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그대로 쥐처럼 생긴(?) 유대류들을 지칭하는 말. 다만 이 이름으로 불리는 유대류들은 한 분류군이 아니고 심지어 잘 살펴보면 쥐랑 그다지 비슷한 구석이 없다. 아니, 얘가 아니다
1. 어포섬(Opossum, Order Didelphimorphia) ¶

[JPG image (257.63 KB)]
몸 꼴만 놓고보면 그나마 쥐처럼 생겼지만 머리만 놓고 보면 쥐와 전혀 안 닮았다.
결정적으로 이들의 생활사는 설치류보다는 오히려 소형 식육목이나 호주의 주머니고양잇과 유대류들과 매우 흡사하다.[1] 다시말해 태반류의 설치류에 완전히 대응하는 종류는 아니라는 것.
특이하게도 이 분류군 중에는 유대류인데 육아낭이 퇴화된 종류가 많다(...).[2] 그러니까 새끼들은 태어나자마자 어미의 유두에 대롱대롱 매달리기만 한 채 살아야 한다. 어느정도 자라서도 일정 기간동안은 어미의 몸통에 붙어다녀하 한다. 이런 무책임한 엄마들 같으니라고 하지만 위 사진을 보면 새끼보단 어미가 더 힘들어보인다(...)
더욱 특이한 사실은 유대류인데 태반이 있다는 점이다. 다만 이 태반은 일시적으로 생겼다가 퇴화되며 태반류의 태반보다는 효율이 떨어진다고 한다.[3]
버지니아어포섬은 죽은 척하기에 매우 특화 돼있다. 미국에선 Playing Dead의 동의어로 Playing Possum이 널리 쓰이고 심지어는 프로레슬링 기술중에서 기절한척 하다가 상대가 근처의 왔을때 기습 핀폴을 시전하는게 Possum Pin이다. 물론 이 기술을 트럭 앞에서도 시전하다가 죽는경우가 허다하다. 지못미. 죽은척 할때 완벽한 시체놀이 를 위해 일부러 풍기는 썩는 냄새가 매우 지독하다. 거의 사람의 송장이랑 맞먹는 수준. 차가 와도 다른 동물들처럼 도망가지 않고 죽은 척 스킬을 시전하기에 미국 길바닥에서 최고로 흔히 볼수맡을수있는 사체다.
4. 소형 주머니고양이목 유대류 ¶
이 분류군은 주머니쥐로 불리는 경우가 상당히 적다. 그도 그럴것이 호주에서는 이미 태반류 쥐가 자기들의 생태 지위를 차지하고 있어서 유대류들이 쥐의 생태지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생활사만 놓고 보면 오히려 식충류의 땃쥐와 더 흡사하다.
5. "진짜" 주머니쥐 ¶
사진은 베일리주머니쥐(Bailey`s pocket mouse, Chaetodipus baileyi)
태반류의 진짜 쥐 중 페로그나투스속(Perognathus spp.)과 카이토디푸스속(Chaetodipus spp.)은 영어로 Pocket mouse라고 불리기 때문에 우리말로 직역하면 주머니쥐가 된다. 유대류도 아닌데 유대류틱한 이름을 얻었다
----
- [1] 남아메리카에 사는 종인 야포크(Yapok, Chironectes minimus)는 수달과 비슷한 생활사를 가졌다. 그리고 이녀석이 전 세계에 유일한 수생 유대류이며 유일하게 암수 모두 육아낭이 있는 유대류다(...). 사실은 주머니늑대도 이렇다고 하지만 이녀석은 멸종했으니...
- [2] 총 7속 중 주머니가 있는건 단 3속.
- [3] 다른 유대류 중에도 일시적으로 태반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 [4] 얼굴 모양이 여우처럼 생겨서
어딜봐서?가끔 '주머니여우'라고 불리지만 실제로 여우의 생태지위를 차지하는 유대류는 아니다. 생활사는 오히려 다람쥐나 원숭이와 비슷. - [5] 이 목은 일부 종을 제외하면 치아 구조가 설치류와 매우 흡사하다.
- [6] 하늘다람쥐와 비슷하게 진화한 종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