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환경에서 돌아갔으며 주로 회사나 정부기관, 군대(!)에서 행정용으로 사용되었다. 그래서 당시 워드프로세서 자격증 실기시험은 하나 워드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도스 환경에 그래픽을 전혀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PC사양이 낮은 편이어도 잘 돌아갔다는게 특징이다. 어차피 관공서나 군대에서 그래픽을 쓸 이유도 없고. 없기는 개뿔! 아래한글로 바뀐 뒤 등장한 화려한 테크닉을 생각하면 전혀 아니다! 단지 못 쓴 것일 뿐 그러나 성능은 같은 시대에 나온 아래아 한글보다 떨어진다.
하나 워드가 정부기관에서 자주 쓰였던 이유는 전용 확장자인 HWP를 썼기 때문인데, 이 확장자는 하나 워드가 아니면 읽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문서에 암호를 걸 수도 있다. 참고로 하나 워드로 만들어진 HWP 파일은 아래아 한글에서 읽을 수 없다. 단지 우연히 같은 확장자를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하나 워드 프로세서나 한글 워드 프로세서나 어차피 약자는 전부 HWP
앞서 말했듯이 그래픽을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 표나 선을 그릴때에는 전부 괘선문자(ㅂ+한자를 입력하면 나오는 문자)로 처리하고[1] 기본적으로 텍스트 환경. 심지어 폰트 크기를 늘이고 줄이는 것조차도 일정 비율로만 가능했으며 화면에 직접 표시되지 않고 글자의 위와 옆에다가 ↑↑ 하고 화살표를 붙이는 식으로 처리했다. 나중에 프린트하면 글자가 크게 나온다.
당연하지만 윈도우즈와 GUI 기반의 워드프로세서들이 나온 이후로는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