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PG image (166.84 KB)]
1. 개요 ¶
양배추를 절여 발효시킨 보존식품으로, 독일 요리 중 채소 요리의 대명사 격으로 통한다. 김치 문화가 발달한 한국에서는 '양배추로 담근 김치' 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호프집 같은 곳에서 고기 안주 입가심 용으로 독일 김치라며 내놓기도 한다. 다만 만드는 법을 따지자면 김치보단 피클에 가깝다. 흔히 소시지나 고기 요리에 곁들여 먹으며, 데워먹기도 하고 차게 해서 먹기도 한다. 신맛이라는 뜻의 자우어라는 단어가 붙어 있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기본적으로 시큼한 맛이 강한데, 지역마다 절일 때 사용하는 향신료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맛도 미묘하게 다르다.
2. 먹는 국가 ¶
물론 독일 외에 주변국들에서도 상식하는데, 네덜란드에서는 '쥐르콜(Zuurkool)'이라고 발음하며 선원들이 괴혈병을 퇴치하기 위해 먹기도 했다고 한다. 실제로 괴혈병이 비타민 섭취 부족으로 생기는 질병인지라 신선한 채소류를 먹음으로서 비타민을 섭취하는게 가능한고로, 채소류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절임 식품인 자우어크라우트는 괴혈병 예방에 안성맞춤인 것. 지금도 네덜란드에서는 쥐르콜과 감자, 케일 등을 섞어서 으깬 'Stamppot'라는 요리를 먹는다. 프랑스에서는 독일과 접경지인 알자스-로렌 지방[1]에서 많이 먹는데, 자우어크라우트와 소시지, 두껍게 썬 베이컨, 감자 등을 솥에 몽땅 넣고 푹 끓여 먹는 슈크루트 가르니(Choucroute garnie)라는 찌개 비스무리한 요리로 유명하다.[2]
제임스 쿡 선장도 괴혈병 퇴치를 위해서 자우어크라우트를 잔뜩 배에 실었으나, 처음엔 선원들이 '선장이 별 해괴한 걸 먹이려고 한다'며 반발했다고 한다. 그렇게 선원들이 반발하자 쿡은 장교들만 자우어크라우트를 먹도록 했는데, 이러자 이번엔 '장교들만 먹이는걸 보니 귀한게 틀림없어!'하며 모든 선원들이 자우어크라우트를 먹기 시작했다(...). 사람 심리란게 원래 다 이런 식이다[3]
3. 주의사항 ¶
다만 자우어크라우트는 상큼한 피클 생각하고 먹었다가는 당장 뱉어낼지도 모르니 주의. 왕소금 듬뿍 들어간 새우젓과 비슷한 소금맛이고, 뜨겁게 데워져 나온다. 한마디로 뜨거운 과포화 소금물 먹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되지만 식당을 잘 만나면 짜기 보단 새콤한 맛을 내기도 한다. 고기요리를 먹다가 느끼함에 질릴때 한 숟가락씩 퍼먹어 보자.
물론 자우어크라우트도 지역마다 차이가 있는데, 독일 서부와 남부에서 먹는 자우어크라우트는 주로 위에서 말한 것처럼 데워져 나오며, 동부와 북부에서는 차갑고 아삭거리는 것을 주로 먹는다. 한국의 김치와 비슷한 것으로, 먹던 사람이 아니면 잘 먹기 힘들며 한국 유학생들은 물에 씻은다음 고추가루 버무려서 김치로 컨버전해서 먹거나 고추가루+돼지고기를 넣고 끓여서 김치찌개 만드는 용도로 쓴다. 그리고 냉장기술의 발전에 독일도 나트륨 섭취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소금 첨가량도 예전보다 많이 빠진 편이다.
5. 기타 ¶
비슷한 음식이기 때문인지 독일사람들은 김치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편. 다만 김치의 주 재료 중 하나인 마늘은 독일인들은 먹지 않는 것인지라 마늘 냄새는 버티기 힘들어하는건 매한가지다. 대신 고려인들이 김치 대용으로 만든 마르꼬프 빠 까레이스끼(한국 당근)가 자우어크라우트와 비슷한 편이다.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에서 영국요리의 피쉬 앤드 칩스를 까는데 비교대상으로 쓰인다. 이제는 나치에게도 까이는 영국요리 그런데 소시지는 말할거 없고 진짜 자워크라우트가 피시 앤 칩스보다 더 건강하고 맛있다 좀 아쉬우면 근처 맥도날드에서 프라이 하나 사서 같이 먹으면 많이 짜긴 해도 생선보다 채소가 더 맛있는 진기한 경험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