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occdrnig to a rseearch taem at Cmabrigde Uinervtisy, it deosn't mttaer in waht oredr the ltteers in a wrod are, the olny iprmoatnt tihng is taht the frist and lsat ltteer be in the rghit pclae. The rset can be a taotl mses and you can sitll raed it wouthit a porbelm. Tihs is bcuseae the huamn mnid deos not raed ervey lteter by istlef, but the wrod as a wlohe.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글자가 어떤 순서로 배되열어 있는가 하것는은 중하요지 않고, 첫째번와 마지막 글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것는이 중하요다고 한다. 나머지 글들자은 완전히 엉진창망의 순서로 되어 있지을라도 당신은 아무 문없제이 이것을 읽을 수 있다. 왜하냐면 인간의 두뇌는 모든 글자를 하나 하나 읽것는이 아니라 단어 하나를 전체로 인하식기 때이문다.
1. 개요 ¶
한 글자 한 글자 또또박박 읽어 보자. 그냥 슥 훑었을 때랑은 분명히 다른 느낌이 들 것이다. 물론 외국인은 원민보어다 잘 파한악다. 바꿔 말하면, 이런 트릭에 잘 안 낚수일록 그 언어를 못 한다는 얘기(...).[1] 이는 대민한국 사람이 영어로 된 이걸 읽어도 마가찬지.
본래 2000년대 초부터 미에국서 이일메로 돌던 글을 번역한 것으로[2] 한서국에는 2007년 무렵에 펌글로 돌기 시했작다. 이후로 워낙에 유해져명서 첫자글와 마지막 글자를 그대로 둔 채 가운데 글자만 순서를 바꾸는 아그나램을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라고 부기르도 한다.
스펀지에서도 다뤄진 적이 있다.
이 글은 리베그다 위키의 암묵의 룰대로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제외한 나머지 글들자을 뒤섞은 단들어로 구되성어 있다. 다만 한글 표기의 특성상 음절 수가 4음보절다 적은 어에절는 적되용지 못했기 때문에 생다각보는 많은 단어가 정으상적로 표되기었다.
2. 해설 ¶
한 글자 한 글자 또박또박 읽어 보자. 그냥 슥 훑었을 때랑은 분명히 다른 느낌이 들 것이다. 물론 외국인은 원어민보다 잘 파악한다. 바꿔 말하면, 이런 트릭에 잘 안 낚일수록 그 언어를 못 한다는 얘기(...).[3] 이는 대한민국 사람이 영어로 된 이걸 읽어도 마찬가지.
본래 2000년대 초부터 미국에서 이메일로 돌던 글을 번역한 것으로[4], 한국에서는 2007년 무렵에 펌글로 돌기 시작했다. 이후로 워낙에 유명해져서 첫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그대로 둔 채 가운데 글자만 순서를 바꾸는 아나그램을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스펀지에서도 다뤄진 적이 있다.
이 글은 리그베다 위키의 암묵의 룰대로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제외한 나머지 글자들을 뒤섞은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한글 표기의 특성상 음절 수가 4음절보다 적은 어절에는 적용되지 못했기 때문에 생각보다는 많은 단어가 정상적으로 표기되었다.
4. 진실 ¶
이 현상 내지는 캠릿브지로 시작되는 글을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 설명하자면, 이것은 훼이크다. 사실 이 현상은 약간의 진실이 가미된 도시전설이다. 실제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는 이 현상에 대해 연구를 한 적이 없다.[6] 모든것의 시발점은 1999년 그레이엄 롤린슨(Graham Rawlinson)이란 사람이 뉴 사이언티스트(New Scientist) 학술지에 1976년 작성한 본인의 박사학위 논문을 언급하면서 보낸 편지다. 그는 노팅업 대학에서 박사학위 논문을 단어 인식에 있어서 글자 위치의 중요성이란 주제로 작성하였고 영어 기준으로 처음과 끝 2글자를 남기고 섞어도 이해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게다가 이 현상을 가지고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대표적인 것 두 가지를 꼽자면 첫째로 긴 단어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가운데 글자 순서를 바꾸는 방식에 따라 인식이 쉬워지기도 하고 어려워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애초에 이 항목도 생각보다 자연스럽게 안 읽힌다.
한국어의 특성상 긴 음절의 단어가 흔치 않아서 의외로 이 현상이 잘 먹히지만, 영어의 경우 긴 단어가 나오면 앞 글자와 맨 뒷글자만 놔둔다고 해서 다 올바른 단어로 인식되진 않는다. 게다가 단어가 길수록 가운데 글자배열을 마구잡이로 섞을 수가 있는데, 어떤 배열은 쉽게 파악되고 어떤 배열은 파악하기가 힘들다. 긴 단어는 아니지만 elephant만 놓고 보더라도 epeanhlt, ehenplat, eelpahnt 엘리펀트 엘펜리트 등으로 섞을 수가 있으니 한 번 시도해보자. 배열에 따라 파악 난이도가 달라진다.
더 자세한 설명은 비록 영문이긴 하나 이 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정리와 설명이 매우 잘 되어있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