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王. 여왕을 뜻하는 다른 말로는 여주(女主)가 있다. 당연히 이 여주와는 상관없다.
영어로는 Queen,Empress.
1. 여성인 왕 ¶
영어에서는 왕비와 여왕 모두 Queen으로 많이 말해 혼동하기 쉽다. 원래 왕비는 Queen Consort, 여왕은 Queen Regnant이지만 둘 다 줄여서 Queen이라 적는 때가 많아서다. 덧붙여 왕비가 Queen Consort이니 여왕의 부군은 King Consort라고 해야겠지만, '여왕의 남편'이라는 것은 해당 남성에게는 그 국가의 왕위계승권이 없기 때문에 공동 즉위를 한 것이 아닌 이상 King을 쓰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메리 1세의 남편인 스페인의 펠리페 2세는 스페인에서는 왕이지만 잉글랜드에서는 단순히 부군이었다. 그러나 훗날 메리 2세의 공동국왕으로 즉위한 윌리엄 3세는 네덜란드 오라녜 대공 뿐 아니라 잉글랜드의 왕위도 있었다.[1]
역사적으로 서양에서는 영국이나 북유럽, 스페인 등 살리카 법의 영향이 없는 곳에서는 여왕이 등극할 수 있었지만, 살리카법(法)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나 독일 등에서는 여왕이 없었다.[2] 유럽에서 여왕이 제일 많이 나온 곳은 이베리아 반도와 영국인데, 스페인의 경우 통합 왕국 성립 전 각국의 여왕들까지 합해 무려 8명의 여왕이 나왔다. 나바라 또한 8명의 여왕이 즉위했으며, 포르투갈에서는 3명의 여왕이 있었다. 영국은 스코틀랜드의 여왕들[3]과 논란이 있는 일부[4]를 제외하면 6명의 여왕을 배출했다.
동아시아에서는 여왕이 유럽보다 더 적은데, 역사적으로 중국과 베트남에서 각각 1명, 한국에서 3명, 일본에서 9명의 여왕이 있었지만 여왕의 자녀가 왕위를 세습한 경우는 단 1번도 없었다.[5]
네덜란드는 1890년부터 2013년까지 123년간 빌헬미나, 율리아나, 베아트릭스 3대에 걸쳐 여왕이 있었다. 베아트릭스 여왕의 후사는 아들인 빌럼 알렉산더르 現 국왕이지만, 빌럼 알렉산더르 국왕도 아들이 없이 딸만 셋이라 그 다음 대에서는 거의 확정적으로 또 여왕이 나올 것이다. 스페인의 현 국왕 펠리페 6세도 아들 없이 딸만 둘이라 다음 대에서 여왕이 나올 것이 확정적이다.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그냥 '왕(王)'이라고 적었지만 어느 순간부터[6] '여왕(女王)'이라는 말이 나타났다. 성적 차별일 수도 있지만, 왕이라고 부르면 신라에 선덕왕이 2명이나 나오므로 편의상 '여왕'이라는 호칭이 태어난 듯하다. 어쨌든 한국어에서는 굳이 여자를 안 붙히고 왕이라고만 써도 괜찮다.[7] 뱀발로 한국어에서 여왕이라는 표현이 농염한 이미지가 있다. 아무런 느낌도 없는 '왕'하고는 느낌이 다르다.
에일리언 같은 이종족의 여왕이라는 컨셉으로 나오면, 제법 많이 종족의 어머니라는 속성도 덧붙는다. 아마 벌이나 개미의 여왕들이 자신의 자식들로 이루는 군집에서 모티브를 딴 듯하다.
1.2. 캐릭터 ¶
작품 - 캐릭터 순으로 표기
- 가면 라이더 디케이드 - 퀸
- 거울 나라의 앨리스 - 붉은 여왕
- 겨울왕국 - 엘사
- 권왕전생 - 이니야 엘 에네밀러스
- 그리스 신화 - 펜테실레이아, 옴팔레
- 기어즈 오브 워 - 로커스트 여왕
- 기동전사 Z건담 - 미네바 자비
- 나이트런 - 이브 자일
- 날아라 슈퍼보드 - 게임의 여왕
- 노블레스 - 에르가 케네시스 디 라스크레아(로드)
- 눈물을 마시는 새 - 사모 페이, 극연왕
- 던전 앤 파이터 - 메이아 여왕, 쇼난 아스카, 스카디 여왕, 황녀 에르제
- 드래곤 라자 - 페어리퀸 다레니안
- 드래곤 퀘스트 9 - 유리시스 여왕
- 리그 오브 레전드 - 애쉬,
퀸[9]
- 마비노기 - 에레원
- 마왕 알테어 - 디아나 체페슈
- 마이오토메 - 마시로 브란
- 메이플스토리 - 메르세데스, 시그너스 여제
- 무책임 함장 테일러 - 고자 16세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 네오 퀸 세레니티
- 베르세르크 - 샬로트 베아트릭스 마리 르호디 윈덤
- 스타워즈 - 파드메 아미달라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사라 케리건(저그)[10]
-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 문마리아
- 야무르
- 문마리아
- 십이국기 - 나카지마 요코, 슈쇼우
- 아지랑이 프로젝트 - 아자미, 코자쿠라 마리[11]
- 아키 블레이드 - 마스사리드
- 언리쉬드 - 알리시아(언리쉬드)
- 앨리스 시리즈 - 비발디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엘리자드
- 에일리언 - 퀸 에일리언
- 오쟈마녀 도레미 - 마녀계의 여왕님
- 오즈의 마법사 - 오즈마 공주
- 원피스(만화) - 보아 행콕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피의 여왕 라나텔
- 은하영웅전설 - 카타리네 켓헨 폰 페크니츠
- 은하철도 999 - 프로메슘
- 이나즈마 일레븐 GO 갤럭시 - 라라야 오비에스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퀸 오브 하트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 디드라나 라이트먼
- 전격전대 체인지맨 - 여왕 아하메스
- 전자전대 덴지맨 - 헤드리안 여왕
- 제로의 사역마 - 앙리에타 드 트리스테인
- 창세기전 시리즈 - 이올린 팬드래건[12], 셰라자드
- 츠바사 크로니클 - 아마테라스 황제
- 크로노 트리거 - 질 여왕
- 타이의 대모험 - 플로라
- 트리니티 블러드 - 아우구스타 블라디카
- 프리큐어 시리즈
- 두 사람은 프리큐어 - 퀸
-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 필리아
- Yes! 프리큐어 5 GoGo - 바바로아 여왕
- 스위트 프리큐어♪ - 아프로디테[13]
- 스마일 프리큐어! - 로열 퀸
-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 퀸 미라주
- 두 사람은 프리큐어 - 퀸
- 프린세스 크라운 - 그라드리엘
- 피를 마시는 새 - 치천제, 원시제
- 헌터X헌터 - 키메라 앤트 여왕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3 - 캐서린 아이언피스트
- CIEL - 마리온 에버릿, 카를라 에버릿, 유지니아
- SF 서유기 스타징가(별나라 손오공) - 퀸 라셋
- W.I.T.C.H. - 일라이언 브라운
2. 일본 황실의 지위 중 하나 ¶
일본 황실에서 덴노의 딸과 손녀까지는 내친왕(內親王), 증손녀부터는 여왕(女王)이라고 부른다. 다만 현행 황실전범(1947년) 제정 이전에는 고손녀까지를 내친왕, 5대째 손녀부터를 여왕이라고 했다. 영어 번역은 둘 다 Princess.
나루히토 황태자의 무남독녀 도시노미야 아이코, 후미히토 친왕의 장녀 마코와 차녀 카코는 아키히토 덴노의 손녀들이기에 내친왕의 칭호를 받았다. 구로다 사야코 또한 쇼와 덴노의 손녀이기에 내친왕이었으나, 2005년 평민과 결혼한 후부터 내친왕의 지위를 잃고 평민이 되었다.
한편 본래 일본 황족 가문에서 태어난 이방자 비와 고준황후도 미혼 시절에는 '여왕'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는데, 각각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梨本宮方子) 여왕, 구니노미야 나가코(久邇宮良子) 여왕이라 불렸다.
1947년 현행 황실전범이 제정된 이후에는 총 5명의 여왕이 있었으나, 2014년 10월 다카마도노미야 노리코 여왕이 평민 센게 구니마로(千家國磨)에게 시집간 후 4명으로 줄었다.
2.1. 일본 황실의 여왕들 ¶
다이쇼 덴노의 증손녀이기 때문에 '여왕'의 칭호를 받은 황녀들이다.
- 미카사노미야 아키코(三笠宮彬子) 여왕(1981-): 다이쇼 덴노의 4남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의 장남인 故 토모히토 친왕의 장녀. 외삼촌은 그 유명한
천하의 개쌍놈아소 다로이다. 가쿠슈인 대학 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한 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로 유학을 떠나 일본 미술사를 공부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황실 최초의 여성 박사이기도 하다.
- 미카사노미야 요코(三笠宮瑤子) 여왕(1983-): 토모히토 친왕의 차녀. 가쿠슈인 여대를 졸업한 후 일본적십자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특기는 검도로, 가쿠슈인 초등과 5학년 때부터 시작하여 대학 시절에는 검도부 부주장을 지냈으며, 검도 관련 공무들도 했다.
- 다카마도노미야 쓰구코(高円宮承子) 여왕(1986-): 다카히토 친왕의 3남인 故 다카마도노미야 노리히토 친왕의 장녀. 자유분방하고 방탕한 생활로 말이 많았다. 황족은 대대로 가쿠슈인에서 공부하는 전통을 깨고 와세다대학 교양학부에 입학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다마카도노미야 아야코(高円宮絢子) 여왕(1990-): 노리히토 친왕의 3녀. 가쿠슈인 여자 고등과를 졸업한 후 죠사이(城西) 국제대학 사회복지학과에 진학, 큰언니 쓰구코 여왕에 이어 '탈 가쿠슈인' 흐름에 동참했다.
4. 모에 요소 ¶
모에 요소 중 하나. 보통 '여왕님' 속성이라고 하는 때가 많다. 일반적으로 자신에 비해 타인을 하찮게 여기고, 또한 복장이나 소품에 다른 캐릭터들과 다른 부티 + 거기에다 나르시즘 취향이 농후한 여성 캐릭터들에 이런 속성이 붙는다. 아가씨 속성과는 다른 사람을 자기 뜻대로 부려먹느냐 아니냐가 다르다. 예로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의 오가사와라 사치코는 아가씨 속성이지만 여왕님 속성은 아니다.
이 속성이면 대부분 마이페이스가 패시브 스킬로 있다. 개념이 없을 때도 많다.(…) 웃을 때 손등으로 입을 가리고 오홋홋홋!이라 웃을 줄 알며 이 천박한 것들! 내 앞에 머리를 조아리거라!라고 말하면 금상첨화다. 3번 항목과 이미지를 묶어 가끔 하이힐에 채찍을 휘두른다. 여왕으로 설정한 가상인물 가운데에 이 성격인 캐릭터도 많다.
단, 실존하는 세계 각국의 여왕이 이런 속성이라고는 생각하지 말자. 오히려 왕족이 나라의 상징으로서 있는 현대에 흔히들 생각하는 여왕님 속성의 캐릭터는 안 맞는다. 모에 요소는 모에 요소일 뿐.
4.1. 해당 속성을 가진 캐릭터 ¶
- 작품 - 캐릭터 순으로 표기
골판지 전기 - 카와무라 아미
기동전사 건담 SEED - 이자크 쥴
- 나이트런 - 프레이 마이어
- 더 머펫 쇼 - 미스 피기[14]
- 던전 앤 파이터 - 데몬슬레이어[15]
- 도라에몽 - 신이슬[16]
- 돌아가는 펭귄 드럼 - 크리스탈의 공주
- 로젠 메이든 - 신쿠
- 리그 오브 레전드 - 엘리스[17]
- 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반역의 이야기 - 아케미 호무라 [18]
- 바이오하자드 코드: 베로니카 - 알렉시아 애쉬포드
- 사이퍼즈 - 밤의 여왕 트리비아[19]
- 선덕여왕 - 미실
- 소울 칼리버 - 아이비 발렌타인
- 스타크래프트 - 사라 케리건, 여왕
- 쓰리몬 - 마루이 미츠바
- 아르카나 하트 - 다이도우지 키라, 페트라 요한나 라게르크비스트
- 아카메가 벤다! - 에스데스
- 야쿠시지 료코의 괴기 사건부 - 야쿠시지 료코
- 엘소드 - 이브, 루
- 역전재판 시리즈 - 카루마 메이
- 워크래프트 시리즈 - 실바나스 윈드러너
- 원피스 - 보아 행콕
이즈모3 - 사사야마 후유코[20]
- 진 연희무쌍 - 원소
- 창세기전 시리즈 - 메리 팬드래건
- 킬라킬 - 키류인 사츠키
- 테일즈위버 - 밀라 네브라스카[21]
-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 - 지우의 주리비얀
피겨 스케이팅 - 김연아
- 햣코 - 안도 네네
- KOF 시리즈 - 엘리자베스 블랑토르셰, 윕, 매츄어
- TIGER & BUNNY - 블루 로즈[22]
- wake up girls - 시카타니 아야
5. 군집생활을 하는 곤충들의 산란개체 ¶
벌이나 개미와 같이 군집생활을 하는 생물들은 무리의 번식을 담당하는 개체가 따로 있는데 이를 여왕으로 칭한다.[23] 다른 기능보다 알낳는 기능만을 하기위해 거대한 몸집과 알주머니를 지닌다. 번식기인 벌집이나 개미집에서 수컷이나 차기 여왕 개체들이 태어난다.[24]
5.1. 여왕벌 ¶
벌집의 하단부에 왕대(王臺, queen's cell)라는 구조물이 몇 생기며 여기에는 새 여왕벌의 알과 로얄젤리라는 특수한 영양액이 찬다. 하나의 벌집에는 일자 전승의단 1마리의 여왕개체만이 허용된다. 새로운 처녀 여왕벌이 탄생하기 며칠 전에 어미 여왕벌은 미리 한 무리를 이끌고 새로운 곳을 찾아 떠나는데 이를 분봉[25]이라고 부른다. 양봉하시는 분들은 분봉철이 다가오면 이 무리를 잡기 위해 분주히 움직인다.
맨 처음 태어난 새 여왕벌은 분주하게 돌아다니며 다른 왕대를 부수고 동생 여왕벌들을 끔살 하고 다닌다. 만약 2마리 이상이 1번에 태어나면 데스매치가 벌어지는데 크...크로스 카운터 더블 KO가 나와서 더이상 생식개체가 없는 좆망 상황이 없도록 조심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26] 이후 마지막 1마리인 여왕벌이 밖으로 나가 수벌들과 최후의 교미비행을 한 뒤 돌아와 하루하루 알낳는 기계를 한다. 여왕벌은 교미비행을 할 때 수벌로부터 받은 정자를 몸 속에 저장해두고 평생 그 정자를 이용해 알을 수정시킨다. 이 때 유정란(2배체=2n)은 암벌이라 일벌이나 여왕벌로 자라고, 무정란(=n)은 모두 수벌로 태어나기에 여왕벌은 자식의 성별을 낳기 이전에 결정할 수 있다.
5.2. 여왕개미 ¶
생식 개미들은 다른 개미들과는 달리 날개를 가지고 태어난다. 번식철이면 한꺼번에 이 여왕개미들과 수개미들이 날아올라 결혼비행을 한다. 근처 포식자들에게는 살이 통통히 오른 꼐임생각뿐인 단백질덩어리 들이 그냥 날아다니는 진수성찬.[27] 그 밥상(...)에서 살아남아 곳곳으로 퍼진 여왕개미들은 날개를 떼고 새로운 개미집을 세운다. 개미집을 세운 이후에는 알을 낳고 필요없어진 날개 근육을 녹여 만든 이유식으로 애벌레를 길러 일개미를 만든다.
대부분의 군체가 딱 1마리의 여왕만이 있으나 복수의 여왕이 나올 수도 있다. 생식을 위한 수컷들도 있으나 존재 의의는 그저 정액셔틀일 뿐인 가엾고 딱한 자로서, 군체의 먹이사정이 나쁘면 퇴출 1순위의 잉여다. 심한 경우는 그냥 죽이기도 한다. 여왕개미도 벌처럼 자식의 성별을 결정해 낳을 수 있다.
개미매니아들의 은어로서 '신여왕'이라는 말이 있는데, 짝짓기를 해서 생식능력을 획득한 시점부터 첫 일개미를 탄생시키기 전까지의 여왕개미를 말한다.
5.3. 여왕개미(흰개미) ¶
이쪽의 수캐미는 잉여나 정액셔틀 따위가 아니고(왕이라고 부름) 결비 때 짝을 정하면 둘 중 하나가 죽을 때까지 평생 ㅍㅍㅅㅅ하며 같이 산다. 게다가 만약 여왕이 죽으면 일개미라도 여왕개미를 할 기회가 있다. 참고로 흰개미는 일개미도 암수가 있어 개미보다 훨씬 평등하다.
1차여왕, 2차여왕, 3차여왕이 있는데 2차여왕은 규모있는 군체에 수백 마리가 있지만 전체가 1차여왕의 출산력을 못 따라간다. 웬만한 여왕개미들과 비교해도 1차여왕의 출산력은 넘사벽이라서[28] 흰개미의 군체가 개미의 그것보다 크다. 3차여왕은 일개미 출신이다.
8. 중국 삼국시대의 조비의 황후 곽여왕 ¶
----
- [1] 메리 2세는 남편에게 순종적인 것이 여성의 미덕이라고 생각해 남편과의 공동즉위를 고집했다. 윌리엄 3세는 스스로도 처제인 앤 다음의 왕위계승권이 있었기에 King의 호칭을 받았다.
3등은 동메달이라도 준다. - [2] 여성 섭정은 몇 있었고, 합스부르크 가문은 18세기 중반에 국본조칙으로 여성 계승권을 인정하였다. 당시 신성로마제국 황제였던 카를 6세가, 아들은 없고 딸만 하나 있었기 때문. 단 여성이 신성로마제국 황제가 될 수는 없었으며, 마리아 테레지아도 '신성로마제국의 황후 겸 오스트리아의 여대공' 으로서 통치했다.
- [3] 마가렛, 메리 스튜어트
- [4] 마틸다, 제인 그레이
- [5] 정확히 말하면 '여왕의 자녀로서' 왕위를 물려받은 경우는 없다. 당중종과 당예종이 측천무후의 아들이긴 하지만, 이들은 '주나라 황족인 무씨', 즉 측천무후의 자식으로가 아니라 '당나라 황족인 이씨' 즉 고종의 아들로서 황제가 된 것이다. 일본의 지토 덴노는 손자(황태자가 일찍 죽어 그 아들이 즉위했다) 몬무 덴노에게, 겐메이 덴노는 딸 겐쇼 덴노에게 왕위를 물려주긴 했지만 과거 일본 황족은 근친혼을 했기 때문에 이들의 아버지도 황족이었다.
- [6] 세종실록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에는 영묘사를 창건한 군주가 '선덕여왕'이라고 나온다.
- [7] 사실 동아시아권은 대체로 다 그렇다.
- [8] 압도적인 기량과 그의 따른 인기 덕에 피겨요정, 국민여동생 등으로 칭해졌다. 올림픽 금메달로 명실상부 현세대 최고 여피겨스케이터로 도장을 콱 박고, 그 이후 오랜만에 복귀하고도 수성을 유지하는 위엄 덕에 여왕으로 더 많이 불리기 되었다.
- [9] 이름만.
- [10] 정확하게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때부터. 또한 군단의 심장 초반에 잠시 지배권을 잃었다가 겨우 4번째 임무만에 권력을 탈환. 완벽히 재집권한 시기는 코랄 총공습 직전쯤이다.
- [11] 아자미는 아지랑이 데이즈를 만든 본래 주인이고, 마리는 후에 아자미에게서 '눈을 합치는 능력(메두사의 핵)'을 받은 새로운 주인이다.
표현하면 아자미는 나라를 세운 초대 여왕이고, 마리는 선조에게서 통치권을 물려받은 후대 여왕이다 - [12] 게임 중후반에 어린 남동생을 대신해서 임시적으로 여왕을 한다.
- [13] 남편인 메피스토가 원래대로 되돌아온 뒤에는 여왕이 아닌 왕비로 있게 된다.
- [14] 시대를 앞서간 나르시스트 여왕님 캐릭터다. 폭력녀 속성까지 완비.
- [15] 특히 35제 스킬인 혈화난무를 쓸 때 이 속성의 절정을 보여준다.(…)
- [16] 가면의 여왕편에서만 한정,주술사에게 개조되고 진구를 적대시하는 다른 사람이 되지만 목걸이를 보여주고 기억이 되돌아온다.
- [17] 위에서 언급한 속성보다는 "거미 여왕"이라는 칭호 때문에 여왕님 속성
- [18] 반역의 이야기 후반부터
- [19] 위에서 언급한 속성보다는 "밤의 여왕"이란 칭호 때문에 여왕님 속성
- [20] 여왕님 속성은 없지만 무기가 채찍. 거기다 최강장비 이름이 여제(女帝)의 채찍.
- [21] 하이힐 부츠에 채찍이 있다. 다만, 파크와 휘스커에게만 여왕님 속성이고, 그 밖에는 오히려 보모같은 역할이다.
- [22] 실제로는 연주하고 노래하는 것을 좋아하는 활달한 성격. 히어로 활동을 할 때 스폰서의 요구대로 여왕님 같은 대사나 자세를 하지만 본인은 그것을 불만스러워 한다.
- [23] 사실 이들 개체의 수컷이 아닌 다른 개체들은 유전자가 암컷이다.
- [24] 문헌에 따라서는 아직 자신만의 개체군를 거느리지 못한 처녀 여왕 개체를 공주, 즉 공주개미나 공주벌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 [25] '봉분'이라고도 하는데 무덤과 혼동되어서인지 분봉 쪽이 더 널리 쓰인다.
- [26] 이런일이 벌어지면 양봉하는 사람들에게는 제일 무서운 무왕군이 나와서 벌집을 버려야 한다.
- [27] 특히 여왕개미는 지방, 수컷은 정액(..)이 풍부해서 새들이 일개미들보다 더욱 선호한다.
- [28] 외국에는 하루에 4만개씩 싸지르는 종도 있다니 ㅎ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