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 도감 번호 | 성비 | 타입 | ||
한국어 | 일본어 | 영어 | |||
모다피 | マダツボミ | Bellsprout | 전국 : 069 성도 : 064 | 수컷: 50% 암컷: 50% | 풀 독 |
우츠동 | ウツドン | Weepinbell | 전국 : 070 성도 : 065 | ||
우츠보트 | ウツボット | Victreebel | 전국 : 071 성도 : 066 |
특성 (5세대 PDW 특성은 *) | |
엽록소 | 쾌청시 스피드가 2배가 된다. |
*먹보 | 나무열매를 체력 절반에서 먹는다. (원래부터 체력 절반에서 먹었던 열매는 제외)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알 그룹 | 포획률 |
069 모다피 | 꽃 포켓몬 | 0.7m | 4.0kg | 식물 | 255 |
070 우츠동 | 파리잡이 포켓몬 | 1.0m | 6.4kg | 120 | |
071 우츠보트 | 1.7m | 15.5kg | 45 |
진화 | 레벨 21 | 리프의 돌 | |||
069 모다피 | → | 070 우츠동 | → | 071 우츠보트 |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2배 | 1배 | 0.5배 | 0.25배 |
불꽃 얼음 비행 에스퍼 | 노말 독 땅 벌레 바위 고스트 드래곤 악 강철 | 물 전기 격투 페어리 | 풀 |
종족치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069 모다피 | 50 | 75 | 35 | 70 | 30 | 40 | 300 | |
070 우츠동 | 65 | 90 | 50 | 85 | 45 | 55 | 390 | |
071 우츠보트 | 80 | 105 | 65 | 100 | 70[1] | 70 | 490 |
도감설명 | |
069 모다피 | |
적/녹 파이어레드 | 사람 얼굴처럼 생긴 꽃봉오리로 인해 전설의 맨드레이크의 일종이 아닐까 하는 설이 있다. |
청 리프그린 | 작은 벌레를 잡아 먹는다. 다리의 뿌리를 써서 수분을 보급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
피카츄 | 온도가 높고 습기가 있는 곳을 좋아한다. 덩굴을 써서 자그만 벌레를 잡아 먹는다. |
금/하트골드 | 홀쭉한 체격이지만 먹이를 잡을 때의 움직임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다. |
은/소울실버 | 다리를 지면 깊이 뻗어서 수분을 보충한다. 그때 공격을 받으면 도망치지 못한다. |
크리스탈 | 주위에 움직이는 것이 있으면 언제라도 금방 반응해서 가느란 덩굴을 뻗는다. |
3세대 | 가늘고 탄력 있는 몸은 아무리 강한 공격이라도 몸을 휘어서 피할 수 있다. 입에서 철도 녹여버리는 액을 내뿜는다. |
4~5세대 | 고온다습한 땅을 좋아한다. 덩굴을 뻗어서 먹이를 잡을 때의 움직임은 매우 재빠르다. |
070 우츠동 | |
적/녹 파이어레드 | 잎사귀 부분은 커터가 되어 상대를 자른다. 입에서는 뭐든지 녹이는 액체를 뿜는다. |
청 리프그린 | 우선 독가루를 뿌려 상대의 움직임을 멈추게 만든 후 용해액으로 숨통을 끊는다. |
피카츄 | 배가 고프면 닥치는 대로 움직이는 것을 집어삼키고는 용해액으로 숨통을 끊는다. |
금/하트골드 | 용해액의 효능을 없애는 액체도 분비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은 용해액의 해를 입지 않는다. |
은/소울실버 | 입보다도 큰 먹이는 잘 드는 날카로운 잎사귀로 잘라 남김없이 먹어치운다. |
크리스탈 | 배가 고프면 날카로운 잎사귀를 날려댄다. 운 나쁘게 베이면 그대로 먹잇감으로 삼는다. |
3세대 | 밤이 되면 엉덩이의 갈고리를 나뭇가지에 걸고 매달려 잔다. 잠자는 모양이 나쁘면 아침에 떨어진다. |
4~5세대 | 식물과 똑 닮은 포켓몬이다. 방심해서 가까이 다가온 먹이에게 독가루를 뿌려서 잡는다. |
071 우츠보트 | |
적/녹 파이어레드 | 꿀 같은 향기에 꾀어 입 안으로 들어가면 끝장. 용해액에 녹아버린다. |
청 리프그린 | 정글의 오지에 우츠보트만 있는 지대가 있어서 갔다간 두번 다시 돌아올 수 없다. |
피카츄 | 꿀냄새로 먹잇감을 유혹한다. 입 안에 들어온 것은 하루만에 뼈까지 녹여버린다고 한다. |
금/하트골드 | 많은 먹이를 녹인 용해액은 단맛이 많이 나서 더욱 먹이를 모으기 쉽게 된다. |
은/소울실버 | 꿀냄새를 맡고 모여든 먹이 전부를 입안에서 녹여버리는 난폭한 식물 포켓몬. |
크리스탈 | 체내에 집어넣은 것은 아무리 단단해도 용해액으로 순식간에 녹여버린다. |
3세대 | 머리에 붙은 긴 덩굴을 자그만 생물에게 보이는 움직임으로 먹잇감을 유혹해서 접근하면 한입에 덥석 잡아먹는다. |
4~5세대 | 꿀같은 향기의 액체를 입에 모아두고 있지만 그것은 무엇이든 녹이는 용해액이다. |
2. 성능 ¶
엽록소 특성을 가졌으나 쾌청파티가 비바라기 파티와 달리 마이너하기 때문에 사용빈도는 적고, 기술폭도 좁아 쓰기 곤란했던 포켓몬이다.
종족치를 보면 공격이 풀 포켓몬 5위/독 포켓몬 2위에, 특공보다 높고 칼춤을 배우기 때문에 칼춤 + 엽록소를 통해 물리 기술로 스윕하는 포켓몬으로 보이지만, 오물폭탄이 특수 공격으로 변했는데 정작 더스트슈트는커녕 독찌르기조차 익히지 못한다! 사실상 물리 종족치와 칼춤을 살릴 수 있는 기술은 풀속성 기술인 리프블레이드 하나 뿐이다. [2]. 하지만 특공형은 나쁜음모를 배우지 못하는 점이 아쉽지만, 성장을 통해 랭크업이 가능하며, 쾌청 특유의 1턴 자속성 솔라빔을 이용한 특공형은 물리형보다 여러모로 우월하다.
HGSS 이전에는 대다수 풀타입 포켓몬처럼 쓰기 힘든 포켓몬이었으나, HGSS에서 교배기로 배울 수 있는 웨더볼은 쾌청시 위력 100의 불꽃타입 기술이 되기 때문에 잠재파워 불꽃이 필요 없어졌다. 거기다가 쾌청 보정까지 받기 때문에 풀포켓몬 주제에 150 이라는 초 고화력 불기술을 쓴다. 뭐야 이거, 무서워.
즉, 솔라빔/웨더볼 불꽃 이라는 고위력 화력기 콤보가 사용 가능해 지는데, 불/풀 타입에 동시에 저항하는 포켓몬은 딱히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포켓몬을 1배로 공격할 수 있다.[3]
드래곤 타입이나 강철 타입의 견제를 위해 잠재 얼음, 땅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외에도 솔라빔을 포기하고 리프스톰/풀묶기/파워휩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파워휩을 배우면 웨더볼을 포기해야한다는 점이…. 6세대 이후부터는 양립 가능.
5세대에서 나인테일의 드림특성 해금으로 사용이 용이해졌다. 6세대에서는 특수방어 종족값이 10올라 내구면에서 강화되었다. 공격면에서도 자속받는 독타입기술도 페어리타입을 상대할 수 있게되어 되었다. 허나 날씨팟 자체가 하향을 먹어서…….
여담이지만, 로즈레이드의 하위호환으로 무시당할 뻔한 포켓몬이다. 로즈레이드는 특성이 엽록소가 아니기 때문에 무사히 넘어간 케이스.
탁쳐서 떨구기와 클리어스모그를 동시에 배우는 유일한 포켓몬이다! 그런데 이 경우 위에서 찬양한 웨더볼을 포기해야 한다.(…) 6세대부터는 부모 양쪽에게서 유전기를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양립이 가능해졌다
3. 기타 ¶
애니판에선 등장마다 로이를 덮치는 로켓단 3인방의 식충식물중 원조로 유명한 포켓몬이다. 무인편에서는 지우의 리그전 4라운드 상대의 마지막 포켓몬으로 초기형인 모다피가 등장했다. 이 모다피는 미친듯이 강해서 이상해씨를 가볍게 제압하고 피카츄마저 전기공격을 모조리 땅으로 흘려보내고 발차기 단 한방으로 피카츄를 리타이어시키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지우의 마지막 포켓몬인 질뻐기에게 당해서 리타이어.
2014년 2월경, 트위치 포켓몬에서 NPC 트레이너의 우츠동한테 플레이어의 레벨 40의 피죤투가 빈사상태가 되고 리자드가 떡실신하는 어처구니 없는 해프닝이 일어나기도 했다.우츠동 OP설 갓츠동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이외에도 참 골때리는 상황이 현재진행형이다.
트켓몬11에서는 아예 멤버로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