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電池 ¶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 공급시키는 장치. 영어로는 배터리(Battery)라고 하며 이는 넓은 범위에서는 전지, 좁은 범위에서는 축전지를 뜻하는 말이다.[1] 흔히 밧데리라고 잘못 말하지만 이는 쎄루모다(셀 모터), 도라꾸(트럭) 등과 같은 일제강점기의 언어적 잔재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2]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류의 전지는 역시 화학 전지. 보통 두 가지 금속의 이온화도 차이에서 오는 전위차를 이용한다. 이온의 양이 많을수록 흘려보낼 수 있는 전하의 양도 많기 때문에 같은 종류인 전지의 용량은 크기에 거의 비례한다. 알칼리전지, 수은전지, 리튬이온전지, 건전지가 대표적인 예.
워낙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기에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만, 전자제품 분야의 발전을 가로막는 거대한 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실 지난 200년간의 전기,전자 기술 발달사 중 가장 발전이 더딘 분야가 바로 전지 분야이다. 당장 스마트폰이나 전기차를 봐도 알 수 있듯, 다른 기술의 발전 속도에 전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 (스마트폰을 1.5V 알카라인 건전지로 쓴다고 생각하면 끔찍하다.) 엑셀 사가의 시오지 고조 박사는 이에 관해서 '인간형 안드로이드를 만드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연산장치가 아니라 에너지원'이라고 단언한 바 있다.
2.1. 전기화학 전지 ¶
- 상위 항목 : 화학 > 전기화학
전지는 작대기를 그어서 표현하는데, 산화 전극이 대개는 왼쪽에 온다.[4] 즉, 볼타 전지의 (-)극과 전해 전지의 (+)극이 왼쪽에 오게 적으면 된다. 작대기 하나는 전극과 용액의 접촉면이고, 작대기 두개는 용액간의 접촉이 직접적이지 않음을 뜻한다. 수능 수준까지는 간단하게 작대기 두개는 염다리라고 이해해도 좋다. 예를 들어 Ag/AgCl과 Pt를 이용한 간단한 pH 미터를 표기법에 맞게 나타내면 이렇게 된다.
4. 全紙 ¶
자르지 않은 종이. 보통 제지소에서 막 생산되어 알맞게 절단하기 전의 통짜 종이를 의미한다. 때문에 크기가 무척 크다.
일반적으로 전지 하면 출판인쇄용 규격의 전지를 의미하며[5], 외에도 규격에 따라 A0, B0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전지가 있다. 독일에서는 A0의 2배, 4배가 되는 2A0, 4A0도 규정해 놓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 하면 출판인쇄용 규격의 전지를 의미하며[5], 외에도 규격에 따라 A0, B0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전지가 있다. 독일에서는 A0의 2배, 4배가 되는 2A0, 4A0도 규정해 놓고 있다.
신문 등의 한 면 전체를 가리킬 때나, 모든 신문들을 통틀어 말할 때도 쓰인다.
----
- [1] 즉 건전지를 배터리라고 하는 경우는 좁은 범위의 뜻에서는 잘못된 것이다.
- [2] 이 단어가 Batterie라는 독일어에서 차용되었다는 설도 있지만 어렴풋한 이야기다. 본문에도 예시를 들었지만 일제강점기를 살아오신 어르신들이 구사하는 외래어는 대부분 일본식 발음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일본에서는 지금도 '밧데리'라고 발음한다.
- [3] 엄밀히는 에너지가 공급되면 방전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가역반응이 가능한가의 여부로 나뉜다.
- [4] 기준 전극이 있을 경우 기준 전극이 무조건 왼쪽.
- [5] 4·6판 계열 기준으로 788×1090mm, 국배판 기준으로 636×939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