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2호선 | 운영기관 : 서울메트로 개업일 : 1980년 10월 31일 | ||||
외선순환 잠실나루 1.0km | ← | 잠 실 | → | 내선순환 신 천 1.2km | |
서울 지하철 8호선 | 운영기관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개업일 : 1996년 11월 23일 | ||||
암 사 방면 몽촌토성 0.8km | ← | 잠 실 | → | 모 란 방면 석 촌 1.2km |
蠶室驛 / Jamsil Station
잠실역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Jamsil |
한자 | 蠶室 |
중국어 | 蚕室 |
일본어 | チャムシル |
역번 | |
서울 지하철 2호선 | 216 |
서울 지하철 8호선 | 814 |
![]() [JPG image (254.8 KB)] 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JPG image (69.06 KB)] 서울 지하철 8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 [JPG image (295.72 KB)]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지하 265(舊 잠실동 8번지) |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지하 305(舊 신천동 7-4번지) |
1.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216번.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지하 265(舊 잠실동 8번지) 소재.
서울 지하철 8호선 814번.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지하 305(舊 신천동 7-4번지) 소재.
서울 지하철 8호선 814번.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지하 305(舊 신천동 7-4번지) 소재.
3. 역 주변 정보 ¶
잠실역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롯데 관련 시설은 국내에 롯데가 하는 사업을 롯데 자이언츠만 빼놓고(...) 한 자리에 모아 놓은 집합체나 마찬가지일 정도로 잠실역 주변에 밀집되어 있다. 롯데 그룹 측에서는 이 모든 시설을 한데 묶어 롯데월드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롯데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은 이 중에서 놀이동산 부분만 롯데월드로 취급하고 있다. 롯데 입장에서는 안습.
주요 건물 및 상점을 보자면.
반면 이웃 강남구에는 구 전체를 통틀어 롯데리아는 단 3개밖에 없었다...가 롯데리아 관계자가 문서를 본건지 2배로 늘어서 6개가 있다.
- 송파구청 : 8호선 10번 출구 코 앞에 있다. 2호선과는 약간 떨어져 있음. 즉 구청은 8호선과 가깝고 롯데월드는 2호선과 가까운셈.
- 롯데월드 : 잠실역과 직결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 롯데호텔 : 이 또한 잠실역과 직결통로가 연결되어 있다.
- 샤롯데씨어터 : 2호선 3번 출구에서 조금 걸어가면 금방 나오고(모퉁이를 돌아야 해서 코 앞으로 표현하기엔 조금 먼 듯 하지만 걸어서 5분이다.), 롯데백화점과도 연결되어 있다.
- 롯데캐슬 : 지하상가를 통해 통행 가능. 롯데마트 본사가 있다.
- 롯데백화점 : 잠실역과 직결통로가 연결되어 있다.
- 롯데마트 : 이 또한 잠실역과 직결통로가 연결되어 있다.
- 롯데슈퍼 : 롯데캐슬 내에 위치
- 롯데리아 : 잠실역(롯데백화점쪽), 롯데캐슬, 홈플러스
- TGI Friday : 롯데가 운영하는 패밀리 레스토랑
- 세븐 일레븐 : 잠실역(백화점쪽), 롯데캐슬밖 외부 출입구쪽, 2호선과 8호선 연결통로 부분
- 엔제리너스 커피
- 크리스피 크림 도넛 - 50m 거리에 두 개씩 있다.(하나는 백화점 입구 좌측 잠실점. 다른 하나는 3번 출구 좌측 잠실광장점) 참고로 잠실광장점에서 판매하는 도넛은 잠실점에서 만들어 조달한다고. 롯데리아에서 운영중. 원래는 롯데푸드쪽이 운영하고있었다.
- 키자니아 - 롯데월드 수영장을 리모델링하여 어린이용 직업체험테마파크로 개조. 단 롯데는 소유만 하고 운영은 MBC 자회사에서 한다.
- 제2롯데월드 : 2번출구쪽에 123층짜리 제2롯데월드를 짓는다고 한다. 현재 공사중으로, 한 50층 이상 올라가고 있는 중이다. 완공되면 여기도 잠실역과 연결예정. 아마도 제2롯데월드를 지으면 롯데의 계열사들이 전부 이곳으로 입주하리라 예상되며 롯데자이언츠의 서울사무소도 입주할 듯... 다행히 북서쪽 모퉁이의 잠실주공5단지는 삼성물산, GS건설, 현대산업개발의 컨소시엄이 재건축 하기로 하여 완벽한 롯데역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4. 막장환승 ¶
2개 노선 환승역 치고 환승통로 길이가 긴 편이다. 초기 계획에서는 개념환승으로 계획되었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이렇게 되었다. 출구 안내는 각 노선의 승강장이 자기 출구만 따로 쓰고 있을 정도이다. 더군다나 각 방향 환승별로 환승통로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데다가 무빙워크가 없기 때문에 길을 잘못 들었을 경우에는 왔던 길을 그대로 돌아가야 한다.
교보문고 잠실점이 이 역 7, 8번 출구에 바로 연결되어 있고, 3,4번 출구에서 내리면 바로 롯데월드를 만날 수 있다(근처엔 아예 직결 통로까지 있다). 9번 출구는 아예 출구 자리에 3층짜리 건물을 세워 놓고 일종의 관제실을 (정확히는 서울 도시철도 잠실 서비스센터라고 불린다) 운영하고 있다. 비슷하게 출구에 건물 세워놓은 역이 서울 지하철 1,6호선 동묘앞역이 있다.(여기는 1호선 한정)
2호선만 다녔을 시절에도 이미 송파구 각 지역 뿐 아니라 강동구, 성남시, 하남시 지역과도 연결되는 중요한 환승 요지였으며, 8호선이 이 역에 들어오게 되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강동구에 서울 지하철 5호선이 들어오기 전에는 강동구민과 하남시민들이 이 역으로 지하철을 타러 많이 원정을 오기도 했었고, 성남시민들에게도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역과 함께 2대 지하철 환승역이었다. 8호선과 분당선이 개통하기 전에는 성남시에서 가장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지하철역이 잠실역과 양재역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고속(화)도로를 경유하는 광역버스가 활성화되면서 수원시, 용인시, 구리시, 남양주시 등 더 먼 경기도 지역을 오가는 수요도 크게 늘어났다. 최근에는 9번 출구 근처의 구리/남양주 방면 광역버스 정류장에는 사람이 몇백명씩 줄서서 기다리고 있는 광경도 심심찮게 보인다.
다만 잠실역 주변에 딱 환승구간이라 할만한 곳이 없어 버스들이 다양한 정류장을 사용하며 - 2호선 승강장과 8호선 승강장 사이에 정류장들이 넓게 퍼져 있는 형태이다 - 환승을 위해 200m+α달리기를 해야 할 때도 있다. 이는 신천역도 마찬가지.
그랬다가 2009년 1월, 이명박 정부에서 제2롯데월드의 건축을 허가하면서, 롯데의 일부 사유지를 환승센터용으로 지정했다. 그리고 이 환승센터는 지하에 짓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만약 정말로 환승센터를 짓는다면 잠실역의 엉망진창인 버스 정류장 체계가 어느 정도 정돈될 듯...하지만 워낙에 교통유발수요가 끔찍할 걸로 예상되기 때문에 현실은 시궁창. 주말 오후 잠실역 사거리를 생각하면...역시 현실은 시궁창
건설 초기엔 서울 지하철 5호선이 이 역과 연동될 예정이어서, 잠실역은 5호선 환승에 대비하여 설계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2기 지하철 계획이 세워지면서 5호선은 천호대교 쪽에서 한강을 넘는 것으로 확정되었고, 대신 8호선이 잠실역에 들어오게 되었다. 본래 8호선 계획은 잠실역의 환승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송파대로에서 바로 올림픽로로 들어가지 않고 잠실대교남단 삼거리에서 잠실중학교, 잠실초등학교 앞의 4차선 도로(올림픽로35길)를 지나 올림픽로로 진입하는 형태였다. 그래서 현재 몽촌토성역도 잠실초등학교 앞에 세워질 예정이었다. 이 경우 2호선 잠실역과 8호선 잠실역이 T자 혹은 +자 형태로 만날 수 있다. 그러나 이 일대가 하중도를 매립한 연약 지반이라 터널식 공법이 불가능하고 개착식 공법으로만 공사를 진행해야 했는데, 이 경우 인근 주민들의 생활도로인 이 도로를 몇 년이나 전면 통제해야 하는 무리수가 발생하였다. 결국 계획 변경으로 8호선은 잠실역 사거리에서 당시 공터였던 제2롯데월드 부지를 일부 활용해 송파대로에서 올림픽로로 90도 커브를 그려야 했고, 그 커브 위에 역사를 만들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현재와 같이 8호선 승강장이 멀어진 것이다. 그리고 석촌~잠실 구간을 다니는 암사행 열차는 소음이 많이 난다.
5. 연계교통 ¶
2013년 7월 10일 첫차부터 잠실공영주차장 진출입로 및 9번출구 앞 정류소 이설공사로 인해 구리/남양주 일대에서 넘어오던 광역버스들이 6번출구(하차), 9번출구(승차)에서 분산배치가 되었다.
5.1. 1번 출구 정류장 ¶
5.4. 중앙버스전용차로 하행 정류장 ¶
송파대로 남쪽으로 향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성남, 안양, 용인, 이천, 화성 방면 광역버스, 직행좌석버스가 정차한다. 단, 1007번, 1007-1번은 6번 출구 가로변 정류장에 정차한다.
- 송파대로 방면
- 3권역(강동, 송파) 방면 : 320번(복정역), 2311번(문정동), 3318번(파크데일아파트)
- 4권역(서초, 강남) 방면 : 16번(일원역), 2412번(광연자동차학원)
- 광주 방면 : 32번(광주차고지)
- 성남 방면 : 100번(사기막골), 302번(상대원), 303번(상대원), 9005번(한국학중앙연구원), 9403번(구미동차고지)
- 안양 방면 : 1650번(안양역)
- 용인 방면 : 101번(초당마을), 116번(다솔농장), 119번(다솔농장), 1112번(경희대학교), 1117번(한국외국어대학교), 5600번(명지대학교), 5700번(명지대학교)
- 이천 방면 : 500-1번(동원대학교)
- 화성 방면 : 1009번(수원대학교)
- 3권역(강동, 송파) 방면 : 320번(복정역), 2311번(문정동), 3318번(파크데일아파트)
5.7. 7번 출구 정류장 ¶
6. 일평균 승차량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74,226명 | 73,693명 | 74,720명 | 72,182명 | 71,540명 | 74,082명 | 73,759명 | 75,134명 | 78,524명 | 79,704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78,243명 | 78,403명 | 77,803명 | 78,297명 | 81,165명 |
● 서울 지하철 8호선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6,355명 | 6,627명 | 7,011명 | 7,036명 | 7,255명 | 7,253명 | 6,956명 | 6,893명 | 7,236명 | 7,300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8,126명 | 8,804명 | 9,178명 | 9,454명 | 9,817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