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Core
FrontPage
FindPage
TitleIndex
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Edit 위너스 리그
You are not allowed to edit this page !
위너스 리그
위키 관련 정보
주요 도움
위키를 작성하기 전에
리그베다 위키 기본방침
인터페이스 설명
항목 생성하기
편집 도움말
보조 도움
위키 연습장 1
위키 연습장 2
단축키
추가기능
FAQ
http://www.fomos.kr/board/issue/1294376437_1.jpg >방심하지 마라 최초의 1인이 모두를 침묵 시킬 수 있다. 포기하지 마라 최후의 1인이 모든 것을 뒤집을 수 있다. >The Last Man Standing ~~키가 180cm 이상인 프로게이머들만 하는 리그~~[* 게이머들끼리도 농담삼아 이렇게 이야기한다고 한다. 이런 방식이라면 [[STX SouL]]이 무조건 우승한다고.(...) 자세한 사항은 [[wiki:"김구현#s-1" 김구현]] 항목 참조. 여담으로 최장신 팀은 [[SKT T1]]이다. ~~[[wiki:"김구현#s-1" 김구현]]이 올려놓은 평균 신장을 [[wiki:"김윤환#s-1" 김윤환]]이 깎아먹었다...~~][* 루저의 난 당시 이 소재로 스갤에 소설이 나왔다. 백미는 키 속여서 몰수패당한 [송병구].]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의 승자연전 [[팀배틀]] 방식의 경기 방식. 2004년 [[팀리그]] 방식에서 사용되었다가 폐지된 후 신한은행 08-09 시즌에서 부활하였다. == 룰 == 일종의 서바이벌 방식으로, 다음과 같다. * 각 경기의 승자는 다음 게임에도 이어서 출전한다. * 한 번 패배한 선수는 다시 출전할 수 없다. * 7전 4선승제로 4세트를 따내는 팀이 승리한다. *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는 1세트에만 고시한다. 그 후 출전선수는 감독의 재량에 따른다.[* 블라인드 엔트리 방식이 생긴 뒤로는 아예 1세트 고시도 사라졌다.] * 경기에 사용되는 맵은 7경기까지 미리 고시한다. * ~~'''키가 큰 선수만 참가 할 수 있다'''(...)~~ == 특징 == 위너스 리그의 특징은 승자연전 방식 외에도 별도의 리그로 간주되어 운영된다는 점이다. 개편되기 전 [[MBC GAME]]의 [[팀리그]][* 그래서 인지 위너스리그 기간동안 MBC 게임은 팀리그가 열렸던 시절 마지막 팀리그였던 MBC MOVIES팀리그때 정했던 상징색인 노란색을 바탕으로 자막을 비롯해 별도의 그래픽 패키지를 만들어 사용했었다.] , [[온게임넷]]의 [[wiki:"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프로리그]]가 따로 열렸었고, 이 두개의 리그를 합쳐서 1년 동안 죽 하는 리그로 바꾼게 지금의 [[wiki:"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프로리그]]이기 때문. 즉, 우승팀을 결정하는 결승전이 치러진다. 승자연전 방식이기 때문에 1명의 선수가 4명의 선수를 모두 잡아낼 수 있다. 이러한 것을 [[wiki:"올킬#s-1" 올킬]]이라고 한다. 또한, 팀이 세트 스코어 0:3으로 몰리고 있더라도 최후의 한 선수가 모든 것을 뒤집고 기적같은 역전승을 일구어낼 수 있다. 이것을 "역올킬" 이라고 한다. 선봉전에 나와서 4:0으로 올킬하는 것을 선봉 올킬 또는 Straight All Kill이라고도 한다. 한 명의 선수가 한 세트를 따낼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족별로 고른 승률을 보이는 팀 보다는 한두 명의 [[wiki:"에이스#s-2.3" 에이스]]선수에 의존하는 팀에 어울리는 경기방식이다. ([[화승 OZ]]라든지...) 다만 그 에이스가 혹시 [[날빌]]에 무너지기라도 하면 에이스 의존팀은 [[망했어요]]. 다시 한번 [[화승 OZ]]가 생각나는 대목이다. 위너스 리그가 오면 모든 선수들의 사기가 고양되는지, 지금까지 패(敗)만 쌓아오면서 조개(貝) 양식업(?)을 겸업하던 선수들이 부활하는 계기가 되곤 한다. 또한 개인리그보다 화젯거리가 적은 [[wiki:"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프로리그]]지만 이때만은 [[wiki:"올킬#s-1" 올킬]], ~킬등의 화젯거리가 넘쳐나기에 인기도 좋은편. 신인들의 이름 알리기에도 좋다. 위너스리그 결승전에서 역올킬을 한 [[wiki:"조병세#s-2" 조병세]]와 [[구성훈]]이 좋은 예가 되겠다.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 시즌,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의 위너스 리그는 정규리그보다 경기당 세트 수가 최대 2세트가 많았기 때문에 승점을 쌓기 절호의 기회이기도 했으며 실제로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 시즌에서 [[CJ 엔투스]]가,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 시즌에서 [[KT 롤스터]]가 위너스 리그를 발판으로 포스트 시즌에 진출하기도 했다. 1세트 경기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한 경기를 이긴 뒤 그 기세를 그대로 가지고 다음 경기에 출전하기 때문이다. [스타크래프트] 경기가 원체 정신적인 면이 크게 작용하는지라, 한두 경기 이기다 보면 리듬도 타고 기세도 올라서 평소에는 이기기 힘든 [[wiki:"에이스#s-2.3" 에이스]]급 선수도 잡아버리는 경우도 많았다. 흔히들 "손이 풀린 선수를 막기가 어렵다"라고들 한다. 하향세였던 선수나 아예 출전기회가 없던 선수들이 등장해서 엄청난 성과를 올리기도 하는데 그 예도 역시 [[wiki:"조병세#s-2" 조병세]]와 [[구성훈]]. 하지만 그러한 선수들이 위너스 리그 외의 리그 ([[wiki:"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프로리그]] 포함) 에서 활약을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거품스 리그'''라고도 불리웠다. ([[구성훈]]에 한정해서 '''[[wiki:"잉어킹" 잉어스 리그]]'''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wiki:"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19"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에는 위너스 리그가 한 라운드가 더 추가되어 3, 4라운드가 위너스 리그 방식으로 바뀌었다. 개막일은 2011년 1월 8일. ~~[[wiki:"리쌍#s-2" 리쌍]]의 혹사가 다시 시작된다~~ 덤으로 유독 [[KT 롤스터]]가 강했다!~~이영호의 혹사 덕분이다.~~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시즌까지 1월 20일 0시 기준,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에도 준플레이오프에 오르더니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엔 1위로 진출하여 우승까지 따내었고,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 3라운드에선 단 한번의 팀 패배도 없이 9전 전승으로 3라운드 1위를 확정해버렸다. ~~[[wiki:"SKT T1" T1]]이 전승하면 [[wiki:"KT 롤스터" KT]]도 전승한다.~~ 프로리그 순위가 비록 2위와 승점차에서 밀린 것이라고는 해도 고작 5위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실로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wiki:"1승만 하라고 스막 시발들아" ~~진작 이랬어야지 스막 시발들아~~]] 게다가 KT는 3번의 위너스 리그에서 3번 모두 포스트 시즌에 진출한 유일한 팀이다. 반대로 [[공군 ACE]]는 위너스 리그만 되면 조개(貝) 양식장을 차린다. 그 이유는 [wiki:"공군 ACE#s-8"해당 항목]을 참고바람. 이 때문에 [[wiki:"공군 ACE" 공군]] 팬들이 위너스 리그는 물론이고 이 위너스 리그를 만든 [[wiki:"KeSPA" 케스파]]를 가루가 되다 못해 아예 형체조차 안 남을 정도로 미치도록 까는 일이 허다하다. 그리고 [[위메이드 폭스]]도 위너스 리그에 약한 팀으로 꼽혔다. [[삼성전자 칸]]도 위너스 리그에 약한 편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wiki:"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의 위너스 리그에서는 3라운드에서 제법 선전하고, 4라운드 초중반에도 제법 선전하면서 그때야말로 포스트 시즌에 기대를 높였으나, 4라운드 막판 6연패를 하며 또 포스트 시즌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이스트로와 하이트등은 유독 위너스 리그에서 기복이 심한 편들이었다. 3시즌간 위너스 리그를 치르면서 한번도 포스트 시즌에 진출해보지 못한팀은 공군, 위메이드, 삼성전자, [[이스트로]], [[wiki:"하이트 스파키즈" 하이트]] 5팀이다. 삼성전자를 제외한 네팀(공군, 이스트로, 위메이드, 하이트)은 팀이 없어졌으니 다신 (위너스 리그를) 치를 수도 없고, 더불어 포스트 시즌의 기회도 없다. [[wiki:"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프로리그]] 11-12 시즌 부터 위너스 리그가 폐지되었다. 팀이 줄어들면서 [[wiki:"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프로리그]]도 이전처럼 전, 후기로 나누게 되었고 이에 따라 폐지가 결정되었다. 스타크래프트2로 치뤄지는 [[wiki:"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프로리그]] 12-13 시즌에서는 연간리그가 부활하면서 2,5라운드 위너스리그가 부활했지만 전 시즌들과는 다르게 별도의 포스트 시즌을 거치지 않고 단순히 프로리그 성적에 포함하는 말 그대로 한 라운드로만 취급한다. 2014 시즌의 경우에는 위너스 리그라는 명칭은 도입되지 않았으나, 라운드별 플레이오프와, 정규리그 종료 후에 진행되는 포스트시즌 2차전에 승자연전 방식이 적용된다. == 연혁 == || 시즌 |||| 우승팀 |||| 준우승팀 |||| 결승 장소 |||| 특이사항 || ||<|3> 08-09 ||||<|3> [[CJ 엔투스]] ||||<|3> [[화승 OZ]] ||||<|3> 장충 체육관 |||| [[이제동]]의 위너스 리그 최초의 역올킬(對[[wiki:"하이트 스파키즈" 하이트]]) || || [[wiki:"조병세#s-2" 조병세]]의 결승전 최초 역올킬(對[[wiki: "화승 오즈" 화승]]) || || [[wiki:"조병세#s-2" 조병세]] 위너스리그 08-09 MVP 수상 || ||<|2> 09-10 ||||<|2> [KT 롤스터] ||||<|2> [MBC게임 HERO] ||||<|2> [wiki:"광명시" 광명] 실내체육관 |||| 前시즌 우승팀 [wiki:"CJ 엔투스" CJ]의 몰락, '''[[dlwogh]]''' || || [wiki:"KT 롤스터" KT] 창단 11년만에 첫 팀단위 리그 우승 || ||<|7> 10-11 ||||<|7> [[SKT T1]] ||||<|7> [[KT 롤스터]] ||||<|7> [wiki:"한양대학교" 한양대] 노천극장 |||| 라운드 수 증가(3, 4라운드) || || [[KT 롤스터]]의 3라운드 전승 || || [[김택용]]의 3연속 올킬([[wiki:"STX SouL" STX]], [[wiki:"위메이드 폭스" FOX]], [[wiki:"공군 ACE" 공군]]) || || [[송병구]] [[프로토스]] 최초 역올킬([wiki:"MBC게임 HERO" MBC게임]) || || 최종순위 3위 팀이 포스트시즌 우승[* 1위가 아닌 팀이 최초로 우승] || || 사상 최초로 4:3으로 끝나지 않은 결승전 || || 사상 최초로 첫 세트를 이긴 팀이 우승 || ===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 최종순위 === '''1위 : [[CJ 엔투스]] (9승 2패 득실차 +15)''' '''2위 : [[화승 OZ]] (8승 3패 득실차 +12)''' '''3위 : [[SKT T1]] (7승 4패 득실차 +8)''' '''4위 : [[KTF 매직엔스]](現 KT 롤스터) (7승 4패 득실차 +5)''' ─────포스트 시즌 진출───── 5위 : [[웅진 스타즈]] (7승 4패 득실차 +2) 6위 : [[STX SouL]] (6승 5패 득실차 +6) 7위 : [[온게임넷 스파키즈]](舊 [[하이트 스파키즈]] (5승 6패 득실차 +2) 8위 : [[삼성전자 칸]] (5승 6패 득실차 -6) 9위 : [[위메이드 폭스]] (4승 7패 득실차 -9) 10위 : [[MBC게임 HERO]] (4승 7패 득실차 -10) 11위 : [[eSTRO]] (3승 8패 득실차 -7) 12위 : [[공군 ACE]] (1승 10패 득실차 -18) 준 P.O - [[SKT T1]] vs '''[[KTF 매직엔스]]''' => '''3:4 [[KTF 매직엔스]] 승리''' P.O - '''[[화승 OZ]]''' vs [[KTF 매직엔스]] => '''4:0 [[화승 OZ]] 승리''' 결승전 - '''[[CJ 엔투스]]''' vs [[화승 오즈]] => '''4:3 [[CJ 엔투스]] 우승''' ===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최종순위 === '''1위 : [[KT 롤스터]] (10승 1패 득실차 +16)''' '''2위 : [[MBC게임 HERO]] (8승 3패 득실차 +14)''' '''3위 : [[STX SouL]] (7승 4패 득실차 +8)''' '''4위 : [[웅진 스타즈]] (7승 4패 득실차 +5)''' ─────포스트 시즌 진출───── 5위 : [[삼성전자 칸]] (6승 5패 득실차 -1) 6위 : [[하이트 스파키즈]] (5승 6패 득실차 +3) 7위 : [[화승 OZ]] (5승 6패 득실차 +2) 8위 : [[SKT T1]] (5승 6패 득실차 -3) 9위 : [[위메이드 폭스]] (4승 7패 득실차 -6) 9위 : [[eSTRO]] (4승 7패 득실차 -6) 11위 : [[CJ 엔투스]] (3승 8패 득실차 -10) 12위 : [[공군 ACE]] (2승 9패 득실차 -22) 준 P.O - [[STX SouL]] vs '''[[웅진 스타즈]]''' => '''1:4 [[웅진 스타즈]] 승리''' P.O - '''[[MBC게임 HERO]]''' vs [[웅진 스타즈]] => '''4:3 [[MBC게임 HERO]] 승리''' 결승전 - '''[[KT 롤스터]]''' vs [[MBC게임 HERO]] => '''4:3 [[KT 롤스터]] 우승''' ===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 최종순위 === '''1위: [[KT 롤스터]] (16승 2패 득실차 +29)''' '''2위: [[화승 OZ]] (12승 6패 득실차 +22)''' ~~2위에 득실이 22~~ '''3위: [[SKT T1]] (10승 8패 득실차 +7)''' '''4위: [[하이트 엔투스]] (10승 8패 득실차 +6)''' ─────포스트 시즌 진출───── 5위: [[삼성전자 칸]] (9승 9패 득실차 -5) 6위: [[웅진 스타즈]] (9승 9패 득실차 -6) 7위: [[STX SouL]] (8승 10패 득실차 -3) 8위: [[MBC게임 HERO]] (7승 11패 득실차 -3) 9위: [[위메이드 폭스]] (7승 11패 득실차 -12) 10위: [[공군 ACE]] (2승 16패 득실차 -35) 준 P.O - '''[[SKT T1]]''' vs [[하이트 엔투스]] => '''4:1 [[SKT T1]] 승리''' P.O - [[화승 OZ]] vs '''[[SKT T1]]''' => '''3:4 [[SKT T1]] 승리''' 결승전 - [[KT 롤스터]] vs '''[[SKT T1]]''' => '''1:4 [[SKT T1]] 우승''' [[각주]]
Summary
Category
---- Select ----
CategoryTemplate
ShowPage
FindPage
DeletePage
LikePages
last modified 2015-03-16 09:58:41
Processing time 0.0702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