() [PNG image (4.84 KB)] | ![]() [PNG image (4.55 KB)] | ![]() [PNG image (5.49 KB)] |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 | 세이프코 필드 | O.co 콜리세움 | 글로브 라이프 파크 | 미닛 메이드 파크 |
![]() [JPG image (748 KB)] |
![]() [JPG image (835.56 KB)] |
![]() [JPG image (1.78 MB)] |
아래에 불이 빛나는 경기장은 구 양키 스타디움. 위쪽에 불이 꺼진 경기장은 개장 직전의 양키 스타디움. |
양키 스타디움 내부의 그레이트 홀(Great Hall) |
![]() [PNG image (29.86 KB)] | |
뉴욕 양키스 | |
양키 스타디움 Yankee Stadium | |
개장 | 2009년 4월 2일 |
소재지 | 미국 뉴욕시 사우스 브롱스 One East 161st Street, South Bronx, New York City, New York, United States |
홈구단 | 뉴욕 양키스(2009~)[1] 뉴욕 시티 FC(2015~)[2] |
잔디 | 천연잔디 (켄터키 블루 그래스) |
크기 | 좌측 폴대 - 97m 센터 124m 유측 폴대 - 96m 백네트 - 16m |
건설비용 | 15억 달러 (한화 1조 6500억원) |
수용인원 | 49,642석(야구) 33,444석(축구)[3] |
홈페이지 |
메이저리그를 대표하는 뉴욕 양키즈의 홈구장이자 전세계에서 가장 비싼 스포츠 시설물.
과거에는 베이브 루스가 지은 집(The House That Ruth Build)이었고,
현재는 조지 스타인브레너가 지은 집(The House that George Built)이라 불리는 경기장.[4]
1. 구 양키 스타디움(1923년 ~ 2008) ¶
1923년 개장당시 양키 스타디움. |
1937년 3월 30일, 증축중인 양키 스타디움. |
증축이 완료된 양키 스타디움. |
뉴욕 양키스 | |
구 양키 스타디움 Yankee Stadium | |
개장 | 1923년 4월 18일 |
홈구단 | 뉴욕 양키스(1923~2008) |
건설비용 | 240만 달러 |
수용인원 | 56,886석 |
리모델링 | 1976년 4월 15일 |
마지막 경기 | 2008년 9월 21일 |
철거 | 2010년 5월 13일 |
베이브 루스가 지은 집(The House That Ruth Build)1923년에 개장한 옛 양키 스타디움은 토머스 에디슨이 발명한 사상 최초의 콘크리트 구조물이고, 야구장으로서는 보기 드문 7만여 명의 관중 수용을 했던 구장이다.[5] 1970년대에 리모델링을 거쳐 5만 명대로 관중 수용을 줄이긴 했지만 여전히 메이저리그에서 큰 구장 중의 하나였다. 외야 펜스는 베이브 루스의 홈런 생산을 위해 우측 펜스가 좌측 펜스보다 좀 짧다. 그렇다고 좌측 펜스 거리가 그리 먼 것도 아니다. 반면 외야는 꽤 넓은 편이였는데, 양키스에서 발 빠른 중견수를 선호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은 새 양키 스타디움으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베이브 루스가 지은 집이라는 애칭이 있는데, 이는 베이브 루스 영입후, 뉴욕 양키즈가 뉴욕의 2인자, 3인자 신세에서 벗어나 뉴욕 1인자이자, 전 미국의 인기 팀이 었으며, 또한 그의 스타성과 그의 홈런으로 인해 몰려든 관중 수입으로 양키 스타디움을 지었다 하여 "루스가 지은 집(The House That Ruth Built)"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2. 뉴 양키 스타디움(2009 ~ 현재) ¶
구 양키 스타디움과 건설중인 뉴 양키 스타디움 |
![]() © Groupe Canam (cc-by-sa-3.0) from |
조지 스타인브레너가 지은 집(The House that George Built)
뉴 양키 스타디움은 2008년시즌까지 경기가 열리고 2009년 철거된 옛 양키 스타디움 바로 옆에 지어졌다. 건설비용은 15억 달러, 한화로 약 1조 6500억원에 달하는데 이는 전세계에서 15번째로 비싼 건축물에 해당된다.출처용산국제업무지구에 세워질 예정이었던 트리플 원도 기제되어 있다(...) 하지만 2012년 나가리 이 무지막지한 건설비용은 뉴욕시와 뉴욕 양키즈 구단이 각각 나눠서 부담했으며[6], 뉴욕 양키즈 측이 뉴욕시와 40년간 장기계약을 체결하면서 뉴욕시에 임대료로 지불하는 금액은 연간 10달러, 한화로 만원에 불과하다.## 이때문에 잠실 야구장등 국내 스포츠 임대료와 관련된 부분에서 항상 언급되는 야구장 이기도 하다.
2008시즌에 올스타전을 비롯해 마지막으로 고별경기를 가지고 2009시즌부터 새로운 구장에서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되었다. 양키즈가 사바시아와 버넷을 낚은 이유는 새 구장에서 최고의 출발을 하기 위한 이유도 있다.
그런데 새 구장은 엄청나게 홈런이 잘 터지는 구장이었다. 2009년도의 양키스 타자들은 개나 소나 20홈런을 넘어 버리는 사태가 발생했다. 그런데 이런 구장에서 거둔 사바시아의 09년 성적은... 더 무서운 것은, 파크 팩터로 분석할 때 2009년 뉴 양키 스타디움은 미세하게 투수 친화적 성격이 더 강했다는 것이다(96.5). 다만 10년과 11년에는 확실하게 타자 친화 구장으로 자리잡았다(각각 117.7, 113.1). 다른 구장에 비해 홈런이 월등하게 많이 양산되는 이유로는 낮은 펜스의 높이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2루타 파크 팩터는 평균 이하지만 홈런 파크 팩터는 MLB에서 손꼽힐 정도.
2.1. 특징 ¶
![]() © Y2kcrazyjoker4 (cc-by-3.0) from |
구 양키 스타디움에 있던 구리 프리즈. 뉴 양키 스타디움에도 이 구조물이 반영되었다. |
뉴 양키 스타디움의 전경. 위의 구조물과 동일한 구조물이 설치된 것을 알수 있다. |
- 기존의 양키 스타디움이 가지고 있던 특색들을 반영했으며, 이때문에 좌우 폭, 중앙 펜스까지의 길이도 모두 이전 구장과 같다.
Great Hall - 양키 스타디움의 정문인 4번 게이트의 문은 구 양키 스타디움의 것을 그대로 본따 만들었으며, 4번 게이트와 6번 게이트 사이에 존재하는 광장을 그레이트 홀 (Great Hall)이라 부른다. 넓이가 무려 2,900 m2에 달한다.
- 경기장 내부에 스카이 박스를 겸한 고급 스위트룸이 있는데 이 갯수가 무려 68개에 달한다.
역시 돈이 넘쳐나는 부자들의 도시 뉴욕 양키즈
----
- [1] 뉴 양키스타디움 기준.
- [2] 뉴욕 시티 fc의 새구장 건설 전까지는 같이 사용.
- [3] 2015년 부터 뉴욕 양키스와 맨체스터 시티가 합작해서 만든 MLS축구팀인 뉴욕 시티 FC의 이벤트 경기가 이곳에서 열린다. 그때 수용가능한 인원수. 원래 54,251석까지 수용할수 있었으나 MLB 야구시즌과 겹치기 때문에 잔디 및 야구장 관리를 위해 수용인원을 대폭 줄였다.
- [4] 일부 팬들은 데릭 지터가 지은 집(The House that Derek Built)이라는 표현을 더 선호하기도 한다.
- [5] 그 이상을 수용하던 구장이 있긴 했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뉴욕 시절 홈 구장으로 썼던 폴로 그라운드는 무려 10만 여명을 수용할 수 있었던 크고 아름다운 구장이었다.
- [6] 뉴욕 양키즈 측이 8억~11억 달러(8000억원 ~ 1조 1천억원) 정도의 금액을 지불했다고 추정된다. 한편 뉴욕시 측의 재원은 2012년 올림픽 유치를 대비해서 주경기장을 짓기 위해서 적립해 놓은 기금으로부터 나왔다. 원래의 계획은 맨해튼의 허드슨 강가에 2012년 올림픽 주경기장을 짓고 올림픽 후에 부분 개수를 거쳐서 NFL 뉴욕 제츠의 홈구장으로 쓴다는 계획이었는데 런던과의 유치경쟁에서 패하면서 계획은 쫑이 났고, 적립해 놓은 기금은 올림픽 유치 실패를 대비한 플랜 B대로 이 구장과 시티 필드를 신축하는 재원으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