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커의 패의 일종 ¶
Flush
포커에서 다섯장의 카드가 모두 같은 무늬인 경우. 무작위로 카드가 배급되는 상태에서 나올 확률은 0.392%. 스트레이트보다 위이고 풀하우스보다는 아래이다. 자주 나오는 패 중에서는 비교적 서열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높은 플러시를 가지는 보통 소위 '받고 더 얹는'행위를 하게 된다. 상대의 패를 읽을 줄 모르는 초보자들의 경우 보통 높은 플러시나 낮은 풀하우스를 가졌을 때 돈을 왕창 잃는 경우가 많다. 그보다 낮은 패는 승률이 낮기 때문에 일찌감치 포기하고 높은 풀하우스는 웬만해서는 에이스 혹은 킹 풀하우스나 포카드가 나오지 않는 이상은 '밟히는' 경우가 적기 때문.
3. 포켓몬스터의 일종 ¶
311 플러시
이름 | 도감 번호 | 성비 | 타입 | ||
한국어 | 일본어 | 영어 | 전국 : 311 호연 : 080 | 수컷 : 50% 암컷 : 50% | 전기 |
플러시 | プラスル | Plusle |
특성 PDW 특성은 *) | |
플러스 | 특성이 '마이너스'인 포켓몬이 나오면 특공이 1.5배 상승한다 |
*피뢰침 | 단일 대상인 전기 타입 기술을 전부 자신에게 돌려 무효화시킨다. 자신이 땅 타입이 아닐 시 그 후 특공을 1랭크 올린다. |
분류 | 신장 | 체중 | 알 그룹 |
응원 포켓몬 | 0.4m | 4.2kg | 요정 |
진화 | 311 플러시 |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2배 | 1배 | 0.5배 |
땅 | 격투 고스트 노말 독 드래곤 물 바위 벌레 불꽃 악 얼음 에스퍼 페어리 풀 | 강철 비행 전기 |
종족치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60 | 50 | 40 | 85 | 75 | 95 | 405 |
도감설명 | |
루비 | 언제나 동료를 응원하는 포켓몬. 동료가 힘을 내면 몸을 합선시켜서 빠직빠직 스파크 소리를 내며 기뻐한다. |
사파이어 | 동료를 응원할 때 온몸에서 전기 스파크를 내면서 빠직빠직 빛난다. 동료가 지면 큰 소리로 울어버린다. |
에메랄드 | 동료를 응원하는 습성이 있다. 양 손에서 발산하는 전기를 합선시켜 응원용 폼폼을 만들 수 있다. |
파이어레드 리프그린 | 몸에서 스파크를 뿌려서 동료를 응원. 전신주에 올라가 전기를 흡수한다. |
하트골드 소울실버 | 전신주에서 전기를 흡수한다. 몸에 모은 전기를 합선시켜 소리를 낸다. |
4~5세대 | 스파크로 된 폼폼을 만들어 동료를 응원한다. 전신주에서 전기를 흡수한다. |
3.1. 상세 ¶
심지어 6세대의 무리배틀에서 마이농 무리에서 플러시가 끼어있을때도 있다.
특성과 2:2 배틀을 처음으로 선보인 3세대의 특징을 대변하고 있는 포켓몬으로, 플러시의 특성 '플러스'는 '마이너스' 특성을 가진 포켓몬이[1] 전투에 참가했을 때 특공이 올라가는 특성. 원래 '플러스'를 가진 건 플러시. '마이너스'를 가진 건 마이농 뿐이어서 3세대 NPC들은 플러시와 마이농을 함께 쓰는 경우가 꽤 있다.
하지만 5세대부턴 숨겨진 특성에 전룡계열 마이너스, 썬더볼트계열 플러스에 기어르는 아예 일반특성으로 둘다 가져가버린 탓에(...) 전용특성도 아니게 됐다.
하지만 5세대부턴 숨겨진 특성에 전룡계열 마이너스, 썬더볼트계열 플러스에 기어르는 아예 일반특성으로 둘다 가져가버린 탓에(...) 전용특성도 아니게 됐다.
사족으로, 이로치가이의 색깔이 원래 색깔과 99.9% 비슷하다. 아니, 거의 똑같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등장시 반짝이는 이펙트를 보지 못하면 그냥 쓰러뜨리는 상황도 나올 수 있을 정도다.(…)
다행인지 6세대 들어서는 이로치 플러시의 색이 전보다 좀 더 진해져 이로치라는걸 금방 알 수 있게됐다.(옆의 보통 플러시와 비교해보자)
3.2. 대전에서의 플러시 ¶
----
- [1] 5세대부터는 '플러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