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 modified: 2015-11-27 23:56:58 by Contributors
각 나라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다섯 곡식을 가리키는 말. 굳이 사곡도 칠곡도 아닌 왜 굳이 오곡이 꼽히냐면
오행으로 인해 다섯 요소를 함께 먹음으로써 장수와 건강을 바랐던 것 같다. 오곡밥 판매업체에서는 이런 썰을 풀고 있지만 자세한 유래는
추가바람
오곡밥은 이 다섯 곡식으로 짓는다. 그런데 시대에 따라 변천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조 대신 '직稷'이라는 곡식이 들어가 있다. 이 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수수라는 설도 있고
피라는 설도 있다. 그냥
조가 맞다는 설도 있다. 현대의 오곡밥도 꼭 저 다섯 곡식으로 짓는 것은 아니며 밤이나 대추 같은 걸 넣고 대충 잡곡 섞어서 짓는 경우도 많다.
그건 그냥 잡곡밥 아닌가
보리,
콩,
피에 지방과 시대에 따라
쌀,
수수,
참깨가 번갈아가며 들어간다.
멀티 시드라는 명칭으로 건강식으로 꼽히고 있다. 역사성이 깊은 건 아니고 오곡처럼 이렇게 꼽아서 빵에 넣어 먹는다. 물론 빵 자체는 밀, 혹은 호밀로 만든다. 잡곡에는 기장이나 조가 주로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