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구분 | ||||
1947년 | ← | 1948년 | → | 1949년 |
세기구분 | ||||
19세기 | ← | 20세기 | → | 21세기 |
세계 각 지역의 표기 | |
서기 | 1948년 |
단기 | 4281년 |
불기 | 2492년 |
대한민국 | 30년 |
황기 | 2608년 |
이슬람력 | 1367년 ~ 1368년 |
간지 | 정해년 ~ 무자년 |
주체 | 37년 |
민국 | 37년 |
일본 | 쇼와 23년 |
히브리력 | 5708년 ~ 5709년 |
탄소측정연대 | BP[1] 2년 |
2.1. 실제 ¶
- 1월 7일 : 유엔한국임시위원단 방한
- 1월 30일 : 1948년 동계 올림픽이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개막되었다. 동하계 통틀어 12년만에 개최된 올림픽이었다. 이 날 인도의 독립운동가인 마하트마 간디가 암살당하였다.
- 2월 4일 : 스리랑카(당시는 실론)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 2월 7일 : 2·7 사건 발생.
- 2월 8일 : 조선인민군 창설
- 2월 26일 : UN, UN의 감시가 가능한 38線 이남 지역에서만의 선거 결의.
- 3월 27일 : 북조선로동당 제2차당대회
- 4월 3일 : 제주도에서 4.3 사건이 일어났다. 대한민국 현대사의 큰 비극이다. 이때 발생한 제주도 난민들은 오사카 재일교포의 한 축을 이루게 된다.
- 4월 16일 : 유럽에서 OEEC(OECD의 전신)가 설립되었다.
- 4월 26일 : 남북 통일정부 구성을 위해 김구, 김규식, 김일성, 김두봉에 의한 제1차 남북협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결과는 참담한 실패.
- 5월 10일 : 한국 역사상 첫 민주적 선거인 5.10 총선거가 이루어졌다. 제헌의회 구성을 위해 실시된 총선거는 그러나 북한과 소련의 거부로 38선 이남 지역에서만 이루어졌다. 제주도 역시 4.3 사건의 여파로 선거가 치뤄지지 않았다.
- 5월 14일 :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하고 이에 이집트,이라크,시리아,요르단,레바논등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침공하면서 제1차 중동전쟁이 발발하였다.
- 6월 24일 : 소련이 베를린 봉쇄를 개시했다. 봉쇄는 이후 약 11개월간 계속된다.
- 7월 17일 : 대한민국 헌법이 제정되다.
- 7월 29일 :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이 개막되었다.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태극기를 앞세우고 참가했던 대회였다. 2차 세계대전 주범국이었던 독일과 일본은 참가금지령에 따라 불참했다.
- 8월 15일 : 대한민국은 건국되었다.
- 9월 9일 :
부카니스탄북한 지도부가 성립되었고혹부리김일성이 수상에 취임했다. 이후 북한에서는 이 날을 9.9절이라 하여 건국기념일로 삼고 있다.
- 9월 12일 : 인도가 자국에 합류하지 않는 토후국 하이데바라드에 무력 침공을 개시했다.(폴로 작전) 이후 하이데바라드는 인도의 1개 주로 편입된다.
- 9월 22일 : 반민족행위처벌법이 공표되었다. 이를 토대로 반민특위가 활동을 시작되어 친일매국노들에 대한 처벌에 나섰으나…. 자세한것은 반민특위 항목 참고.
- 10월 19일 : 국군 내 공산당 세력에 의해 여순사건이 발생했다.
- 10월 22일 : 영국의 작가 조지 오웰이 한 작품을 탈고했다. 원래 이 작품을 "유럽 최후의 인간"이라고 쓰고 싶었던 그는, 출판자의 권고에 따라 제2안의 제목이었던 (연도를 뒤집은) 1984로 제목을 선정한다. (책은 다음 해인 1949년에 출판되었다.)
- 11월 2일 : 1948년 미국 대선이 치뤄졌다.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민주당의 해리 S. 트루먼이 연임에 성공했다.
- 12월 1일 : 코스타리카 군대가 폐지되었다.
- 12월 4일 : 중국 상하이에서 북쪽으로 80km 떨어진 황포강 하구에서 증기선 강아(江亞)호가 폭발 후 침몰했다. 사망자 수는 2750명에서 3920명으로 추정된다.[2]
3.1. 실존인물 ¶
- 1월 7일 : 일본의 가수 겸 성우 미즈키 이치로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성우 양지운
- 1월 25일 : 일본의 성우 조 하루히코
- 2월 2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규식
- 2월 5일 : 전(前)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스벤 예란 에릭손
- 3월 17일 : 캐나다의 SF 소설가 윌리엄 깁슨
- 4월 12일 : 이탈리아의 축구감독 마르첼로 리피
- 4월 17일 : 일본 42대 총리대신 스즈키 간타로
- 5월 5일 : 한국의 소설가, 칼의 노래의 작가 김훈
- 6월 28일
- 7월 2일 : 대한민국의 성우 노민
- 8월 26일 : 한국의 노동운동가 전태일
- 9월 14일 : 한국의 기업인 현대그룹 CEO 정몽헌
- 10월 10일 : 한국 조직폭력배 김태촌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주호성
- 11월 14일 : 영국의 왕세자 찰스 필립 아서 조지
- 11월 20일 : 미국의 前 UN 대사 존 볼턴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