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약칭으로는 국내에서는 '카캡사'와 '카캡체', 일본에서는 CCS로 줄이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 'CCさくら'라고 통용된다.
2. 작품의 특징 ¶
하지만 조금 파고들어 보자면 인물관계도에서도 보이듯 동성애적 요소가 많고, 선생과 제자의 부적절한 관계를 다루기도 한 수위가 높은 작품이다.[8] 공영방송인 NHK는 순수한 아동만화를 그려주길 원했고 표면적으로는 좋은 결과였지만... 결과적으로 여덕과 남덕의 폭발적인 증가를 불러왔다. 덕력을 쌓기 전과 후의 감상이
3. 인생 브레이커? NHK 최대의 악행? ¶
4. 국내 수입 ¶
5. 각종 여담과 전설들 ¶
BS 위성 아니메극장에서 방영하던 시기에 본방을 애니메이션 오프닝에서부터 차회예고까지 정확하게 18시 2분에 시작해서 18시 28분에 종료했었다.

위성 아니메 극장은 6시 4분부터 방송됩니다.
6.1. 일본[26] ¶
- 1기 오프닝 Catch You Catch Me (1화 ~ 35화)
오프닝 시작 49초경에 사쿠라의 아버지 키노모토 후지타카가 나오는데, 8화부터 사쿠라의 라이벌(?)인 샤오랑이 등장함에 따라 9화부터는 후지타카 대신 샤오랑으로 대체된 오프닝을 방송했다. 바로 이 영상. (하지만 인터넷도 그렇고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 것은 사쿠라 아버지가 나오는 이 오프닝. 오히려 샤오랑이 등장한 오프닝이 묻혀버렸다. 심지어 1기 오프닝에 샤오랑이 나오는 것을 여태까지도 모르는 사람이 있다! 지못미 사오랑)
- 2기 오프닝 문을 열고서 (36화 ~ 46화)
- 3기 오프닝 플라티나 (47화 ~ 70화)
6.2. 한국 ¶
만날 수 없어 만나고 싶은데 내 사랑에 마법의 열쇠가 있다면 Catch you Catch you 이제 숨바꼭질은 그만(그만) 눈을 감으면 누군가 내곁을 내 순수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면 Catch you Catch you 이제 숨바꼭질은 그만(그만) |
6.3. 북미 ¶
Q: 이 애니의 내용이 무엇입니까? |
맞는 말이고 딱히 틀린 말은 없지만 그것으로 작품 전체를 전달하기란 오묘하다. 애초에 로리지온의 시초라고까지 불리는 작품으로 생각하면 더더욱 그렇다. 저 설명과 오프닝만 듣고 크로우 카드가 드래곤볼쯤 되는 줄 알았다는 양덕도 있다.
Wind, Rain, Shadow, Wood, Sword, Thunder, Power, Sleep... | 바람, 비, 그림자, 나무, 검, 천둥, 괴력, 수면... |
8.1. TVA[28] ¶
- 4학년 편(1기)
초등 4학년 때의 1학기 - 2학기 | |||||
방영 화수 | 방영 타이틀 | ||||
일본 | 대한민국 | 일본 | 대한민국 | ||
1 | 1 | 사쿠라와 신비한 마법책 | 체리와 신비한 그림책 | ||
2 | 2 | 사쿠라의 멋진 친구들 | 체리의 멋진 친구 | ||
3 | 3 | 사쿠라의 두근두근 첫 데이트 | 체리의 두근두근 첫 데이트 | ||
4 | 4 | 사쿠라의 기진맥진 일요일 | 체리의 기진맥진 일요일 | ||
5 | 5 | 사쿠라와 팬더와 귀여운 가게 | 체리와 팬더와 귀여운 가게 | ||
6 | 6 | 사쿠라와 어머니의 추억 | 체리와 어머니의 추억 | ||
7 | 7 | 사쿠라의 괴도 첫 도전!? | "체리, 그림도둑 되다"[29] | ||
8 | 8 | "사쿠라의 라이벌, 등장!" | "체리의 라이벌, 등장!" | ||
9 | 9 | 사쿠라와 신비한 브로치 | 체리와 신비한 브로치 | ||
10 | 10 | 사쿠라와 꽃의 운동회 | 체리와 꽃 운동회 | ||
11 | 11 | 사쿠라와 토모요와 커다란 집 | 체리와 소중한 상자 | ||
12 | 12 | 사쿠라의 끝없는 하루 | 체리의 끝없는 하루 | ||
13 | 13 | 사쿠라와 코끼리의 힘 겨루기 | 체리와 코끼리의 힘 겨루기 | ||
14 | 14 | 사쿠라와 토우야와 신데렐라 | 체리와 신데렐라 오빠 | ||
15 | 15 | 사쿠라와 케로의 대판 싸우다 | 체리와 케로의 한바탕 싸움 | ||
16 | 16 | 사쿠라와 추억의 무지개 | 체리와 추억의 무지개 | ||
17 | 17 | 사쿠라의 무서운 담력 테스트 | 체리의 무서운 담력 테스트 | ||
18 | - | 사쿠라와 유키토와 여름축제 | - | ||
19 | 18 | 사쿠라와 여름 방학 숙제 | 체리와 여름 방학 숙제 | ||
20 | 19 | 사쿠라와 싸우는 전학생 | 체리와 또다른 라이벌 | ||
21 | 20 | 사쿠라의 기나긴 마라톤 대회 | 체리와 기나긴 마라톤 대회 | ||
22 | 21 | 사쿠라와 자상한 아버지 | 체리의 자상한 아버지 | ||
23 | 22 | 사쿠라와 토모요와 멋진 노래 | 체리와 아름다운 노래 | ||
24 | 23 | 사쿠라의 작은 대모험 | 체리가 줄어들었어요 | ||
25 | 24 | 사쿠라와 또 한명의 사쿠라 | 체리와 또 한명의 체리 | ||
26 | 25 | 사쿠라와 멋진 선생님 | 체리와 멋쟁이 선생님 | ||
27 | - | 사쿠라와 추억의 신사 | - | ||
28 | 26 | 사쿠라와 주술 카드 | 체리와 주술카드 | ||
29 | 27 | 사쿠라의 달디단 쿠킹 | 체리와 달콤한 요리 | ||
30 | 28 | 사쿠라와 상처입은 카드 | 체리와 상처입은 카드 | ||
31 | 29 | 사쿠라와 이름없는 책 | 체리와 제목없는 책 | ||
32 | 30 | 사쿠라와 케로와 샤오랑 | 체리와 케로와 샤오랑 | ||
33 | 31 | 사쿠라의 차가운 아이스 스케이트 | 체리와 아이스 스케이팅 | ||
34 | 32 | 사쿠라와 유키토와 낮달 | 체리와 청명 오빠와 낮달 | ||
35 | 33 | 사쿠라의 멋진 크리스마스 | 체리의 행복한 크리스마스 |
- 5학년 편(2기)
초등 5학년 때의 1학기 | |||||
방영 화수 | 방영 타이틀 | ||||
일본 | 대한민국 | 일본 | 대한민국 | ||
36 | 34 | 사쿠라와 눈의 새학기 | 체리와 눈내리는 개학날 | ||
37 | 35 | 사쿠라와 사라진 토모요의 목소리 | 체리와 사라진 지수의 목소리 | ||
38 | 36 | 사쿠라의 즐거운 딸기 따기 | 체리의 즐거운 딸기 따기 | ||
39 | 37 | 사쿠라의 비틀비틀 열(熱)요일 | 체리와 흔들흔들 열(熱)요일 | ||
40 | 38 | 사쿠라와 꿈 속의 사쿠라 | 체리와 꿈 속의 체리 | ||
41 | 39 | 사쿠라와 샤오랑과 모래바다 | 체리와 샤오랑과 모래 바다 | ||
42 | 40 | 사쿠라의 암흑의 학예회 | 체리와 어둠 속의 학예회 | ||
43 | 41 | "사쿠라의 안녕, 메이링" | "안녕, 메이린" | ||
44 | 42 | 사쿠라와 케로와 신비한 선생님 | 체리와 케로와 신비한 선생님 | ||
45 | 43 | 사쿠라와 마지막 크로우카드 | 체리와 마지막 크로우카드 | ||
46 | 44 | 사쿠라와 마지막 심판 | 체리와 최후의 심판 |
- 5학년편 (3기)
초등 5학년 때의 2학기 - 3학기 | |||||
방영 화수 | 방영 타이틀 | ||||
일본 | 대한민국 | 일본 | 대한민국 | ||
47 | 45 | 사쿠라와 신비한 전학생 | 체리와 신비한 전학생 | ||
48 | 46 | 사쿠라와 눈을 뜬 별의 열쇠 | 체리와 깨어난 별의 열쇠 | ||
49 | 47 | 사쿠라와 위험한 피아노 | 체리와 위험한 피아노 | ||
50 | 48 | 사쿠라와 샤오랑과 보이지 않는 실 | 체리와 샤오랑과 보이지 않는 실 | ||
51 | 49 | 사쿠라와 커다란 인형 | 체리와 커다란 인형 | ||
52 | 50 | 사쿠라의 양 주의보?! | 체리의 양 주의보 | ||
53 | 51 | 사쿠라와 패닉 자전거 | 체리와 폭주 자전거 | ||
54 | 52 | 사쿠라와 추억의 달력 | 체리와 추억의 달력 | ||
55 | 53 | 사쿠라와 이상한 나라의 사쿠라 | 이상한 나라의 체리 | ||
56 | 54 | さくらとケロのお菓子な出会い??[30] | 케로와 스피넬의 이상한 만남 | ||
57 | 55 | 사쿠라와 샤오랑과 엘리베이터 | 엘리베이터에 갇힌 체리와 샤오랑 | ||
58 | 56 | 사쿠라와 두 사람의 대핀치 | 체리와 케로와 유에의 대위기 | ||
59 | 57 | 사쿠라와 토모요와 공의 함정 | 체리와 지수와 이상한 공 | ||
60 | 58 | 사쿠라와 소중한 친구들 | 체리와 소중한 친구 | ||
61 | 59 | 사쿠라와 카드와 선물 | 체리와 카드와 선물 | ||
62 | - | 사쿠라와 이상한 점괘쪽지 | - | ||
63 | 60 | 사쿠라와 수영장과 커다란 파도 | 체리와 수영장의 거대한 파도 | ||
64 | 61 | 사쿠라와 눈보라의 스키교실 | 체리와 눈보라 속의 스키학교 | ||
65 | - | 사쿠라와 유키토와 사라져가는 힘 | - | ||
66 | 62 | 사쿠라의 가장 좋아하는 사람 | 체리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 | ||
67 | 63 | 사쿠라와 샤오랑과 츠키미네 신사 | 체리와 샤오랑과 월봉사 | ||
68 | 64 | 사쿠라와 과거와 크로우리드 | 체리와 과거의 크로우리드 I | ||
69 | 65 | 사쿠라와 나타난 크로우리드 | 체리와 과거의 크로우리드 II | ||
70 | 66 | 사쿠라와 진정한 마음 | 체리의 진정한 마음 |
9. 원작과 애니메이션의 차이 ¶
- 원작의 크로우 카드는 19장이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대폭 추가되어 52장이 등장한다.
- 원작에서는 사쿠라가 크로우 카드가 담긴 책을 열자 케로쨩이 봉인에서 풀려났고 이때 이미 크로우 카드는 모두 흩어져 있던 상태였다. 그런데 애니메이션판에서는 크로우 카드가 들어있는 책을 사쿠라가 열고, 거기서 맨 위에 있던 카드인 The Windy(바람)을 읽자 마력이 발동해 다른 크로우 카드들을 다 흩날려버린다.
- 원작은 에필로그 장면을 제외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사쿠라가 초등학교 4학년생으로 나오지만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 2기에 사쿠라가 5학년으로 진급하고 극장판 2편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으로 나온다. 그래서 키노모토 토우야도 처음에는 고등학교 2학년생이지만 극장판 2편에서는 대학교 1학년생으로 나온다.
- 애니메이션에서는 나름 비중이 높은 캐릭터인 리 메이링이 원작에는 없는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 펜시점 주인 마츠모토 마키(연지)와 샤오랑의 집사인 '웨이 왕'도 애니메이션에만 등장하는 캐릭터이다.
- 사쿠라의 아버지인 키노모토 후지타카의 설정도 원작과 애니판이 다르다. 원작에서는 히이라기자와 에리오르이 마법을 써서 주변 사람들을 잠들게 만들 때 후지타카는 예외적으로 잠들지 않으며 마지막에는 크로우 리드의 또다른 환생체였다는 것이 밝혀지고 마력을 나눠받은 후지타카는 키노모토 나데시코의 모습도 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애니판에서는 연구실에서 쿨쿨 잘 자고 있으며(...) 마법과 관련된 그 어떤 설정도 붙지 않고 사쿠라의 평범한 아버지로 나온다.
- 원작과 달리 애니메이션에서는 막장성을 띄는 설정들이 많이 순화되었다. 사쿠라의 담임 선생인 테라다 요시유키(권현문)와 초등학생 제자인 사사키 리카(강민지)는 연애 후 약혼을 할 정도의 막장관계인데 애니메이션에서는 리카가 선생님에게 호감을 가지는데 그친다. [33] 그리고 원작에서는 히이라기자와 에리오르와 미즈키 카호가 마지막에 연인이 되면서 또 다른 선생과 제자 커플이 탄생하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장면이 삭제되었다. 다만 2번째 극장판에서 카호와 에리오르가 같이 있는 장면이 나오긴 한다. 그리고 동성애를 암시하는 묘사들도 원작이 더 강한 편이다. (이렇게 여러모로 원작보다 자극적인 설정을 순화시킨 것으로 볼 때 애니메이션판에서의 다이도우지 토모요(신지수)를 동성애자라 단정하기는 힘들다. 동성애자임이 확실시되는 표현이나 언급이 없으며 단지 원작 설정이 동성애자였으니 사실 애니메이션의 토모요도 동성애자였다고 받아들여졌을 뿐이다. 적어도 애니메이션 상에서 그려진 바로는 좀 과하게 사쿠라를 아끼는 친한 친구로만 등장한다. 물론 곳곳에 토모요가 사쿠라를 좋아한다는 말이 자주 나오고 그 의미가 꽤 묘한(...) 느낌을 주긴 하지만 원작에 비하면 장족의
퇴화발전)
- 사쿠라가 샤오랑의 고백에 대한 대답을 하는 시기가 다르다. 원작에서는 샤오랑이 홍콩에 가게 되면서 버스를 탄 샤오랑에게 사쿠라가 고백에 대한 대답을 하지만 TV판 최종화에서는 샤오랑이 귀국하면서 준 곰인형만 사쿠라가 받게 되고 2번째 극장판에서 샤오랑이 귀국 후 크로우 카드와 관련된 사건이 해결된 뒤에 사쿠라가 확실하게 진심을 말하게 된다.
- 원작에서는 에필로그에 중학생이 된 사쿠라와 리 샤오랑의 모습이 등장한다.
그리고 로리지온들은 절규했다
- 최후의 심판에서 유에와 결투하는 장면은 원작에서는 신사인데 애니판에서는 도쿄타워로 변경되었고, 반대로 에리오르와의 전투는 원작에서는 도쿄타워이지만 애니판에서는 신사 입구로 변경되었다.
10. 츠바사 크로니클, XXX HOLiC과의 관련성 ¶
- [1] 국내방영 제목이 따로 있음에도 원제로 항목이 작성된 것에 의문을 가질 수도 있는데, 2011년에 학산문화사에서 <카드캡터 사쿠라>라는 이름으로 애장판 단행본을 출간했기 때문. 즉 '카드캡터 사쿠라'도 정발명이 맞다. 가장 최신 것의 정발명을 따르는 베다위키 규정에 따라 항목명도 변경되었다.
- [2] 북미판 더빙 명칭은 Cardcaptors.
- [3] 90년대 이전까지 하청업체였던 매드하우스가 메이저 제작사로 성장하게 된 발판이 된 작품이다.
- [4] 이 때문에 클램프의 한국 공식방문 당시 한국에 오자마자 가장 먼저 DR무비를 방문하기도 했다.
- [5] 특촬 쪽의 타임레인저와 가면 라이더 블레이드도 적을 없애지 않고 봉인한다(다만 블레이드는 적을 일부러 없애지 않는 게 아니라 없앨 수 없어서 할 수 없이 봉인하는 것이다.).
- [6] 이미지 출처는 고시생툰 작가 seri의 덕질 입문기(...)
- [7] 덤으로 아빠와 엄마는 선생과 제자 사이였고 절친엄마와 엄마는 친척관계이며, 따라서 절친도 먼친척인다.(...) 여기에 본 작품에 등장하는 환상종과의 관계까지 포함해서 생각하면 인간관계도가 안드로메다로 간다.
- [8] 이 부분에 대해 오타쿠 집단인 클램프의 음모라는 해석이 있으나, 실은 1992~1997년에 방영되어 일본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다시 쓴 세일러문의 영향이 크다. 1기에서 노골적인 남성 동성애자, 3기에서 노골적인 여성 동성애자, 4기에서 오카마, 5기에서 성전환 캐릭터까지 매번 주역으로 등장시켰던 세일러문은 온가족 시간대인 토요일 저녁 7시에 이런 소재를 사용해서 방송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10% 이상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참고로 세일러문과 카드캡터 사쿠라는 똑같이 고단샤 나카요시에서 연재.
검은 나카요시?이 부분에 대해서 CLAMP의 오오카와 나나세는 『클램프의 기적』에서 사쿠라를 사회적 소수파에게도 편견 없이 대하는 여자 아이로 그리고 싶어서였다고 코멘트했다. 정작 사쿠라는 성 소수자는 아니지만 모두에게 상냥한 사쿠라이기에 사쿠라의 매력이 돋보인다는 평도 있다. - [9] 즉 일본에서도 아직 방영 안 끝난 작품이 한국에서 뒤따르듯 방영되고 있었다는 것. 케이블TV로 BS2가 방영되는 사람은 둘 다 볼 수 있었다. 그로 인한 문제인지 몰라도 초반에 방영 시간이 마구마구 뒤바뀌곤 했다. 최종적으로는 금요일 5시로 고정.
- [10] 2번째 ED 'Honey'와 3번째 ED 'Fruits Candy'가 나왔었다. 물론 가사없이 멜로디만 내보냈었고 SBS의 특성상 30초도 못 채우는 경우가 많았지만 당시 시대상황을 감안하면 대단히 파격적인 구성이었다. 게다가 시청자들이 이를 통해 일본판 ED을 맛보기격으로나마 들을 수 있었으니.....
- [11] 극장판 1기 경우 리 메이린이 이지영으로 교체되었는데 2기(마법의 카드)에서는 SBS판 성우였던 우정신이 맡았으며, 유익한과 유도진도 1기에서는 최재호와 김장이 맡았는데 2기에서는 SBS판 성우 김세한과 손원일이 그대로 맡았다.
- [12] 미하라 치하루(은다빈) 경우 극장판 2기에서는 임은정(리 샤오랑 성우)이 맡았으며, 다이도우지 소노미(임창하)도 우정신(리 메이린 성우)이, 담임 선생님(권현문)은 김세한(유익한 성우), 문현아는 이현선(신지수 성우)으로 SBS판 성우들로 교체되었다(다만 이현선의 경우 TV판 마지막회에서 잠깐 문현아 역을 맡은 적이 있다.).
- [13] 카드캡터 사쿠라 이외에도 도쿄 바빌론과 인어의 상처, 오란고교 호스트부, 기동전사 건담 UC의 애니메이션 캐릭터디자인을 담당했다.
- [14] 원피스, 포켓몬 무인편, 짱구 극장판, 디지몬 시리즈의 볼레로를 떠올리면 편하다. 다만 디지몬의 볼레로는 제작사에서 자체제작한 것이 아니라 기존에 있었던 음악을 차용한 것.
- [15] TV판 OST만 4장이다. 하지만 이걸로도 수록곡이 많아선지 몇몇 곡은 악장 단위로 묶인 것도 있으며, 그나마도 일부 곡은 수록되지 못했다.
- [16] 차회 예고에서도 쓰였다.
- [17] 2000년 신생아 여자아이 이름 순위 1위. 그 뒤로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0년 네 번째로 1위를 차지.
- [18] http://detail.chiebukuro.yahoo.co.jp/qa/question_detail/q1062619365 하단 참조
- [19] 비단 카캡사만의 현상은 아니겠지만 이런 현상은 내여귀 1기에서 훌륭히 재현되었다.
아야세: 이거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이죠? 어째서 성인 남자가 잔뜩 있는 건가요? - [20] 당시 2ch CC사쿠라판은 실시간으로 지옥을 맛봤다.
- [21] 인터넷 초창기였던 시절 당시 한국에서도 몇몇 사쿠라 팬사이트 게시판를 중심으로 실시간 멘붕이 되었다
- [22] http://aninews.kr/86 번역 글 참고
- [23] 야후옥션에 별도의 카테고리도 존재한다. http://category.auctions.yahoo.co.jp/list/カードキャプターさくら-か行-セル画-コミック-アニメグッズ/2084034535/?p=カードキャプターさくら&tab_ex=commerce&n=100&slider=0 참고
- [24] 말이 증정이지 사실 셀화값이 사전예약가격에 포함되어 있었다
- [25] 주인공 키노모토 사쿠라 일가의 성(木之本)과 완벽하게 똑같다
- [26] 참고로 셋 다 원래는 가로세로 4:3 비율 영상이다.
- [27] 임에 대한 사랑과 독립에 대한 열망을 중복적으로 표현해 놓았다고 한 점이라든가...
여기서 이 애니가 일본애니라는 점에 신경을 쓰면 지는 거다. - [28]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카드캡터_사쿠라#.EC.B9.B4.EB.93.9C.EC.9D.98_.EC.A2.85.EB.A5.98
- [29] 참고로 SBS 방영판은 방송도중 신창원 검거 속보가 나오면서 대부분의 내용이 방영되지 못하고 말았다. 재방송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방영판이나 마찬가지. 나중에 다른 채널에서 재방영을 하면서 미방영판 신세를 벗어났다(...).
- [30] '과자(お菓子)'가 '이상하다(可笑しい)'와 발음이 비슷하다는 걸 이용한 말장난. 때문에 "사쿠라와 케로의 과자같은 만남"이 "사쿠라와 케로의 이상한 만남"으로도 들리게 되었다. 해당 화의 소재로 과자가 나오기 때문에 가능한 중의적 제목이다.
- [31] 한국에서는 극장 상영이 아닌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에서 특선 방영했다.
- [32] 구분편의상 "첫번째 극장판: 마법의 카드" 또는 "홍콩편"이라는 부제를 붙인다.
- [33] 순화시킨 쪽이 소녀시절의 풋풋함을 연상시켜 더 좋다는 사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