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명이인/ㅇ
- 이 항목은 야구선수 이재학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동명이인들은 이재학(동명이인) 항목으로.
- 상위항목 : NC 다이노스/선수단, 야구 관련 인물(KBO),
미친딸기
두산 베어스 시절
NC 다이노스 No.51 | |
이재학(李在學) | |
생년월일 | 1990년 10월 4일 |
체격 | 180cm, 76kg |
출신지 | 대구광역시 |
학력 | 옥산초-경복중[1]-대구고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2010년 드래프트 2차 10번 |
소속팀 | 두산 베어스(2010~2011) NC 다이노스(2012~현재) |
등장곡 | 빅뱅- 판타스틱 베이비 |
NC 다이노스 등번호 63번(2012) | |||||
팀 창단 | → | 이재학(2012) | → | 권희동(2013~ ) |
NC 다이노스 등번호 51번(2013~) | |||||
이형범(2012) | → | 이재학(2013~) | → | 현역 |
2013년 한국프로야구 최우수 신인 | |||||
서건창(넥센 히어로즈) | → | 이재학(NC 다이노스) | → | 박민우(NC 다이노스) |
1. 개요 ¶
두산 베어스 시절에는 2010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10순위)로 뽑은 기대되는 신인이였으나, 2010년에는 크게 두각을 나타내는 성적을 내지 못했고 2011년에는 팔꿈치 부상으로 재활군에 머물렀다. 순박한 얼굴과 빨간 볼로 인해 두산 베어스 팬 공식 귀요미로 지정되기도 했다. 빨간 볼[4]과 중간중간에 있는 여드름 때문인지 선수들 사이에서는 '능금', '딸기'라고 불리기도 했고 이는 그의 별명이 되었다. 이 딸기라는 별명은 구단 첫 완봉승이자 이재학 개인 첫 완봉승 기념 티셔츠의 STRONGBERRY 라는 문구의 유래가 되었다.[5] 못할 때는 상한 딸기, 썩은 딸기, 딸가놈, 딸레기 등의 바리에이션으로 격하된다.
2013년 4월 11일 켠김에 왕까지 164화 닌자 베이스볼 배트맨편에 출연, 적절한 예능감을 선보였다. 시구하는 것을 보고 싶은 연예인으로 f(x)의 설리를 지목. 그리고 설리는...
서클 체인지업이 이재학의 상징이라 할 만큼 위력적이다. 참고로 고등학교 시절때부터 권오준의 그립이 찍힌 사진을 보고 배우며 체인지업을 연마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권오준과 투구 폼이 비슷하다.
2014년 9월 27일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야구에서 첫 실점을 당한 투수가 되었다.
2.2. 2011년 ¶
2011년 시즌 시작 전 일본에서 스프링캠프 도중 오른쪽 팔꿈치의 연골이 깨진 탓에 재활에만 매진해 1군 기록이 없었다.(다행히 수술이 요구되는 정도는 아니었다.) 이 해 처음으로 열린 한국프로야구 2차 드래프트에서 NC 다이노스에 지명되어 고향 근처 팀으로 이적했다.
2.3. 2012년 ¶
2012년 퓨처스 리그 4월 경기에 3번 등판해 모두 승리를 거두고, 대구고 선배이기도 한 김상엽 투수코치에게커터를 전수받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2012년 2군에서 15승 2패로 남부리그 다승왕을 수상했고, 방어율 1.55, 탈삼진 100개로 남북부 통틀어서 퓨처스 리그를 씹어먹었다. 팀이 막 창단한 시기라서 투수 뎁스가 얇고 보직이 확실하지 않던 상황이기에 1군에서도 같은 활약을 펼쳐준다면 선발진에 충분히 들어갈 거라는 의견이 많이 나왔다.
3. 플레이 스타일 ¶
두산 시절에는 정통 사이드암 투수로 140km/h대의 빠른 공과 준수한 서클 체인지업으로 주목받았다. 좋은 컨트롤과 준수한 삼진능력으로 즉시전력감으로 주목받았으나, 프로에 입단해서는 현격한 경험 부족을 드러내며 23이닝 5점대 방어율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서클 체인지업을 이용한 삼진 능력은 당시에도 인정받았으나 지나친 코너웍을 의식하다가 사사구를 내주며 자멸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점만 개선하면 롱릴리프 및 중간계투로 일익을 담당하리라 기대되는 준수한 유망주였다. NC에 와서는 두산 시절에도 준수했던 서클 체인지업이 더 강력해졌으며, 이를 필두로 탈삼진 능력이 뛰어난 편.
2012년 때에는 슬라이더와 투심도 어느 정도 던졌으나, 2013년에는 엄지 쪽에 물집이 잡혀 이 구종을 많이 구사하지 못해 직구와 체인지업 두 종류의 구종 밖에 구사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 시련을 체인지업의 다변화로 극복했다고 한다. 박병호의 말로는 체인지업과 직구의 회전이 완전히 똑같아서 까다롭다고 한다. 같은 직구인 줄 알고 타이밍을 쟀는데 체인지업이 온다고.
5. 연도별 주요 성적 ¶
역대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선발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사사구 | 탈삼진 | |||
2010 | 두산 베어스 | 16 | 0 | 23⅓ | 1 | 1 | 0 | 0 | 5.01 | 21 | 19 | 18 | |||
2011 | 1군 등판 기록 없음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선발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사사구 | 탈삼진 | |||
2012 | NC 다이노스 | 퓨처스리그 등판(NC 1군 미참가) | |||||||||||||
2013 | 27 | 24 | 156 | 10 | 5 | 1 | 0 | 2.88 (2위) | 123 | 73 | 144 (5위) | ||||
2014 | 29 | 29 | 156 | 10 | 9 | 0 | 0 | 4.21 | 152 | 76 | 131 | ||||
통산 | 72 | 53 | 335⅓ | 21 | 15 | 1 | 0 | 3.65 | 296 | 168 | 293 |
완투, 완봉기록 | ||
년도 | 완투 | 완봉 |
2013년 | 2완투 | 1완봉 |
2014년 | 1완투 | 0완봉 |
역대수상 | |
년도 | 수상내용 |
2013년 | 프로야구 최우수 신인 |
----
- [1] KBO 홈페이지에서는 경북중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대구에는 경북중학교는 존재하지 않으며(정확히는 있었지만 1970년에 경운중으로 개칭) 실제로는 경복중학교를 다녔다. KBO 측의 오류인듯
- [2] NC의 1호 승리 투수, 선발승 투수, 완투·완봉승 투수, 창단 첫 신인왕 수상 선수 등등의 타이틀이 이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 [3] 팔 높이는 스리쿼터까지 올라가지만, 공의 궤적이나 그립 등을 보았을 때 사이드암으로 분류한다. 임창용이 오버핸드 투수가 아닌 것처럼. 본인 또한 사이드암 투수로 인식하고 있다.
- [4] XTM 담벼락토크에서 투구수가 많이 늘어날수록 얼굴이 빨개진다고 말했다. 그리고 나온 영상이 2013년 시즌 8월 7일 LG전에서 9실점했을 때(...)
- [5] 여담으로 마산야구장에 있는 다이노스 카페에서는 딸기주스 이재학을 판매하고 있다(...)
캬 주모 여기 이재학 한 사발! - [6]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769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