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SCO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 상위항목 : 국제연합
![]() (ɔ) Mouagip from | |
설립연도 | 1946년 |
목적 | 교육, 과학, 문화의 보급 및 교류 |
주요활동 | 대중교육과 문화보급, 지식의 유지·증대 및 전파, 세계유산의 보호 |
가입국 | 192개국 |
본부소재지 | 프랑스 파리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홈페이지 |
1. 개요 ¶
1945년 11월 영국과 프랑스의 공동주최로 런던에서 열린 유네스코창설준비위원회에서 44개국 정부대표에 의해 유네스코 헌장이 채택되었으며, 1946년 11월 20개 서명국가들이 헌장비준서를 영국 정부에 기탁함으로써 최초의 국제연합전문기구로 발족했다.
회원국은 192개국이며, 6개의 준회원국이 있다. 준회원국은 총회의 투표권이 없고 이사회의 직책을 맡을 수 없는 점 외에 회원국과 같은 권한을 갖는다. 대한민국은 1950년에 가입했다.
유네스코가 하는 일 중 대외적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세계유산 지정이다. 세계유산은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 이 둘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복합유산으로 구분된다. 2009년 7월 기준으로 148개국 890건의 세계유산이 등재되어 있다.
1992년 위의 세계유산과는 별개로 세계적 중요성, 또는 국가 및 지역 수준의 중요성을 지닌 기록유산의 보존을 장려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평등한 접근성과 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세계기록유산사업을 창설, 1997년부터 현재까지 약 120개에 이르는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서 등재되어 있다.
2011년 11월 1일 수많은 논란의 여지를 안고서 팔레스타인의 회원 가입을 승인하였다. 이에 심기가 불편해진 천조국 미국에서는 유네스코에게 제공해주려던 2011 ~ 2012년 유네스코 활동 기금용 6천만 달러에 대한 지원 중단을 선언하였고 앞으로도 지원을 계속 중단할 것임을 공표하였다.
정확히는 아버지 부시 시절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단체에 대한 자금 지원을 막는 법안을 만들었고, 이에 따라 유네스코에 대한 지원도 자동으로 중단된것. 덕분에 미국의 유네스코에서의 투표권도 상실되었다.
결국 얼마 지나지 않아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미국의 지원 재개를 요청하였으나 우리도 좋아서 그런거 아니야. 투표 결과가 그렇게 나왔을 뿐이지. 팔레스타인이 여전히 회원국으로 남아있는 상황속에서 앞날은 불투명하다. 유네스코 재정 중 미국이 지원해주는 비율이 22%에 달하기 때문이다.
- 출처 : 유네스코 한국 위원회 홈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