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구분 | ||||
1993년 | ← | 1994년 | → | 1995년 |
세기 구분 | ||||
19세기 | ← | 20세기 | → | 21세기 |
연대 구분 | ||||
1980년대 | ← | 1990년대 | → | 2000년대 |
세계 각 지역의 표기 | |
서기 | 1994년 |
대한민국 | 76년 |
단기 | 4327년 |
불기 | 2538년 |
황기 | 2554년 |
이슬람력 | 1415년~1416년 |
간지 | 계유년~갑술년 |
주체 | 83년 |
민국 | 83년 |
일본 | 헤이세이 6년 |
히브리력 | 5754년~5755년 |
에티오피아 | 1986년~1987년 |
가상의 표기 | |
UED | GD 364년 |
월야의 프로마쥬 | AL 603년 |
1. 개요 ¶
한국에서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어느 때보다 화끈한 여름이었던 해. 지금까지도 적지 않은 사람들(특히 군 복무자)에게 최악의 더위로 손꼽히며, 뉴스에서는 아스팔트 위에서 계란후라이가 익는 과정을 시연해보일 정도였다. 어떤 사람들은 지난 해(1993년) 이상기온으로 오지 않았던 더위가 이해에 몰려왔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해에 어린이 만화 잡지 팡팡(12월 창간)과 청년 만화잡지 영챔프(1994년 5월에 창간. 격주간상 11호), 영점프(아이큐 점프의 청소년 버전) 등이 출간되었다. 추첨을 통해 히말라야 산맥으로 보내준다는 과감 무도한 컨셉의 베이스 캠프라는 만화 잡지도 창간되었으나 오래 가지는 못했다. 팡팡은 2006년에, 영점프는 2003년에 폐간되면서 현재 남은 잡지는 영챔프 뿐.
서울에서는 정도 600주년을 맞이해 남산골에 타임 캡슐을 묻었으며,[1] 10월 21일에 당시로서는 상상도 못할 성수대교 붕괴사고가 발생하여 국민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주었으며, 부모를 흉기로 찌르고 불태워 죽인 패륜아 박한상, 노부부를 집단으로 살해한 지존파 등 굵직한 살인마들의 실체가 드러났던 암울한 해이기도 하다.
일본의 콘솔 게임계에서는 수많은 5세대 게임기들이 이해에 발매되어 슈퍼패미컴의 전성기 및 4세대 콘솔 시대를 끝내는 계기를 만들었다. 3DO, 네오지오 CD, 세가 새턴,플레이스테이션, PC-FX가 차례로 발매되었다.
교통과 건설면에 있어서는 격랑과 수난의 해이기도 하였는데 이해 6월 당시 철도청으로 있었던 코레일과 서울메트로 노조 그리고 부산 지하철 노조가 전면 파업을 하게 되면서 애꿎은 시민들에게 고통과 수난을 안겨주었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지하철을 이용하려는 시민들이 철도와 지하철 이용에 커다란 불편을 겪었고 그야말로 말로 할 수 없는 고통까지 겪게 되면서 한국 현대사의 격랑을 그려내었고 10월 성수대교 붕괴까지 이어지면서 수난의 시기를 겪었다. 또한 본격적인 서울의 지하철 체계가 1기 지하철 노선의 연장과 5,6,7,8호선 등 신설 노선의 건설을 골자로 하는 2기 지하철 계획이 실행됨에 따라 그 수행 과정에 있어서 제 2의 지하철 공사 설립 필요에 따라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설립된다.
이해 1월 1일부터 6월 30일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은 애석하게도(?) 자신의 생일이 아니라 2013년 7월 1일부터 민법상 성년이 된다. 이들이 만 19세가 되는 해가 2013년인데, 원래 만 20세였던 성년 나이 규정(민법 제4조)을 만 19세로 개정한 민법이 2013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기 때문이다.[2]
그해 여름 라이온 킹과 포레스트 검프가 개봉한 해이며,[3] 마스크, 트루 라이즈, 스피드에 이어 겨울에도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덤 앤 더머등 할리우드의 유명 블록버스터 영화들이 줄줄이 나온 해이기도 하다. 그 덕에 미국에서만 역대 한 해 흥행 수입과 관객 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하기도 했다.물론 내후년에 깼다. 어차피 그렇긴 하지만...
그해 여름 라이온 킹과 포레스트 검프가 개봉한 해이며,[3] 마스크, 트루 라이즈, 스피드에 이어 겨울에도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덤 앤 더머등 할리우드의 유명 블록버스터 영화들이 줄줄이 나온 해이기도 하다. 그 덕에 미국에서만 역대 한 해 흥행 수입과 관객 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LG 트윈스 팬에게 이해는 최고의 해로 기억되는데 신바람 야구와 신인 3인방의 활약을 앞세워 압도적인 전력으로 우승을 했던 해였기 때문. 그리고 LG 트윈스는 그 이후의 우승이 없다.
또 이해에 태어난 대만 남성들은(즉, 2012년에 만 18세가 되는 시민) 군 복무가 1년에서 기초 군사 훈련 4개월로 줄어들게 되었다. 신인류 특혜 돋네요 1993년생 대만인은 피눈물을 엄청 흘려야 할 듯...
1994년 북한의 NPT 탈퇴선언 이후 미국의 영변군 핵 시설을 폭격하려는 움직임이 구체화하여 북핵문제의 위기가 왔으나 지미 카터의 방북과 김일성의 사망으로 제네바 합의에 도달하여 위기를 넘기게 되었다.
1994년 6월과 7월에 방영한 MBC 드라마 사랑을 그대 품안에를 통해 신인 배우였던 차인표가 주인공으로 출연해 매우 큰 인기를 얻으면서 차인표 신드롬이라는 새로운 문화 현상이 나타났다.
2.1. 실제 ¶
- 1월 7일: 《빨간망토 차차》 애니메이션이 방영되기 시작하였다.
- 1월 8일: 드라마 《서울의 달》이 방영되기 시작하였다.
- 2월 12일: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다(2월 27일까지). 이 대회를 시작으로 동계올림픽은 하계올림픽의 중간해에 개최되고 있다.
- 3월 15일: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창립되었다.
- 3월 16일
- 한겨레21 창간.
- 기존의 4대 선거법(대통령선거법, 국회의원선거법,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지방자치단체장선거법)을 포괄하는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통칭 통합선거법)이 공표되었다.
- 한겨레21 창간.
- 3월 18일: 일본에서 영웅전설3 하얀 마녀가 발매되었다. 큰 성공을 거두어 영웅전설 시리즈를 단숨에 팔콤의 간판 시리즈 중 하나로 자리잡게 하였다.
- 3월 20일: 일본에서 3DO가 발매되었다.
- 3월 23일: 러시아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을 출발해 홍콩 카이탁 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던 아에로플로트 593편이 메즈두레첸스크 인근에 추락해 탑승인원 75명 전원이 사망했다.
- 3월 29일: 서의현 조계종 총무원장의 연임에 반대하며 3월 26일부터 조계사 점거 농성을 벌이던 범승가종단개혁추진회(범종추) 소속 승려들과 총무원측 승려들이 조계사 경내에서 충돌하는 사태가 발생. 결국 경찰력이 투입되어 범종추 승려들을 강제로 해산시켰다. 한편 서의현 총무원장은 3월 31일 임시총회에서 총무원장에 재선되었지만, 상무대 이전 비리 의혹 및 조계사 폭력사태 당시 폭력배를 동원한 정황이 잇달아 포착되면서 사퇴 압박이 거세지자 4월 13일 사퇴하였다.
- 4월 1일
- 과천선 인덕원역 ~ 남태령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과천선과 안산선이 수도권 전철 1호선 구간에서 수도권 전철 4호선구간으로 편입되었다.
- 첫 비우주세기 건담인 기동무투전 G건담이 일본 TV 아사히에서 방영되기 시작하였다.
- 과천선 인덕원역 ~ 남태령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과천선과 안산선이 수도권 전철 1호선 구간에서 수도권 전철 4호선구간으로 편입되었다.
- 4월 2일: 몬타나 존스 애니메이션이 방영되기 시작하였다.
- 4월 6일: 떴다! 럭키맨 애니메이션이 방영되기 시작하였다.
- 4월 26일: 중화민국 중정 국제공항을 출발해 일본 나고야 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던 중화항공 140편이 나고야 인근에 추락했다. 탑승인원 271명 중 264명이 사망했다.
- 5월 1일: 포뮬러 1 (F1) 제3전 산마리노GP 이몰라 서킷에서 아일톤 세나가 사망했다.
- 5월 6일: 영국과 프랑스를 연결하는 채널 터널이 완공되었다.
- 5월 10일: 넬슨 만델라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 5월 20일: 대원씨아이에서 만화 잡지 영챔프 창간.
- 5월 26일: 부모를 살해한 패륜아 박한상의 실명이 공개되었다. 그는 재산상속을 노리면서 결국에는 부모를 흉기로 찌르고 방화하는 패륜적인 행위를 저질렀다. 이로 인해 존속살해자로 낙인되어서 결국에는 재산을 물려받지 못하게 되었다.[4]
- 5월 27일: PC엔진용 도키메키 메모리얼이 일본에서 발매되었다.
- 5월 29일: 동독의 서기장 에리히 호네커가 사망했다.
- 6월 6일: MBC 드라마 사랑을 그대 품안에가 방영되기 시작하였다.
- 6월 12일: O. J. 심슨의 전처 니콜 브라운 심슨과 그녀의 애인 로널드 골드먼이 살해되었다.
- 6월 17일
- 1994 FIFA 월드컵 미국이 개최되었다. 7월 17일(현지시각) 열린 결승전에서 브라질이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이탈리아를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 니콜 브라운 심슨과 로널드 골드먼에 대한 살해 혐의를 받은 O. J. 심슨이 고속도로에서의 추격전 끝에 체포되었다.[5]
- 1994 FIFA 월드컵 미국이 개최되었다. 7월 17일(현지시각) 열린 결승전에서 브라질이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이탈리아를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 6월 23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서대신역 ~ 신평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날부터 서울 지하철노조와 부산 도시철도 노조가 합동 총파업을 시작했다.
- 6월 24일
- 미국에서 라이온 킹이 개봉했다. 당연히 대박.
- 미국 워싱턴 주 페어차일드 공군기지에서 B-52H가 선회기동 중 지상에 추락해 탑승인원 4명 모두 사망했다.
- 미국에서 라이온 킹이 개봉했다. 당연히 대박.
- 6월 28일: 남북한이 정상회담을 7월 25일 평양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남북분단 이후 50년만에 최초로 양국 정상 김영삼과 김일성이 서로 만날 듯 싶었다.[6][7] 그러나 며칠 후….
- 7월 2일: 1994 FIFA 월드컵 미국대회의 콜롬비아대표팀 선수 중 미국전 자책골의 주인공인 안드레스 에스코바르가 클럽에서 3인조 괴한들에게 암살당했다.
- 7월 8일:
조선 왕국북한태조김일성 주석이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7월 11일: 경인선에 간석역과 도원역이 개업했다.
- 7월 16일: 슈메이커-레비 9 혜성이 목성에 충돌했다.
- 7월 25일: 드라마 영웅일기가 방영되기 시작하였다.[8]
- 8월 1일: MBC 납량특집 M(드라마) (10부작, 8월 1일 ~ 8월 30일) 방영이 시작되었다.
- 8월 2일: 이해의 유일한 재보궐 선거가 치러졌다. 모두 민주자유당 의원들의 지역구였는데, 선거 결과 민자당은 다시 한번 참패를 당한다.
- 대구직할시 수성구 갑: 박철언 의원, 홍준표 검사가 밝혀낸 슬롯머신 사건으로 형 선고로 (1994년 6월 28일) 보궐선거
- 강원도 영월군·평창군: 심명보 의원 사망에 따른 보궐선거
- 경상북도 경주시: 서수종 의원 사망에 따른 보궐선거
이 가운데 영월·평창군은 적수가 없던 민자당의 김기주 후보가 52.8%를 득표하며 민주당의 19.7%를 여유있게 꺾었다. 하지만 나머지 두 지역은 민자당의 참패였다. 김영삼의 승리까지 엄청난 위력을 발휘했던 여론조사는 맥을 못추기 시작했고, "공명선거"를 내세우면서 여당의 선거 부정이 줄어 든 것도 한 원인이었다.
6공 노태우 정권의 실세 박철언 의원은 사실상 이 슬롯머신 사건을 YS의 "민정계 몰아내기"라고 규정하고 아내인 현경자를 통일국민당의 후신인 신민당으로 출마시켰다. 현경자 후보는 자그만치 55.8%(35,440표)를 득표하며 여당의 정창화 후보(26.5%)를 두 배 넘게 밀어냈다. (여당 여론조사에선 고작 5% 차이였다.) 신민당은 이를 토대로 의석이 16석으로 증가, 교섭단체까지 노릴 수 있게 되며 TK를 대변하는 정당으로 발돋움 했고, 다음해 자민련과 합당하면서 1996년까지 "녹색 바람"의 기반이 된다. 하지만 이 사건은 "부부 지역구 대물림"의 첫 사례(이자 최초의 같은 국회(14대)의 부부 의원 사례)로 남아 이후로도 많은 (대체로 부정적인) 사례를 낳았다.
경주 지역은 놀랍게도 민주당(1991년)의 이상두 후보(33.7%, 16,289표)가 승리했다. 경주 이씨의 지지도 지지였지만, 역시 TK의 정권에 대한 반감이 지대했다. 결국 521표(1.1%) 차로 야당이 사상 최초(그리고 최후)로 승리했다. 민주당 의석은 98석이 되면서 개헌 저지선에 한달음 더 다가갔다. (여담으로 이상두 후보는 15대 총선에서는 자민련으로 출마했지만, 27.86%로 3위를 기록했고 무소속 임진출 추보가 당선되었다. 16대 총선에서 처참한 득표를 하고 정계 은퇴.)
- 대구직할시 수성구 갑: 박철언 의원, 홍준표 검사가 밝혀낸 슬롯머신 사건으로 형 선고로 (1994년 6월 28일) 보궐선거
- 8월 10일: 김포국제공항에서 출발한 대한항공 2033편이 제주국제공항에 착륙을 시도하다가 기상악화로 인해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고를 냈다. 다행히 탑승인원 152명 모두 생존했다.
- 8월 12일: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이 날 일제히 파업에 돌입하며월드시리즈를 포함한 남은 시즌들이 모두 취소된다..
- 8월 25일: 박홍 서강대학교 교수가 주사파 발언을 해 물의를 빚었다. 또한 일본에서 KOF 시리즈의 첫 작인 KOF 94가 발매되었다.
- 8월 29일: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256Mb D램을 개발했다.
- 9월(정확한 날은 불명) : 컴파일의 뿌요뿌요 通이 일본의 오락실에서 가동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 게임은 전설이 되었다.
- 9월 1일: 분당선 수서역 ~ 오리역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다. 이 당시 노선색이 서울 지하철 3호선 색깔하고 같아서 오해를 많이 일으켰다.
- 9월 4일: 일본 간사이 국제공항이 개장했다. 또,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9]. 그리고 OB 베어스 사상 최악의 흑역사인 OB 베어스 항명파동이 일어났다.
- 9월 8일: 미국 오헤어 국제공항을 출발해 피츠버그 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던 USAir 427편이 피츠버그 국제공항 착륙 도중 러더 오작동으로 추락해 탑승인원 132명 전원이 사망했다.
- 9월 9일: 일본에서 네오지오 CD가 발매되었다.
- 9월 11일: 인천 북구[10]청 세무 담당 공무원들이 조직적으로 세금을 횡령해 온 사실이 적발되었다. 이어서 경기도 부천시에서도 세무 담당 공무원들의 세금 횡령 사실이 적발되었고, 전국 곳곳에서 이와 같은 사례가 잇달아 적발되면서 국민들을 허탈, 분노하게 했다.
- 9월 21일: 연쇄살인 사건을 일으켰던 지존파가 체포되었다. 또, 이날 Microsoft Windows NT 3.5가 발매되었다.
- 9월 28일: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출발해 스웨덴 스톡홀름에 도착할 예정이던 여객선 에스토니아호가 발트해에서 침몰했다. 탑승 인원 중 137명만이 생존했고 852명이 사망했다.
- 10월 1일: KBS 1TV의 광고를 이날부터 안 하게 되었다. 이날 팔라우가 독립한 날 이다.
- 10월 2일: 일본 자위대 병력 470명이 전후 처음으로 해외에 파병되었다. 파병지역은 르완다.
- 10월 9일: 황영조 선수가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마라톤에서 우승했다.
- 10월 10일: 둠 2: 헬 온 어스 발매. 이때의 FPS게임 초기시장은 거의 둠의 해라고 될정도로 1994년은 특히 둠의 독보적인 인기가 절정을 달리던 해였다.
- 10월 11일: 북한이
아무것도 없는 무덤단군릉을 복원했다고 뻥쳤다.
- 10월 21일: 성수대교 붕괴사고가 일어났다.
- 10월 23일: 한국 프로야구 LG 트윈스가 4연승으로 태평양 돌핀스를 꺾고 두 번째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때 이후로 LG트윈스는 한 번도 우승을 하지 못한다. 안습......
- 10월 24일: 충주에서 충주호 유람선 화재사고가 일어났다.
- 10월 29일: 검찰이 12.12 군사반란으로 기소된 전두환 노태우 등 관련자들에 대해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다.
- 11월 8일: 종합주가지수(現 코스피지수)가 1138.75포인트라는 사상 최고점을 찍었다. 이 지수는 2005년이 되어서 깨지게 된다.
- 11월 13일: 스웨덴이 국민투표를 통해 유럽연합에 가입하는 것을 의결했다.
- 11월 22일: 일본에서 세가의 게임기 세가 새턴이 발매되었다.
- 11월 29일: 서울1000년 타임캡슐이 매설되었다.
- 12월 3일: 일본에서 플레이스테이션1 이 발매되었다.
- 12월 7일: 서울특별시에서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사고가 일어났다.
- 12월 15일: 팔라우가 UN에 가입했다.
- 12월 16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WTO가입 비준동의안을 통과시켰다. 찬성 152표, 반대 58표, 기권 1표.
- 12월 23일: 일본에서 NEC의 게임기 PC-FX가 발매되었다.
- 12월 24일
- 부산직할시 동서고가로 낙동대교 ~ 문현램프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 알제리 알제공항에서 에어 프랑스 항공 8969편 납치 사건이 발생해 탑승인원 232명 중 3명이 테러리스트에 의해 살해되었다. 연료를 재급유하기 위해 이동한 마르세이유 공항에서 GIGN의 진압작전에 의해 테러리스트 4명 모두 사살되었다.
- 부산직할시 동서고가로 낙동대교 ~ 문현램프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 12월 31일: 이츠케리야 체첸의 수도인 그로즈니에 진입하던 러시아군 기갑부대가 매복해있던 체첸 군대의 기습으로 몰살당한다. 1차 그로즈니 전투로 명명된 이 전투는 대표적인 유명 시가전 중 하나로 역사에 기억되게 된다.
3.1. 실존 인물 ¶
- 1월 3일: 한국의 SK 와이번스 소속 야구 선수 최항
- 1월 9일: 프랑스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폴 부아예(sOAZ)
- 1월 14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카이(EXO)
- 1월 18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강지영(前 카라), 공민지(2NE1)
- 1월 21일
- 1월 24일
- 1월 29일: 일본의 성우 사쿠라 아야네
- 2월 1일
- 2월 5일: 일본의 아이돌 가수 나카지마 사키(큐트)
- 2월 8일: 터키의 축구 선수 하칸 찰하노을루
- 2월 10일
- 2월 11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서지수 (러블리즈)
- 2월 12일
- 2월 14일: 한국의 프로게이머 김정훈
- 2월 15일: 한국의 배우 진세연
- 2월 18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제이홉(방탄소년단)
- 2월 23일: 미국의 배우 다코타 패닝
- 2월 25일: 한국의 한화 이글스 소속 야구 선수 하주석
- 3월 1일: 캐나다의
초통령아이돌 가수 저스틴 비버
- 3월 3일: 일본의 배우 겸 아이돌 가수 카와시마 우미카(9nine)
- 3월 10일: 일본의 아이돌 가수 나가오 마리야(AKB48)
- 3월 14일: 한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코코(Coco) 신진영
- 3월 24일: 한국의 프로게이머 조성호
- 3월 26일: 일본의 아이돌 가수 와타나베 마유
- 3월 29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설리(f(x))
- 3월 30일: 일본의 아이돌 가수 시마자키 하루카
- 4월 4일: 일본의 아이돌 가수 스가야 리사코(베리즈코보)
- 4월 11일: 일본의 아이돌 가수 오가사와라 마유(NMB48)
- 4월 12일
- 5월 10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남태현 (위너)
- 5월 25일: 일본 아이돌 가수 니시노 나나세(노기자카46)
- 5월 28일: 한국의 리듬 체조 선수 손연재
- 5월 31일: 한국의 배우 심은경
- 6월 1일: 한국의 삼성 라이온즈 소속 야구 선수 정현
- 6월 9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혜리(걸스데이)
- 6월 13일: 前 일본 아이돌 가수 야가미 쿠미
- 6월 15일: 일본의 배우 겸 성우 히다카 리나
- 6월 21일: 한국의 한화 이글스 소속 야구 선수 한승택
- 6월 29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동호(유키스)
- 7월 10일: 한국의 배우 채수빈
- 7월 12일: 일본의 아이돌 가수 모모타 카나코(모모이로클로버)
- 7월 15일: 한국의 NC 다이노스 소속 야구 선수 윤형배
- 7월 28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효정(OH MY GIRL)
- 8월 16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니엘(틴탑)
- 8월 17일: 일본의 배우 겸 성우 하타나카 타스쿠[11]
- 8월 20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가은(애프터 스쿨)
- 8월 24일
- 8월 30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권소현(4minute), 허영지(카라)
- 9월 4일: 한국의 넥센 히어로즈 소속 야구 선수 조상우
- 9월 7일: 일본의 배우 야마자키 켄토
- 9월 18일: 한국의 프로게이머 전태양
- 9월 22일: 한국의 前 아이돌 가수 홍유경(Apink)
- 9월 23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이미주 (러블리즈)
- 9월 25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도희(타이니지)
- 10월 10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수지(miss A)
- 10월 24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크리스탈(f(x))
- 11월 7일: 일본의 가수 이이쿠보 하루나(모닝구 무스메)
- 11월 11일: 한국의 배우 강성아
- 11월 15일: 한국의 아이돌 가수 시아 (라니아)
- 11월 25일: 일본의 아이돌 가수 무토 토무(AKB48)
- 12월 7일: 일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하뉴 유즈루
- 12월 8일: 일본의 아이돌 가수 오오타 아이카, 야마우치 스즈란(AKB48)
- 12월 24일: 대한민국의
전설로 남을만화가 김영택(엉덩국)
- 12월 28일: 일본의 前 아이돌 가수 마에다 유카
- 12월 29일: 일본의 황족 아키시노노미야 카코 공주
3.2. 가상 인물 ¶
----
- [1] 2394년에 개봉 예정.
- [2] 민법 제4조(성년) 사람은 19세로 성년에 이르게 된다(전문개정 2011.3.7, 시행일 : 2013.7.1).
- [3] 그해 전 세계 흥행 수입 1, 2위를 차지.
- [4] 민법 제1004조의 규정상 존속살해범은 혈통이라 하더라도 집안의 재산을 물려받지 못하게 되어 있다.
- [5] 당시 상황은 TV에서도 생중계되었다.
- [6] 당시 대통령 김영삼은 남한 대통령으로는 사상 최초 휴전선을 넘어서 육로로 방북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2007년 노무현 대통령대에 와서야 실현되었다. 참고로 김대중 대통령은 대통령 전용 비행기를 통해서 평양을 방문하였다.
- [7] 당시 손명순 영부인 역시 방북할 계획이었고, 8~9월의 2차 정상회담 ―― 서울 답방(!)과 판문점 등이 모두 고려되었다 ―― 도 고려 중이었다. 경협 문제는 2차에서나 논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 [8] 공교롭게도 이날은 바로 남북정상회담이 예정된 날짜였으나 북한의 군주가
저승으로사망하게 되는 바람에 무산되고 후에 2000년 대통령 김대중과 북한의 2대 군주와의 만남을 통해 이뤄졌다. - [9] '태권도의 날'은 이를 기념해 제정되었다.
- [10] 현재의 인천광역시 부평구, 계양구
- [11] 츠쿠모 유마의 성우.
- [12] 1997년생인 동생 코우사카 키리노 와 3살 차이가 난다. 애니메이션판 한정.
- [13] 출신 평행계인 레닌-2의 연도. 홈라인 연도 2000년.
- [14] 진국은 1년 꿇어서 저 멤버들보다 한살 많다.
- [15] 109계는 서기로 환산하면 1994년이 된다. 7월(음력)에 탄생 소식이 실렸으므로 날짜는 8월 7일부터 9월 5일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