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게임 제작사/대한민국
정식명칭 | 주식회사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
영문명칭 | WeMade Entertainment Co.,Ltd. |
설립일 | 2000년 2월 10일 |
업종명 | 온라인게임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판매 |
상장유무 | 상장기업 |
기업규모 | 대기업[1] |
매출 | 1,199억 원(2012년)[2] |
영업이익 | -20억 원(2012년)[3] |
순이익 | -80억 원(2012년) |
상장시장 | 코스닥시장(2009년 ~ 현재) |
종목코드 | 112040 |
편입지수 | 코스닥지수 코스닥 프리미어 |
홈페이지 |
1. 개요 ¶
주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44번길 49(舊 삼평동 676번지)이다. 판교테크노밸리 안에 있다. 그래서 붙어 있는 별명이 판교의 등대. 카카오게임등을 통한 빠른 시장선도로 인해 붙은 좋은 뜻 같기도 하지만 실상은 밤 깊은 시간이 되도 불이 안 꺼져서(...).
중국의 게임 제작사인 샨다의 계열사인 액토즈소프트와 미르의 전설 시리즈를 공동서비스하고 있다. 이례적인 케이스. 수익비율은 액토즈 : 위메이드 = 3:7(미르2) 2:8(미르3).
2012년 1월 프로젝트 MF라는 이름의 신작 MMORPG를 개발중이라는 사실을 알렸다. 언리얼 엔진을 사용하며 동양 판타지 배경의 게임이 될 것이라고 한다. 아직 아무것도 공개된 게 없으므로 어떤 모습으로 나올지는 모르겠으나 언리얼 엔진도 그렇고 동양적인 배경도 그렇고 블레이드 앤 소울이 생각난다. 심지어 가명도 프로젝트 M이었던 블앤소와 비슷하다. (현제 신무라는 이름으로 정식오픈 하였으나 많은 에러와 버그로 비판을 받고 있다)
카카오톡을 운영하는 카카오 주식회사에 지분투자를 하고 있는데, 이를 기점으로 위메이드의 주가가 큰 폭으로 뛰어올랐다. 2012년 5월 현재 위메이드의 주식을 사기에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상태까지 뛰어오른지라 이 회사의 주식을 사려는 사람들은 주의 요망. 카카오톡의 수익모델이 없다시피 해서 손실이 커지면 거품이 급격히 무너질 수 있다.
근데 요새 카카오 게임으로 대박나는거 보면 뭐..
한국 경제 잡지 "이코노미 인사이트" 2013년 7월호에 게재된 중국 주간지 글에 따르면, 텐센트가 라인, 카카오톡과의 경쟁에서의 전략으로 카카오톡과 동맹을 맺기로 결정한 듯 하며 이 때문에 위메이드와 협력해 카카오톡의 지분을 인수하였다고 한다. 텐센트는 13.8%를 인수하였고 위메이드는 3.8%라고.
한국 경제 잡지 "이코노미 인사이트" 2013년 7월호에 게재된 중국 주간지 글에 따르면, 텐센트가 라인, 카카오톡과의 경쟁에서의 전략으로 카카오톡과 동맹을 맺기로 결정한 듯 하며 이 때문에 위메이드와 협력해 카카오톡의 지분을 인수하였다고 한다. 텐센트는 13.8%를 인수하였고 위메이드는 3.8%라고.
2012년에는 모바일 게임도 출시를 시작하여 '바이킹 아일랜드', '리듬스캔들', '카오스 & 디펜스'가 다운로드 100만 건을 기록했고, 이 중 '바이킹 아일랜드'는 출시 2주일 만에 일 사용자수 10만 명을 돌파하고 '2012 대한민국 게임대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캔디팡'은 출시 20일 만에 다운로드 1,000만 건을 돌파, 당시 대한민국 모바일 게임 중 역대 최단기간 1000만다운 돌파를 기록했다. 이것은 2013년 1월 출시된 '윈드러너'가 12일로 갱신.
2013년 4월, 게임산업 시장조사전문업체 ‘뉴주’가 발표한 3월 모바일게임 관련 순위에서 위메이드가 구글 플레이 마켓 내 퍼블리셔 순위 1위에 올랐는데 이는 국내 업체 최초라고 한다. 이후 5월에는 게임업계 최초로 정부가 지원하는 ‘월드클래스300’ 프로젝트 대상 기업으로 선정.
----
- [1] 반기보고서 참고.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상 중소기업에서 2011년 6월부로 제외되었다. 즉 대기업으로 승격.
- [2] https://game.donga.com/65984/
- [3] 위메이드(112040) - 흥국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