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항목은 WoW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다. |
워크래프트 시리즈 | ||||||||||||||||||||||||||||||||||||||||||||||||||||||||||||||||||||||||||||||||||||||||||||||||||||
RTS |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 (1994년) ▶ 워크래프트 2 (1995년) ▶ 워크래프트 3 (2002년) | |||||||||||||||||||||||||||||||||||||||||||||||||||||||||||||||||||||||||||||||||||||||||||||||||||
MMORPG | 2005년 | 2007년 | 2008년 | 2010년 | 2012년 | 2014년 |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불타는 성전 | 리치 왕의 분노 | 대격변 | 판다리아의 안개 |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 |||||||||||||||||||||||||||||||||||||||||||||||||||||||||||||||||||||||||||||||||||||||||||||||
TCG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2014년) | |||||||||||||||||||||||||||||||||||||||||||||||||||||||||||||||||||||||||||||||||||||||||||||||||||
어드벤처 | 워크래프트 어드벤처 (개발취소) |
World of Warcraft | ||||
![]() [JPG image (46.98 KB)] | ||||
개발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 |||
유통 | 액티비전/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 |||
한국내 유통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 |||
디자이너 | 롭 팔도/톰 칠튼/제프 카플란 | |||
Platform(s) | Mac OS X/Microsoft Windows | |||
장르 | MMORPG | |||
서비스 시작 | 2004년 11월 23일(미국) 2005년 2월 11일(유럽) 2005년 1월 28일(한국) | |||
서비스 형태 | 정액제: 한달 19800원 | |||
시스템 요구 사항 | ||||
Microsoft Windows 요구 사항 | ||||
Intel Pentium 4 1.3 GHz 이상의 CPU AMD Athlon XP 1500+ 이상의 CPU | ||||
1GB 이상의 램 | ||||
25GB 이상의 하드 여유 공간 | ||||
NVIDIA Geforce FX 이상의 그래픽 카드 ATI Radeon 9500 Video card 이상의 그래픽 카드 | ||||
Mac OS X 요구 사항 | ||||
Mac OS X 10.5.8 / Mac OS X 10.6.4 | ||||
2GB 이상의 램 | ||||
25GB 이상의 하드 여유 공간 | ||||
ATI 또는 NVIDIA Video card 이상의 그래픽 카드 64MB Video RAM 이상 요구 | ||||
영문 공식 홈페이지 | ||||
한글 공식 홈페이지 |
Contents
1. 개요 ¶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로그인 테마〈Legends of Azeroth〉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간판 게임인 워크래프트 시리즈 세계관을 바탕으로 최초로 개발한 MMORPG. 약칭 '와우(WoW)'. 북미와 호주에서는 2004년 11월 23일에 정식 서비스를 개시했다. 한국에서는 북미보다 이틀 늦은 2004년 11월 25일에 오픈베타를 시작하고 2005년 1월 28일에 정식 서비스를 개시했다. 즐기는 국가는 북미(미국, 캐나다), 유럽(영국, 독일, 프랑스, 러시아, 스페인), 호주, 뉴질랜드, 한국, 중국, 대만, 동남아시아(싱가폴, 홍콩, 마카오) 등이 있다. 도합 244개의 국가에서 계정을 생성, 전세계 유저 수는 1억명 이상이다.(공식 홈페이지 링크)
1.1. 트레일러 영상 ¶
아제로스의 종족들이 단결하여 불타는 군단의 강대한 힘에 맞서 싸운 지 4년. | Four years have passed since the mortal races banded together and stood united against the might of the Burning Legion. |
1.2. 확장팩 ¶
- 불타는 성전 (2007)
- 리치 왕의 분노 (2008)
- 대격변 (2010)
- 판다리아의 안개 (2012)
-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2014)
2.1. 직업 ¶
- 전사 - 방어, 근접 공격
- 도적 - 근접 공격
- 사냥꾼 - 원거리 공격
- 마법사 - 원거리 마법 공격
- 흑마법사 - 원거리 마법 공격
- 사제 - 원거리 마법 공격, 치유
- 성기사 - 방어, 근접 공격, 치유
- 주술사 - 근접 공격, 원거리 마법 공격, 치유
- 드루이드 - 방어, 근접 공격, 원거리 마법 공격, 치유
- 죽음의 기사 - 방어, 근접 공격
- 수도사 - 방어, 근접 공격, 치유
2.1.2. 착용 방어구 ¶
일부 직업은 40레벨이 되면 착용 방어구가 한 단계 올라간다. 특히 판금을 입을 수 있는 직업은 저렙때는 사슬을 착용하다 40레벨을 기점으로 판금으로 넘어간다.[1]
2.1.3. 능력치 ¶
2.1.4. 초보자용 직업 선택 팁 ¶
2.1.5. 레벨업 ¶
- 관련항목: 와우 최단시간 만렙코스
2.2. 플레이어 종족 ¶
2.4. 지역 ¶
2.10. 유저 인터페이스 ¶
2.12. 기술 및 버프 / 디버프 ¶
2.12.1. 버프형 시너지 ¶
직업 | 전문화 | 능력치(5%) | 체력(10%) | 전투력(10%) | 주문력(10%) | 가속(5%) | 치명타(5%) | 특화(550) | 연속타격(5%) | 유연성(3%) | 피의 욕망 | 전투부활 | |
전사 | 무기 | 지휘의 외침 | 전투의 외침 | 고무적인 존재 | |||||||||
분노 | |||||||||||||
방어 | |||||||||||||
사제 | 수양 | 신의 권능: 인내 | |||||||||||
신성 | |||||||||||||
암흑 | 사고 촉진 | 사고 촉진 | |||||||||||
도적 | 암살 | 스위프트블레이드의 간교함 | 스위프트블레이드의 간교함 | ||||||||||
전투 | |||||||||||||
잠행 | |||||||||||||
기사 | 신성 | 왕의 축복 | 힘의 축복 | ||||||||||
보호 | |||||||||||||
징벌 | 신성한 오라 | ||||||||||||
술사 | 고양 | 바람의 은총 | 바람의 은총 | 영웅심 | |||||||||
정기 | |||||||||||||
복원 | |||||||||||||
법사 | 비전 | 신비한 총명함 | 신비한 총명함 | 시간 왜곡 | |||||||||
화염 | |||||||||||||
냉기 | |||||||||||||
수도 | 양조 | 백호의 유산 | 백호의 유산 | ||||||||||
풍운 | 성난 바람 | ||||||||||||
운무 | 황제의 유산 | ||||||||||||
흑마 | 고통 | 피의 서약 | 검은 의도 | 검은 의도 | 영혼석 | ||||||||
악마 | |||||||||||||
파괴 | |||||||||||||
죽기 | 혈기 | 겨울의 뿔피리 | 무덤의 힘 | 아군 되살리기 | |||||||||
냉기 | <|2<#dcdcdc> 부정의 오라 | 부정의 오라 | |||||||||||
부정 | |||||||||||||
드루 | 야성 | 야생의 징표 | 무리의 우두머리 | 야생의 징표 | 환생 | ||||||||
수호 | |||||||||||||
조화 | 달빛야수 오라 | ||||||||||||
회복 | |||||||||||||
냥꾼 | 야수 전문화 | 벌레, 혈암거미 | 라일라크, 실리시드 | 정조준 오라 | 실리시드, 소금쟁이 | 라일라크 | 혈암거미, 데빌사우루스, 기렌, 소금쟁이 | 야수정령 | 심장부 사냥개, 갈래발굽, 키메라 | 갈래발굽, 벌레 | 심장부 사냥개 | 기렌 | |
공통 | 고릴라, 개 | 곰, 염소 | 뱀 | 포자날개, 하이에나, 말벌 | 늑대, 랩터 | 살쾡이, 타조, 히드라 | 용매, 천둥매, 바실리스크, 박쥐 | 멧돼지, 순록, 호저, 맹금, 칼날발톱 | 황천의 가오리 | 학, 나방 |
2.13. 서버(렐름) ¶
2.14.1. 한국 ¶
유료서비스 | 가격 | 기타 | |
정량제 | 5시간 | 3,900 | |
30시간 | 14,900 | ||
정액제 | 7일 | 7,040 | |
30일 | 19,800 | ||
90일 | 47,520 | ||
기타 부가서비스 | 이름변경 | 10,000 | |
유료 서버 이전 | 24,000 | ||
진영 변경 | 35,000 | 종족+외모+이름 변경 포함 | |
종족 변경 | 24,000 | 외모+이름 변경 포함 | |
캐릭터 설정 변경 | 20,000 | 외모+이름 변경 | |
90레벨 캐릭터 업그레이드 | 63,000 |
- 한국에서 오픈베타가 끝나고 상용화가 시작되자 한 달에 24,750원이라는, 예상보다 상당히 비싼 요금이 책정되어 꽤 많은 욕을 먹었고, 상당히 많은 유저들이 이탈했다. 그러나 두세 달이 지난 시점부터 다시 유저들이 조금씩 돌아오면서 망한 것처럼 여겨졌던 게임이 살아나기 시작했다. 이것은 2005년 당시 MMORPG 빅 3라고 나왔던 그라나도 에스파다, 제라, 썬이 기대 이하의 퀄리티로 나온 탓도 있다. 그나마 다른 노선을 취한 그라나도 에스파다만 살아남고 제라와 썬은 시망. 거기다 상용화 1주년을 기념하여 2006년 1월 18일부터 3개월간 20% 가격 할인 이벤트를 시작하자, 이 때 유저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이 반응에 힘입어 가격 할인 이벤트가 끝나는 4월 18일부터 영구적으로 가격을 20% 할인, 이 때부터 한 달 요금이 19,800원으로 정식 책정되었다.
- 불타는 성전, 리치 왕의 분노이 출시되었을 때 패밀리 마트에서 클라이언트 DVD 키트를 판매했었는데, 공통적으로 신규유저 14일 무료쿠폰과 OST를 포함한 구성이다. 가격은 불타는 성전 2,900원, 리치 왕의 분노 DVD는 3,900원. 저 OST는 북미섭에선 무려 10만 원짜리 한정판을 사야 동봉되는 상품이다. 4만원짜리 일반 패키지엔 그냥 설치 DVD랑 종이 카탈로그 달랑(…). 하지만 대격변부터는 따로 클라이언트 키트를 팔지 않고 있다.
- 드레노어의 전쟁군주가 출시되었을 때, 최초로 한국에서도 소장판을 판매하였다. 가격은 90,000원
2.14.2. 해외 ¶
- 중국의 경우, 전세계에서 가장 요금이 압도적으로 싸다. 1시간당 40원이었으나,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발매 시기에 맞춰서 1시간당 60원으로 올렸다. 기본 요금제는 1350분에 2500원, 2700분에 5000원이다 (각각 15위안, 30위안)
- 서양의 경우, 전통적으로 서양에서 서비스했던 MMORPG들의 공식인 패키지 + 월정액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량제는 없다. 복귀 유저가 새로운 확장팩을 하려면 단 1시간을 해도 신규 확장팩을 사고 월정액제로 이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확장팩 발매달에 와우의 서양쪽 매출은 최대가 된다. 확장팩 발매달이 아니어도 와우 매출의 77%가 서양에서 발생할 정도로 비중이 높으므로, 확장팩 발매달에는 와우의 매출이 급상승한다.
호주의 경우는 판다리아까지의 게임은 베틀코인을 충전해서 달마다 게임시간을 충전하거나 일정 기간에 돈이 빠저나가는 서브스크립[5]의 두가지가 있다. 여기서 죄신 확장팩인 드레노어의 전쟁군주를 하고 싶다면 업그래이드 패키지를 사야 한다. 대신 90랩 점프 이용권을 하나 받을 수 있으니 그냥 무턱대고 비싼건 아니다. JB HI-FI 같은대서 게임카드를 구할 수도 있지만 그걸 사느니 차라리 베틀넷 홈페이지서 서브스크립 결제하고 이후결제를 캔슬해서 사용하는것이 더 싸게 먹힌다.
3.3.2. We Are The World of Warcraft ¶
영어 가사 | 한국 블리자드의 한국어 번역 |
There comes a time, when we feel a certain urge We have a choice, to build a character We are the World of Warcraft So here's to the Worgen, the Druids, the Paladin We are the World of Warcraft | 손가락이 근질거리는 순간이 있어요 캐릭터를 만들면 선택을 내려야죠 위 아 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늑대인간, 드루이드, 팔라딘 만세 위 아 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4. 관련 상품 ¶
4.1. 소설 ¶
- 워크래프트: 피와 명예 - 크리스 멧젠
- 워크래프트: 용의 날 - 리처드 나크
- 워크래프트: 부족의 지배자 - 크리스티 골든
- 워크래프트: 최후의 수호자 - 제프 그럽
- 워크래프트: 고대의 전쟁 3부작 - 리처드 나크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증오의 순환 - 키스 디캔디도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호드의 탄생 - 크리스티 골든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의 물결 - 아론 로젠버그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의 문 너머 - 아론 로젠버그, 크리스티 골든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용의 밤 - 리처드 나크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아서스: 리치 왕의 탄생 - 크리스티 골든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스톰레이지 - 리처드 나크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부서지는 세계: 대격변의 전조 - 크리스티 골든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스랄: 위상의 황혼 - 크리스티 골든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늑대의 심장 - 리처드 나크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제이나 프라우드무어: 전쟁의 물결 - 크리스티 골든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볼진: 호드의 그림자 - 마이클 A. 스택폴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전쟁 범죄: 광기의 끝 - 크리스티 골든
5.3. 사건/사고 ¶
- 블러드후프 안퀴라즈 징 사건
- 야채송 사건
- 오염된 피 사건
- 추즌 이상의종말 사건
- 알렉스트라자 상잔교 사건
- 수라 팬티
- 미국에서 수사망에 걸린 후 도주중인 마약상(와우저)이 계속 와우에 접속하고 있었는데, 경찰은 블리자드를 통해 접속위치를 계속 알아냈고(영장/협조요청?) 결국 체포하는데 성공했다.
- 2007년에는 어느 노르웨이의 한 소년이 숲에서 지나가다가 무스를 만나 여동생을 대피시킨 뒤 게임에서 배운 대로 '죽은 척 하기'를 시전하여 무사히 살아남았다는 훈훈한 미담이 전해졌다.
- 중앙일보에서 이 게임을 아제로스에서 공주 구출하는 게임이라 설명했다. '공주'의 진실은... 기자님은 검색이라도 좀 해보든가 하시지.
- 코리아헤럴드에 따르면, 와우가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 미국의 흔한 오크녀?: 미국 메인주에서 상원 의원 후보로 출마한 민주당의 라코위치가 게이머라는 것을 약점으로 잡아 공화당에서 그녀를 와우에서 플레이하는 캐릭터가 오크라는 걸 이용해 오크녀란 병명을 만들고, 그녀의 이중생활이란 사이트를 개설하고 네거티브 캠페인을 펼쳤지만, 오히려 와우저들의 관심
어그로를 끌어서 역관광당한 일이 일어났다.공화당<<호드정확히 말하면 게임내의 직업이 도적이라 뒤에서 찌르고 튀기나 훔치는걸 하는 사람을 믿을 수 있겠느냐 정도의 뉘앙스였다.
7. 기타 ¶
- 모든 온라인 게임이 그렇듯이 밸런스 맞추는 것이 힘들어서, 결국 개발자가 블루포스트에 '1대 1 PvP 밸런스를 맞추는 것은 포기'한다고 밝혔다. 블리자드가 전장을 버리고 야심차게 준비한 콘텐츠인 투기장 역시 밸런스 문제로, 특정 조합이 다른 조합에 비해 월등하게 게임을 쉽게 풀어나갈 수 있었다.
- 한번 빠지게 되면 게임을 껐을 때 할 게 없는 궁극의 무료함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게임을 켜도 할 게 없다는 것이 문제. 오죽하면 본체는 와우에 있고 현실은 현실 세계에 로그인한 상태라고 불린다. 이를 절실히 보여주는 와우 길드명으로 '중요한 건 제가 와우를 끄면 할 게 없다는 겁니다'와 '사실은 제가 와우를 켜도 할 게 없다는 겁니다'가 있었는데, 이오나 서버의 호드 / 얼라이언스 진영 DC 길드 이름이었다. 다른 서버에도 비슷한 이름의 길드들이 곳곳에 퍼진 듯.
- 와우의 레이드 던전 초기화 시간은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 이때는 정기 서버 점검 시간이기도 하다. 그래서 와우저들은 목요일을 일주일의 시작, 일명 와요일이라고 부른다. 일주일의 시작이 목요일이라고 느껴진다면 당신은 이미 훌륭한 아제로스인이다. ~라이트 유저 : ?~
- 와우의 레이드 던전 초기화 시간은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 이때는 정기 서버 점검 시간이기도 하다. 그래서 와우저들은 목요일을 일주일의 시작, 일명 와요일이라고 부른다. 일주일의 시작이 목요일이라고 느껴진다면 당신은 이미 훌륭한 아제로스인이다. ~라이트 유저 : ?~
- 서버별로 파티플레이 관련 별명/룰/체계 등이 조금씩 다르므로 다른 서버로 이전했을 경우 서버 토박이에게 물어보고 하는 것이 좋았으나, 던전 찾기 시스템과 공격대 찾기 시스템의 도입으로 유명무실해졌다. 어차피 막공 모아서 갈 때는 공대장이 룰을 설명하고 출발하며 택틱도 설명하기에 별로 문제되는 일은 없다.
- 2009년 말부터 배틀넷 계정과 와우 계정을 통합 권유를 하고 있는데, PC방에서는 강제적으로 계정 통합을 해야 접속이 되기 때문에 불만이 많다. 그리고 2010년 초 이후에는 와우의 접속은 통합된 배틀넷 계정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되었다. 계정 통합 과정중 잔버그가 많이 생겼고 대한민국의 경우 본인 명의의 휴대폰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이 많아 계정 통합에 더욱 어려움을 겪었다.
- 대격변과 함께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 매우 편리하게 개선되었다. 이전에는 몇십 기가(...) 크기의 클라이언트를 몇 시간 동안 다운받아서 패치까지 한 시간은 족히 걸리는 등 매우 불편했었으나, 이제는 대략 5분에서 10분 정도에 걸쳐 필수 데이터만 다운로드하고 나머지 데이터는 게임을 하면서 다운로드 하는 방식으로 바뀐 것. 게임의 설치가 매우 쾌적해졌다. 한번 클라이언트를 지웠다가 다시 설치하면 피부로 와닿는 변화.
- 해외에는 패키지 형태로 판매되어 각 확장팩들 또한 패키지로 구입해야 한다. 다시 말해 새로운 확장팩이 출시되면 모든 유저가 새로운 확장팩으로 넘어가게되는 한국과 달리 확장팩 패키지를 구매하지 않을 경우 계속해서 구세대 컨텐츠를 즐길 수 있다. 심지어 드레노어의 전쟁군주가 출시된 시점에도 여전히 오리지날을 즐기는 유저들도 있으며, 트위치에서는 60레벨 레이드를 진행하는 방송들도 찾아볼 수 있다.
- [1] 계승템의 경우는 처음에는 사슬로 취급되다가 40레벨이 넘으면 원래대로 판금으로 취급된다.
- [2] 드군 이전까지는 전체적으로 레벨업에 도움이 되는 것이 거의 없다가 최소한 65레벨이 되어서 전문기술 숙련도를 올리는 데 필요한 자원을 넉넉하고 빡세게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65레벨이 되더라도 강화효과 한 번 제대로 보기가 힘들다. 적어도 75레벨은 되어야 제작아이템과 각종 물약, 비약 등이 간신히 효과를 본다. 제작계열도 제작에 들어가는 수고와 시간 등에 비해 결과물이 영 아니기 때문에, 제작계열은 형상변환용을 제외하면 정말 본래의 가치를 잃었다. 대장기술은 판다리아의 안개에 들어서야 유령무쇠만으로 판다리아 구간까지 숙련도를 올릴 수 있게 하고 판다리아 채집물(채광, 약초채집, 낚시)을 숙련도에 상관없이 획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요리도 판다리아에서 파는 재료로 쉽게 올릴 수 있게 되었다.
- [3] 중립이기는 하지만 유랑도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얼라이언스와 호드 두 진영 중 한쪽을 선택해야 한다. 진영 선택 후에는 서로 공용어도 없어서 말도 안통한다.
- [4] 이 때문에 일본에서 블리자드 게임을 하는 유저를 만나보기 상당히 어렵다. 참고로 소드 아트 온라인의 원작자인 카와하라 레키가 블리자드 게임 덕후로 유명한데, 와우 열혈 유저인지 출신지를 아제로스로 표기한적이 있다.
- [5] 3개월 플랜이면 한번에 3개월어치가 빠지고 3달 뒤 자동으로 또 빠진다. 대금은 카드를 통해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