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구분 | ||||
1969년 | ← | 1970년 | → | 1971년 |
세기구분 | ||||
19세기 | ← | 20세기 | → | 21세기 |
연대구분 | ||||
1960년대 | ← | 1970년대 | → | 1980년대 |
세계 각 지역의 표기 | |
서기 | 1970년 |
대한민국 | 52년 |
단기 | 4303년 |
불기 | 2514년 |
황기 | 2630년 |
이슬람력 | 1390년 ~ 1391년 |
간지 | 기유년 ~ 경술년 |
주체 | 59년 |
민국 | 59년 |
일본 | 쇼와 45년 |
히브리력 | 5730년 ~ 5731년 |
2.1. 실제 ¶
- 1월 1일 : 유닉스 타임이 시작되었다. 기본값인 0은 1970년 1월 1일 0시 0분 0초며, 1이 추가될때마다 1초식 추가된다.
- 3월 5일 : 핵무기의 무분별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핵확산 금지 조약이 체결되었다.
- 3월 15일 : 일본 오사카에서 엑스포가 개막되었다. 이 때, 아폴로 11호가 가지고 온 월석이 처음으로 대중에 공개된다.
- 3월 25일 : 콩코드 여객기가 최초로 초음속 비행에 성공했다.
- 4월 8일 : 와우 아파트 붕괴사고가 일어났다.
- 4월 10일 : 영국의 그룹 비틀즈가 폴 매카트니의 탈퇴 선언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해체했다.
- 4월 11일 : 미국에서 아폴로 13호가 발사되었다. 그러나….
- 4월 13일 : 아폴로 13호의 산소탱크가 폭발하면서 아폴로 13호 승무원들은 순식간에 생명의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사실상의 첫 우주 조난사고.
- 4월 17일 : 아폴로 13호가 기적적으로 무사히 지구로 귀환했다.
NASA의 과학자들은 괴물인가?
- 4월 29일 : 베트남 전쟁의 와중에 미국과 남베트남이 캄보디아를 침공했다. 이는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베트콩이 경유노선으로 쓰고 있었기 때문이다.
- 5월 4일 : 미국 오하이오주의 켄트 주립대학교에서 베트남 전쟁과 캄보디아 침공에 반대하던 반전시위대에 주방위군이 발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4명이 죽고 9명이 부상당했으며, 격분한 학생들은 위로는 대학교에서 아래로는 초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전국적인 반전 동맹휴학에 돌입했다.
- 5월 9일 : 미국 워싱턴 D.C에서 베트남 전쟁 반대와 켄트 주립대 총격사건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대가 반전집회를 열었다. 참석자 수는 무려 10만여 명에 달했다.
- 5월 14일 : 미국 미시시피주의 잭슨 주립대에서 학생 반전시위대에 경찰이 총격을 가해 2명이 숨지고 12명이 다쳤다. 켄트 주립대 총격사건에 이은 두 번째 발포사건.
- 5월 31일 : 멕시코에서 1970년 멕시코 월드컵이 개최되었다.
- 6월 4일 : 통가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 6월 10일 :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이 선거권을 부여하는 연령을 18세로 낮추는 법령에 서명함으로서 선거권 확대 운동이 마무리된다.
- 6월 22일 : 북한무장공비에 의해 동작구 국립묘지(현충원) 현충문의 정면 지붕 일부가 파손되었다. 시기적으로 6.25 전쟁 20주기를 앞둔 시점이었다.
- 6월 25일 : 교황 바오로 6세는 로마에서 유학중이던 서울대교구 정진석 신부를 천주교 청주교구장 주교에 임명하였다.
- 7월 7일 : 경부고속도로 대전-대구 구간이 개통됨으로써 완전개통을 하게 되었다. 이후 우리나라 경제는 급성장했다.
- 7월 21일 : 이집트에서 아스완 하이 댐이 완공됨으로서 상당한 전력생산과 대규모 농경지 추가의 효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로 인한 나일강 유역의 기후변화 문제가 동시에 생겨난다.
- 8월 21일 : 경상북도 금릉군(현 김천시) 봉산면 경부고속도로 추풍령 휴게소 부근에서 운전기사의 운전부주의로 고속버스가 추락해 25명이 사망하고 22명이 부상을 입었다.(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대한민국에 고속도로를 건설한 이래 첫 교통사고였다.
- 9월 1일 : 요르단 후세인 국왕에 대한 암살미수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요르단에서 팔레스타인 강성저항세력에 대한 대규모 토벌작전이 시작된다. 검은 9월 진압 사건의 시작이다.
- 9월 20일 : 시리아군이 요르단 국경에 전개하여 검은 9월 진압 사건에 개입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 9월 29일
- 10월 14일 : 모산 수학여행 참사로 운전기사와 학생 등 46명이 사망하고, 31명이 중상을 입었다.
- 10월 17일
- 10월 24일 : 칠레에서 좌파 단일후보 살바도르 아옌데가 대통령에 당선되어 중남미에서 최초로 선거를 통한 사회주의 정부가 탄생했다.
- 11월 13일
- 11월 25일 : 일본에서 미시마 유키오가 이끄는 방패회가 육상자위대 동부방면부 총감부를 점거, 총감을 인질로 삼고 자위대에 쿠데타를 요구했으나 거절되자 자살하는 미시마 사건이 일어났다.
- 12월 15일 : 12월 14일 오후 5시경 제주 서귀포항에서 출발한 부산~제주 간 정기 여객선인 남영호가 침몰했다. 이 사고로 319명이 목숨을 잃었다.
3.1. 실존인물 ¶
- 1월 3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선영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주창
- 1월 17일 : 러시아 태생의 미국 애니메이터 겐디 타르타콥스키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성우 양석정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임재원
- 2월 19일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윤성혜
- 3월 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서윤선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상은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前 마라톤선수, 몬주익의 영웅 황영조
- 3월 27일 : 미국의 가수 머라이어 캐리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이자 열혈강호의 작화자 양재현
- 4월 8일 : 대한민국의 축구선수, 한국을 대표하는 골키퍼 김병지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이자, 1996 애틀랜타 올림픽 배드민턴 혼합복식 금메달리스트 길영아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상헌
- 4월 25일 : 일본의 성우 故 카와카미 토모코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소영
- 5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호진
- 5월 7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김수로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개그맨 황봉알
- 5월 25일 : 일본의 성우 유키노 사츠키
- 5월 27일 : 영국의 배우 조지프 파인스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조혜련
- 6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승원
- 6월 8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장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前 씨름선수, 천하장사이며 현 코미디언 강호동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주유랑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 종합격투기 선수 최무배
- 7월 6일 : 미국의 가수 인스펙타 덱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병헌
- 8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은숙
- 8월 9일 : 미국의 배우 토머스 레넌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마공갈마해영.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무등산호랑이 이종범
- 8월 19일 : 미국의 푸에르토 리코계 래퍼이자 테러 스쿼드의 사장 팻 조
- 8월 24일 : 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댄 핸더슨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명준
- 9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정민
- 9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거북이의 멤버 故 임성훈(터틀맨)
- 영국의 축구 감독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 대한민국의 가수, 거북이의 멤버 故 임성훈(터틀맨)
- 9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수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성우 홍승표
- 9월 19일 : 일본의 가수 니시카와 타카노리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거성박명수
- 10월 3일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김구라
- 10월 11일
- 10월 16일 : 일본의 종합격투기 선수, 프로레슬러 후지타 카즈유키
- 10월 29일 : 네덜란드의 축구선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수문장 에드윈 반 데 사르
- 10월 31일 : 미국의 성우 놀런 노스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조예신
- 11월 19일
-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감독 김준
- 11월 27일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류승룡
- 12월 1일 : 미국의 작곡가 조너선 콜턴
- 12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양현석
- 12월 10일 : 일본의 애니메이션 성우 겸 가수 사토 히로미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前 축구선수, 날쌘돌이 서정원
3.2. 가상인물 ¶
- 10월 4일 : 블라디미르 마카로프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일자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