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Core
FrontPage
FindPage
TitleIndex
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Edit 홍해파리
You are not allowed to edit this page !
홍해파리
위키 관련 정보
주요 도움
위키를 작성하기 전에
리그베다 위키 기본방침
인터페이스 설명
항목 생성하기
편집 도움말
보조 도움
위키 연습장 1
위키 연습장 2
단축키
추가기능
FAQ
http://www.zmescience.com/wp-content/uploads/2008/12/hydrozoa.jpg 학명 ''Turritopsis nutricula'' [지구]상에 '''실존하는 [[wiki:"불로불사" 불로장생]]의 존재다.''' 그래서인지 영어명도 '''[wiki:"이모탈"Immortal] Jellyfish'''(...) [이탈리아] 살렌토 반도, 지중해에 사는 약 1cm 크기의 작은 [해파리]다. 작은보호탑해파리라고도 불린다. 1994년경 홍해파리를 연구하던 이탈리아의 교수가 실수로 해파리를 수조에 넣고 방치했다가 나중에 찾아가보니 해파리 시체는 하나도 없고 새끼 해파리들이 있었다. 이후 5년간 약 4000마리의 홍해파리를 상대로 연구한 결과, 홍해파리는 수명이 다하면 번데기 같은 모양으로 변해 그 안에서 다시 세포가 형성, 48시간 이내에 어린 모습으로 되돌아가서 다시 성장했다. 즉, 자연사가 없다는 사실이 드러나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현재까지도 불로불사의 매커니즘은 해명하지 못했다. 물론 늙지 않는다는 것 뿐이지, 잡아먹히거나, 수온이 바뀌면 죽는다. 천적이나 외부의 위협이 아예 없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생장 환경 안에서나 불사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상기에 설명되어 있는 홍해파리의 불로(?) 메커니즘은 어린 모습으로 되돌아간다기 보다는 죽기 직전 스스로 무성생식으로 자신의 [[클론]]을 만들어낸다고 볼 수도 있다. 이렇게 볼 경우 상기의 모습은 불로와는 아주 거리가 멀다. 게다가 실제로 홍해파리가 불로이고, 그 불로 메커니즘의 원리가 밝혀지더라도 복잡한 구조를 지닌 고등생물에게 이 방법을 적용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적용이 가능하다 쳐도, 예를들어 노인이 신생아로 바뀐다 치면 신경계도 재생성된 그 노인은 이전의 개체의 경험이나 기억은 일절 가지고 있지 않은, 타인이나 다름없다. 이걸 불로불사라고 불러야 할까?] 홍해파리가 상당히 단순한 형태의 생물이기 때문에 가능한 메커니즘이다. 이름 덕분에 많은 사람이 이 생물을 해파리로 알고 있지만, 이 녀석은 사실 히드라충강에 속해있는 동물이다. 즉 이 녀석은 [[해파리]]보다 [[히드라]]와 더 가까운 동물이다.~~과연 신화에나 나오는 불사신 괴물답다~~ 일본에서는 '베니쿠라게'(ベニクラゲ)라 부르고, [2ch]에서 1번 관련 스레드가 나와 화제인 적이 있었다. [[토리코]]에 나오는 특수한 세포를 가진 해파리도 홍해파리를 본뜻 듯하다.
Summary
Category
---- Select ----
CategoryTemplate
ShowPage
FindPage
DeletePage
LikePages
last modified 2015-01-16 13:42:35
Processing time 0.0724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