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비로그인 사용자의 편집이 제한된 상태입니다.
이 문서는 운영원칙에 의해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의 편집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관련 문의는 위키워크샵에서 해주세요.
이 문서의 동결 사유는 동결처리/사유를 참조해 주시고, 비로그인 사용자의 편집이 가능한 해제일자는 동결처리 문서를 참조해 주십시오.
이 문서는 운영원칙에 의해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의 편집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관련 문의는 위키워크샵에서 해주세요.
이 문서의 동결 사유는 동결처리/사유를 참조해 주시고, 비로그인 사용자의 편집이 가능한 해제일자는 동결처리 문서를 참조해 주십시오.
1.2.1. 신화상의 여신의 지위 ¶
태초에는 여신이 주신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원래 인류가 모계 사회로 시작했기 때문에 여신이 주신이었다는 것.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인류학 초기에 나온, '야만인'들에 대한 상상에서 나온 학설에 불과하며 이미 오래 전에 폐기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브리태니커 사전의 해당항목이나 네이버 백과사전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주장을 답습하는 경우가 가끔 보인다. 몇몇 문화권에선 주신이었을지도 모르지만, 실제로는 남신이 주신인 경우가 훨씬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주장을 답습하는 경우가 가끔 보인다. 몇몇 문화권에선 주신이었을지도 모르지만, 실제로는 남신이 주신인 경우가 훨씬 많다.
하지만 단순히 숭배의 시작점이 무엇인가를 물었을때 여신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는, 초기에는 '야만인'들이 여성의 생산성을 신비롭게 여겼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는 주신의 문제와는 다른 경우다.
그 밖에, 상대적으로 성적 차별이 없었던 그리스의 원주민들과 달리, 폭력적이고 남성위주사회를 구성해왔던 인도유럽어족에 의해서, 수 많은 신들의 위치가 달라진 만큼 여신의 지위 역시 추락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밖에, 상대적으로 성적 차별이 없었던 그리스의 원주민들과 달리, 폭력적이고 남성위주사회를 구성해왔던 인도유럽어족에 의해서, 수 많은 신들의 위치가 달라진 만큼 여신의 지위 역시 추락했을 가능성이 있다.
참고로 많은 문화에서 여신은 그 문화에서 여성이 맡고 있는 역할을 반영하는 성격을 띠는데, 이는 대개 대지, 모성, 성애(性愛), 가사(家事), 치유 등이지만, 죽음이나 전쟁, 파괴 등의 정반대되는 성격을 띠기도 한다.
1.3.1. 여신전생 시리즈 ¶
악마 종족의 분류 중 하나이다.
LIGHT 속성의 각지에서 신으로 받들리고 있는, 여성의 모습을 한 악마.[4] 대지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여성의 모습을 한 신들은 따로 지모신(地母神)이라는 분류로 나뉘어져있다.
시리즈 전통으로 최고 레벨의 여신은 통상 락슈미가 되는 경우가 많다. 예외가 있는 경우가 《여신이문록 데빌 서바이버》. 이쪽의 최고 레벨 여신은 아마테라스다.
사실, 여신전생의 여신은 원작에서의 여주인공이 일본의 여신 이자나미의 전생을 뜻하는것으로 보이나...
이 시리즈중에서 가장 라이트하고, 잘 알려진 진여신전생3에서는 여신은 스킬 노가다를 하지않을시에는 몇몇 악마만 빼고 거의 치료셔틀이고, 이 게임의 최강인 대천사, 파괴신, 마왕에 밀려서 타이틀의 값을 못한다고 말하지만, 타이틀에 쓰여져있는 여신과는 다르다.
LIGHT 속성의 각지에서 신으로 받들리고 있는, 여성의 모습을 한 악마.[4] 대지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여성의 모습을 한 신들은 따로 지모신(地母神)이라는 분류로 나뉘어져있다.
시리즈 전통으로 최고 레벨의 여신은 통상 락슈미가 되는 경우가 많다. 예외가 있는 경우가 《여신이문록 데빌 서바이버》. 이쪽의 최고 레벨 여신은 아마테라스다.
사실, 여신전생의 여신은 원작에서의 여주인공이 일본의 여신 이자나미의 전생을 뜻하는것으로 보이나...
이 시리즈중에서 가장 라이트하고, 잘 알려진 진여신전생3에서는 여신은 스킬 노가다를 하지않을시에는 몇몇 악마만 빼고 거의 치료셔틀이고, 이 게임의 최강인 대천사, 파괴신, 마왕에 밀려서 타이틀의 값을 못한다고 말하지만, 타이틀에 쓰여져있는 여신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