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항목은 디모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Deemo | |
최초공개 | 2013년 3월 |
출시일자 | 2013년 11월 13일(iOS) 2013년 12월 27일(안드로이드) 2015년 예정(PS Vita)[1] |
제작사 | Rayark |
퍼블리셔 | 자체배급 |
플랫폼 | iOS / 안드로이드 / PS Vita |
장르 | 리듬 게임 |
사이트 | 공식 사이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가격 | $1.99 (인앱 결제 별도) |
![]() [JPG image (28.46 KB)] |
Never left without saying goodbye. 작별 인사 없이 떠나지 말아줘.[2] |
2. 스토리 ¶
Cytus 등 기존의 리듬게임보다 스토리의 요소가 강화되었다고 하지만, 초기 버전만 놓고 보면 등장인물에 대한 떡밥만 남기고 끝나버리기 때문에 스토리에 대해서는 완결이 나기 전까지 함부로 이야기할 수 없을 듯하다.

[JPG image (141.49 KB)]
어째 이 녀석을 많이 닮은 것 같다.
Deemo는 이 세계관에서 유일한 사람(?)이다. 피아노와 잡동사니만 있는 큰 나무집에서 지내던 어느 날, 천장의 창문이 열리더니 여자아이가 떨어졌다. 그는 아이를 원래의 세계로 돌려보내기 위해 피아노를 연주하기 시작한다.[4] 피아노의 음색으로 자라나는 나무에게 연주해서 나무를 키워 올려보내려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이 세계에 있다면 당신은 여자아이를 원래의 세계로 올려보내기 위해 피아노를 연주하는 디모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소녀가 돌아가면 디모는 다시 외로워지고...[스포일러1]
게임에 나오는 노래들의 가사가 스토리와 관련이 있다는 추측도 많이 존재하지만, 공식 트위터에서는 이를 부정했다.[6]
서재에서 맨 오른쪽 책장을 터치했을 때 121.518549와 오른쪽 방 책상 아래를 터치했을 때 25.040854라는 알쏭달쏭한 숫자가 나오는데,지도를 찾아보면 대만의 한 지역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실제로 좌표를 뜻하는듯. 이에 대해 레이아크에서는 스토리의 요소라는 것만 밝힌 상태이다. [7]
참고로 제작진이 2.0업데이트를 통해 스토리가 완결된다고 밝힌 바 있다.
2.1. 추측 ¶
Deemo/스토리 추측 참고. 내용이 길어져서 주석으로 보기엔 애매하지만 문단을 분리하기는 어려워서 개별항목으로 정리하였다.
3.1. 플레이 시스템 ¶

[JPG image (17.95 KB)]
상술했듯이 건반형 리듬게임이지만 라인이 없다. 쉽게 말해 DJMAX RAY에서 라인이 빠진 거라 생각하면 된다. 스크린샷만 보기에는 상상이 안 가지만 TGS에서 플레이 해본 사람들의 평으로는 할만하다는 듯. 그런데 노트 때문에 일부에선 포도밭에 이어 형광등 드립을 치기도 한다.(…) 노트가 내려오면서 가속되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비슷한 건반류 게임을 해왔다면 적응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다. 게임 구조를 피아노에서 차용해왔기 때문에 롱노트 형태가 존재하지 않고, 슬라이드 노트를 여러개 배치하도록 하지만 끊어서 쳐도 별 문제 없으며, DJMAX TECHNIKA 시리즈와 달리 슬라이드 노트라고 해서 시각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8] 또 키음이 생겼다는 것이 전작에 비해 눈여겨볼 점. 참고로 아이폰4 이하에서는 키음이 없다. 안습.
난이도는 Easy(♩), Normal(♪), Hard(♬) 순이고, 노래 선택 화면에서 음표 아이콘을 터치해서 난이도를 변경할 수 있다. 난이도 선택에 관한 별도의 설명이 없었지만, 1.4 업데이트 이후로 사이터스의 손가락 포인터를 이식해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건반형 리듬게임이 그렇듯 첫 출시부터 플레이 전 1~9단계까지 배속을 설정할 수 있도록 나왔지만, 이외에 페이드 인/아웃이나 블라인드와 같은, 다른 건반게임의 부가 옵션은 지원하지 않는다.
- 단타 노트 : 피아노 음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검은 노트, 드럼 비트나 전자음 같은 피아노가 아닌 소리에 대응하는 경우 중간에 흰 줄이 있는 노트가 떨어진다.
- 슬라이드 노트 :
소중한 노트다피아노 음 단타 노트처럼 생겼지만, 노란 빛으로 빛난다. 피아노 음이건 아니건 구별 없이 그 모양으로 나온다. 전부 다 긁어도 되고 하나하나 끊어서 쳐도 되는 점이 Cytus 그리고 DJMAX TECHNIKA 시리즈의 관절 노트와 치는 방법이 비슷하다. 허나 시각적으로 이어져 있지 않고, 두 세트 이상의 슬라이드 노트를 구별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하다. 놓치게 된다면 점수를 눈물나게 깎아먹는 녀석이다.
3.2. 스코어 체계 및 판정 ¶
Cytus에서 물판정으로 랭킹 매길때 고생을 한 모양인지 아예 처음부터 사이터스에 비해 판정을 빡세게 잡아버렸다. 그렇다고 해도 beatmania IIDX나 BMS급으로 악랄한 판정은 또 아니어서 랭킹 상위권에는 전곡 100%를 찍은 사람이 적지 않게 보이는 편. 쉽게 말해 사이터스의 TP급 판정을 아예 기본 판정으로 채용했다고 보면 된다. 5콤보 이상일 경우 콤보수와 판정이 우측에 조그맣게 뜨고, 색깔로도 구분할 수 있다.
- Charming Hit : 가장 좋은 판정. 다른 리듬게임의 Perfect나 MAX를 생각하면 된다. 터치한 곳 부근이 살짝 불그스름한 노랑색으로 빛나면 이 판정. 판정에 성공했을 시 콤보 아래에 Charming이라는 글씨가 뜬다.
- Hit (Normal Hit) : 콤보수는 계속 증가하지만 Charming 판정은 뜨지 않는다. 터치한 곳 부근이 초록색에 가까운 노란색으로 빛난다면 이 판정. 판정의 정확도에 따라 같은 Hit이라도 Charming Hit의 50%에서 80% 정도의 점수를 받기 때문에 점수 계산에 많이 애먹이는 요소. [9]
- Slip Hit / Miss : miss나 break 판정이라고 보면 된다. 너무 일찍/늦게 치면 노트 주변이 청백색으로 변하면서 터치한 것으로 처리되는데, 콤보가 끊어지는 데다가 점수도 주지 않는다. 즉 아예 노트를 놓친 것과 동일한데, 꽤나 간접미스에 민감한 녀석이기 때문에 화면 막 두드리다가 콤보 끊기지 말자 (...) 드래그 노트가 이 판정에 취약한 점이 있다.
3.3. 나무 성장속도 공식 ¶
+ 자신의 정확도 x0.001m + α[10]
추가 성장보너스
해당 보면 첫 플레이 시 + 0.200m
해당 보면 첫 풀콤보 시 + 0.150m
해당 보면 첫 올차밍 시 +0.200m
Ex.
Nine point eight Hard 보면을 이미 한번 플레이 했고, 풀콤보를 아직 하지 않았다고 가정
Hard 보면을 풀콤보, 99.78%
자신의 정확도(99.78)x0.001=0.09978 소숫점 4번째 자리 반올림시 0.100
첫 풀콤보이므로 0.150m 추가
총 0.250m 성장
추가 성장보너스
해당 보면 첫 플레이 시 + 0.200m
해당 보면 첫 풀콤보 시 + 0.150m
해당 보면 첫 올차밍 시 +0.200m
Ex.
Nine point eight Hard 보면을 이미 한번 플레이 했고, 풀콤보를 아직 하지 않았다고 가정
Hard 보면을 풀콤보, 99.78%
자신의 정확도(99.78)x0.001=0.09978 소숫점 4번째 자리 반올림시 0.100
첫 풀콤보이므로 0.150m 추가
총 0.250m 성장
첫 플레이에 올차밍을 달성한 경우
자신의 정확도 (100)x0.001=0.1m
첫 플레이 0.200m
첫 풀콤보 0.150m
첫 올차밍 0.200m
총 0.650m가 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신의 정확도 (100)x0.001=0.1m
첫 플레이 0.200m
첫 풀콤보 0.150m
첫 올차밍 0.200m
총 0.650m가 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JPG image (38.72 KB)]
만약 빨리 곡을 얻고자한다면, 고렙곡 풀콤작을 하기보단 자신이 플레이 하지 않은 이지 또는 노멀곡을 한번 풀콤보를 하는것이 낫다. Yawning Lion이나 Entrance같은 막장곡들을 풀콤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단 저렙곡을 풀콤보를 하는것이 좀더 빠르기 때문. 거기다 보통 하드보면만 건드리지, 이지나 노멀보면은 잘 안 건드리기때문에 첫 플레이 보너스까지 받을수 있다. 정말 마음만 먹으면 북 컬렉션 1~9까지 전부 다 사서 1레벨 채보만 첫플 올챠밍 찍어도 나무를 17m 이상까지 키울 수 있다(...).
4. 수록곡 ¶
2014년 10월 10일 기준 총 수록곡은 무료곡 30곡(#1과 #6), 유료곡 51곡으로 총 81곡이 존재한다. 곡별로 EASY, NORMAL, HARD 패턴이 존재한다. (1.5 패치때 추가된 곡을 추가바람)
동명의 문서가 이미 존재할 경우 항목으로 나누어 적되, 특정곡의 기술할 내용이 길어지면 뒤에 따로 (Rayark)을 붙여 분리하도록 한다.
곡명 | 작곡가 | EASY | NORMAL | HARD |
#1 Deemo's Collection Vol.1 (기본곡) | ||||
Dream | Rabpit | 1 | 4 | 8 |
Reflection(Mirror Night)[11] | V.K | 1 | 4 | 8 |
Evolution Era | V.K | 3 | 6 | 8 |
Jumpy star | Yukcheung Chun, Jeff Li, Justine Lu | 3 | 3 | 6 |
Wings of Piano | V.K | 1 | 6 | 7 |
Nine point eight | Mili | 1 | 5 | 7 |
Light pollution | Yukcheung Chun feat. Europa Huang | 1 | 3 | 8 |
Undo | Yukcheung Chun feat. Misi Ke | 2 | 3 | 7 |
Platinum | Sta | 2 | 6 | 6 |
Utopiosphere | Mili | 1 | 4 | 7 |
Reverse-Parallel Universe[12] | V.K | 1 | 5 | 8 |
I hate to tell you | Yukcheung Chun | 2 | 6 | 8 |
Saika | Rabpit | 2 | 4 | 6 |
YUBIKIRI-GENMAN | Mili | 1 | 4 | 7 |
Invite | Sun Chen feat. Bibi Chao | 2 | 5 | 7 |
Run Go Run | Kaeru Underground | 2 | 3 | 8 |
Yawning Lion | V.K | 2 | 4 | 8 |
Pulses | Sta feat.A | 1 | 6 | 8 |
Electron | Yukcheung Chun feat. Misi Ke | 1 | 6 | 8 |
Untitled2 | Fabric Factory | 3 | 6 | 8 |
Walking by the Sea | Edmud Fu | 2 | 5 | 8 |
Beyond the Stratus | Ice | 2 | 4 | 7 |
Sairai | Shinichi Kobayashi | 3 | 5 | 7 |
Entrance | Ice | 2 | 8 | 10 |
Magnolia | M2U Vocal by Guriri | 4 | 7 | 10 |
Angelic Sphere | 3R2 | 4 | 5 | 7 |
Leviathan | NeLiME | 3 | 7 | 9 |
#2 Rayark Selection Vol.1 | ||||
Metal Hypnotized | EARTHBOUND PAPAS | 1 | 6 | 6 |
Rainy Memory | Rabpit | 1 | 2 | 5 |
Peach Lady | Yukcheung Chun, Trevor Lin feat. Silvia Su | 2 | 5 | 9 |
Hey Boy | Jerry Barnes, Katreese Barnes, Rodger Green | 2 | 5 | 7 |
Pilot | Rabpit | 2 | 4 | 9 |
VIVERE LA VITA | Sta | 1 | 4 | 7 |
#3 Rayark Selection Vol.2 | ||||
Friction | HAMO from Mili | 2 | 5 | 8 |
I race the dawn | Kevin Penkin feat. Michiyo Honda | 1 | 2 | 7 |
Moon without the stars | Jerry Barnes, Quiana | 1 | 2 | 6 |
Sanctity | Rabpit | 2 | 3 | 9 |
Hua Sui Yue | V.K | 2 | 4 | 7 |
#4 Mili Collection | ||||
Fable | Mili | 2 | 7 | 9 |
Past the Stargazing Season | H△G Remixed by Mili | 1 | 4 | 6 |
Ephemeral | Mili | 2 | 5 | 7 |
Rosetta | Mili | 1 | 5 | 8 |
Witch's Invitation | Mili | 3 | 6 | 8 |
#5 V.K Collection | ||||
Atlantis Love | V.K | 1 | 2 | 5 |
Melody Of Elves | V.K | 1 | 3 | 7 |
Paper Plane's Adventure | V.K | 1 | 4 | 6 |
Pure White | V.K | 4 | 8 | 10 |
Xue Wu | V.K | 1 | 4 | 9 |
#6 Brave Frontier Selection | ||||
Randall | Hikoshi Hashimoto | 1 | 3 | 5 |
will | Hikoshi Hashimoto | 2 | 6 | 9 |
Land of Giants | Hikoshi Hashimoto | 1 | 2 | 7 |
#7 Brian Crain Collection | ||||
Dream of Dreams | Brian Crain | 3 | 4 | 8 |
Finding Home | Brian Crain | 1 | 4 | 7 |
Imagining | Brian Crain | 2 | 6 | 9 |
Reminiscence | Brian Crain | 2 | 5 | 6 |
Time Forgotten | Brian Crain | 4 | 6 | 8 |
#8 Eshen Chen Collection Vol.1 Transmission | ||||
Sea Side Road | Eshen Chen | 1 | 4 | 6 |
Run Away Run | Eshen Chen | 1 | 3 | 7 |
Falling Ears | Eshen Chen | 1 | 4 | 7 |
Flower Above Your Head | Eshen Chen | 2 | 4 | 7 |
Almost Morning | Eshen Chen | 1 | 4 | 5 |
#9 Rayark Selection Vol.3 | ||||
Little Corgi's Dream | Killerblood | 3 | 6 | 8 |
Morning Drops | KIVΛ | 2 | 4 | 8 |
The Letter | KIVΛ | 2 | 5 | 7 |
The Truth That You Leave | Pianoboy | 1 | 4 | 6 |
Veritas | Presti | 2 | 7 | 9 |
#10 Cytus Selection Vol.1 | ||||
DRG | Ani | 2 | 5 | 8 |
Libera me | Cranky | 3 | 8 | 10 |
Precipitation | Ice | 4 | 7 | 9 |
Sacred | Rabpit | 2 | 5 | 7 |
The Black case | Killerblood | 2 | 4 | 7 |
#11 Cytus Selection Vol.2 | ||||
Future World | Killerblood | 3 | 6 | 8 |
Holy Knight | Eyemedia | 2 | 5 | 7 |
Niflheimr | xi | 2 | 6 | 9 |
Parousia | xi | 4 | 8 | 10 |
Recollections | Yamajet | 4 | 6 | 8 |
#12 Knight Iris Collection | ||||
The Way We Were | Nicode | 3 | 5 | 9 |
The Sanctuary | Eye AC | 3 | 7 | 9 |
The Red Coronation | Eye RH | 3 | 7 | 9 |
Forbidden Codex | Hoskey | 4 | 6 | 10 |
Knight of Firmament | Eye Xy Feat.Yoneko | 2 | 6 | 8 |
기타 | ||||
櫻花色的夢[13] | Baba Band, Chihiro Toki | 엔딩곡(플레이 불가) |
4.1. 해금방법 ¶
나무의 높이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순서별로 정렬했다. 눈썰미가 있다면 별 어려움 없이 해금해낼 수 있다. #
나무의 높이 | 곡 명 | 해금 방법 | 방의 변화 | 지원 버전 |
0m | Dream | Lonely Deemo 영상 해금 후 자동 획득 | ver1.0 | |
2m | Invite | Budding영상 해금 후, 왼쪽 서재에 가면 | ver 1.0 | |
4m | Run Go Run | Growing 영상 해금 후, 서재의 보물상자 조사 | ver 1.0 | |
8m | YUBIKIRI-GENMAN | 나무 성장시 자동 획득 | ver 1.4 | |
10m | Electron | I miss my home 영상 해금 후, 열리는 오른쪽 방에 들어가 나무바퀴 조사 | 오른쪽 방 추가 | ver 1.0 |
11m | Untitled2 | 나무 성장시 자동 획득 | ver 1.2 | |
12m | Yawning Lion | 오른쪽 방의 깨진 유리 조사 | ver 1.0 | |
12m | Walking by the sea | 나무 성장시 자동 획득 | ver 1.2 | |
14m | Beyond The Stratus | 나무 성장시 자동 획득 | ver 1.2 | |
15m | Pulses | 홈 화면의 나무 중앙을 조사 | ver 1.0 | |
16m | Sairai | 나무 성장시 자동 획득 | ver 1.2 | |
18m | Entrance | 나무 성장시 자동 획득 | ver 1.2 | |
20m | Magnolia | ED 영화(스텝롤) 해금 후 자동 획득 | ver 1.0 | |
20m | Angelic Sphere | Leaves 영상 해금 후 자동 획득 | ver 1.5 | |
20m | Leviathan | Leaves 영상 해금 후 자동 획득[14] | ver 1.5 |
5. 문제점 ¶
- 1. 전작보다 심화된 기종 최적화
문제
그런데 버그라고 한다(...)
- 2. 의미없는 배속 플레이
- 3. 기존 게임성과 다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허나 이것이 게임성이 못하다는 것이 아니라 라인식 리듬게임과 판정 집착에 지나치게 익숙해진 한국 게이머들의 문제라는 비판도 있어서 단지 게임 방식의 문제인지는 생각해 볼 문제. 이전 버전에는 "독특한 레벨링과 높은 수준의 곡이 장점이나 게임성에 관해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중. 다만 일본과 미국, 동남아 등지에서는 여러 웹진이나 커뮤니티에서 볼 수 있듯이 연주 방식에는 대부분 호평인 반면, 유독 한국에서는 그러한 방식에서의 게임성에 대해 문제삼는 의견이 많다."라고 서술되어있는 반면에, 한국에서는 일단은 잘 팔리는 것과는 별개로 실제로 이러한 불만들이 한국 쪽에서 대부분 쏟아진다는 것을 보면 기존의 리듬게임과 비교하는 데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15]
6. 버그 ¶
- 가끔씩 뽁찡과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며 튕긴다.[16]
- 스크린샷을 찍으면 소리가 재생되지 않는다.[17] 이후 스크린샷을 찍고 잠시 기다려야 소리가 재생되도록 변경되었다.
- 곡 선택을 한 후 약 0.5초간 어두워지면서 사라지는 곡 선택 화면을 스크롤해서 다른 곡으로 넘기면 플레이할 때 다른 곡과 선택한 곡의 음이 함께 나온다(…).
- 곡 플레이 도중 일시정지한 다음 플레이를 재개했을 때 Calibrate 옵션으로 조정했던 싱크로가 풀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노래를 즐기면서 하는 유저들의 경우 꽤나 짜증나는 일. 재시작하거나 나갔다 들어오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 있으면 추가바람.
- 안드로이드 1.3.0 이전 버전의 경우 Titanium backup으로 복원했을 때 실행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Titanium backup이 Deemo의 추가 데이터까지 백업하지 못 해 생기는 오류로 마켓에서 어플과 추가 데이터를 받은 뒤에 복구하면 된다.
- 안드로이드 버전이 4.4 이상일 경우에 곡 목록을 넘기는 도중에 튕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다만 판올림을 한 이후 해당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봤을때 해당 현상이 발생하고 말고는 판올림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운인듯. Platinum 선택 후 READY가 나오자마자 곡 목록으로 나오면 아래까지 넘길 수 있다.
근데 다시 올라갔다가 내려오면 또 튕긴다그러나 이렇게 해서 플레이한 곡은 첫 플레이 보너스를 받지 못하는 버그가 발생한다.
- 아이패드2에서 가끔 켜지지 않는다. 이런 상황을 겪는 유저가 넷상에서는 아예 찾아볼 수 없을정도로 적기때문에 딱히 해결 방법과 원인이 나와있지 않아 기기를 초기화해야 켜진다(...). 정확한 이유를 아는 사람은 수정바람. 이 버그가 다른 기기에서도 발생할경우 수정바람.
- 안드로이드 폰 기준으로 플레이 중 화면 반전이 될 경우 역반전이 되지않고 고정된다(홈키를 왼쪽에 두고사용하는 경우는 게임중 화면이 반전되지 않는다).
애초에 플레이하다가 반전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건 넘어가자그런데 평평한 바닥에 놔두고 플레이하는데 화면이 저절로 반전되는게 은근히 자주 일어난다애플 디바이스의 경우는 플레이 도중에는 고정되도록(물론 멀티태스킹으로 플레이 중에 나갔다 다시 돌아오면 반전될 수 있다.) 되어있으나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에서는 기기에 따라 중간에 반전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단 이는 플레이 중인 화면에서만 나타나는 버그로 플레이 화면에서 나가면 역반전시킬수 있다.
- 1.4 업데이트 이후 안드로이드 폰 기준으로 노트 이펙트를 OFF해도 키음(피아노 소리)이 들려 음이 이중으로 들린다. 음악을 감상하며 플레이하던 유저들에게 충공깽. 게다가 키음때문에 중저사양폰에서는 버벅임도 심해졌다.
- 1.4.2 업데이트 이후 정상적인 실행이 되지않는 오류가 생겼다. 링크 재설치하면 되기는 하는데 그러면 기록이 다 날아간다...[18]
- 안드로이드는 1.4.3버전으로 업데이트되어 실행오류가 수정되었고, 이펙트를 끈 상태에서 들리는 키음도 다시 사라졌다.
- 아이패드 미니에서 곡을 연주하다가 중후반부에 일시정지 시키면 해당 플레이에 한해 키음 싱크가 어긋난다. 언제 일시정지 시켰냐에 따라서 싱크 밀림의 정도가 달라진다(...). v 1.4 이전에도 존재하던 오류.
- 안드로이드 1.5.0 버전 업데이트 이후 메인 메뉴의 플레이 버튼이 눌러지지 않는 버그가 발생 하였다. 일단은 1.5.2 업데이트로 수정하였다고 발표한 상태.
- 일부 사람들은 재설치 후에 모든 기록이 다 날라간다는데 설정의 클라우드를 다시 켜면 모든 기록이 복구된다.
추가바람
7. 그 외 ¶

[PNG image (784.33 KB)]
소녀가 '가면 누나'라는 말을 쓰는데, 남자라서가 아니라제작진이 한국어의 호칭체계를 몰라서 벌인 실수라고 해명했다. 이 가면 누나 타령은 소소한 수정이 이루어진 1.5버전에서도 여전하다. 어째서? 뭐 어때 어차피 니들 다 남자잖아? 안돼, 이런 호칭은! 난 받아들일 수 없어! 히익 쇼타
튜토리얼에 성공하면 소녀가 나타나며, 곡의 연주 성공율이 높을수록 리절트의 나무가 점점 자라나게 된다. 또한 사이터스와 동일하게 인앱 결제도 있으며, 패키지 1개 당 5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키지 한 개의 가격은 iOS용 기준으로 3.99달러. 메인 시나리오 진행에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JPG image (36.6 KB)]

[JPG image (25.63 KB)]
▼1.5버전 업데이트로 오른쪽방의 모습이 일부 변경되었다.


[JPG image (1.75 MB)]
전에도 논란을 낳았던 그 회사가 퍼블리싱한 행복한 피아니스트라는 게임이 Deemo를 표절한 게임이라는 의혹이 있지만 이 게임은 Deemo보다 이전에 등장했던 The Player라는 게임 개발자 DOin의 다른 프로젝트다[19]. 개발자 답변에 따르면 해외 앱스토어에 공개한 바 있던 The Player를 개수하여 카카오 버전으로 재출시한 것이라고 한다. The Player이전에도 외국에서 개발한 Magic Piano라는 게임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Deemo와 행복한 피아니스트 둘 중에 무엇이 원조이고 무엇이 표절이니하는 논란은 의미가 없다. [20]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의 후광을 업고 자사의 게임을 슬쩍 끼워팔아보려는 의도가 분명한지라 비난은 피할 수 없을 듯 하다. 결국 시기와 퀄리티에서 때를 잘못 만난 두 게임.


[JPG image (300.17 KB)]
Budding 시나리오에 나오는 디모소녀의 일러스트가 너무 귀여운데다가 어디에 붙여놔도 너무 적절한 나머지 어느 순간 부터 이것을 통한 합성이 트위터에서 유행하고 있다.사고를 친다던가,총알이 된다던가,욫닭에게 쓰다듬 당한다던가, 게임 소프트 패키지나, 핀볼게임에 들어간다던가, 이나즈마 일레븐으로 패러디되어 축구를 하거나, LOL의 스킨이 된다던가... 합성관련 해시태그인 #deemo少女クソコラ 로 찾으면 온갖 장잉력의 현장을 찾아볼수있으니 참고하자. 한국에서도 디모소녀 합성이 인기가 있는 편이라 리듬게임 갤러리 등에서 꽤 많이 찾아볼 수 있다. #
디모에 수많은 곡을 제공한 V.K克도 재밌게 플레이하고 있다고,#[21] 2013년 12월 29일엔 LEGACY TAIPEI에서 RAYARK LIVE CONCERT를 가졌다. # [22]
그림으로 봐서는 나무가 20미터 이상의 어느 지점이 되면 저렇게 변하는 것 같다. 나무 안의 방이 하나 더 생기는 듯...했으나 1.5업뎃에서도 나무는 20m를 넘기지 못해서인지 나오지 않았다.
2014년 겨울 ps vita판으로 발매가 확정되었다. 가제는 deemo ~라스트 리사이틀~ 스마트폰의 스토리 후일담과 비공개 장면을 풀 애니메이션으로 수록 예정이라고 한다. 3월 28일 열린 오픈 하우스에서 한국어 버전 로고가 나왔는데, 번역명은 Deemo ~마지막 리사이틀~.
사이터스, 디모 공식 트위터를 통해 브라이언 크레인의 섭외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아직 자세한 정보는 밝혀진 바 없지만 Butterfly Waltz로 유명한 작곡가기에 이 섭외는 게임의 질을 높일 거라며 기대하는 팬들이 많다. 하지만 오히려 유저에게 게슈탈트 붕괴를 일으키고 있다. [23][24]
1.5 버전 업데이트 이후 기존에 있던 컬렉션들의 이름이 Rayark selection, Mili collection 등으로 바뀌었다. 또한 여러 개인 컬렉션들은 밑에 vol.1, vol.2 등으로 구분해 놓았다.[25] 12번째 컬렉션은 Knight Iris collection이고 Cytus의 Chapter K 곡들 중 반이 수록되었다. 즉 다음 업데이트에 Witch Rosabell collection으로 Chapter K의 나머지 곡들이 수록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Cytus selection의 일러스트레이터가 PUNEW임에 따라 디모는 작곡가에 이어 가수(magnolia의 guriri), 일러스트레이터까지 한국 사람이 참가한 게임이 되었다.
또한 Cytus selection의 일러스트레이터가 PUNEW임에 따라 디모는 작곡가에 이어 가수(magnolia의 guriri), 일러스트레이터까지 한국 사람이 참가한 게임이 되었다.
11월 12일에 인벤에 올라온 레이아크 CEO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2015년 2월쯤 2.0 업데이트로 모든 스토리가 끝난다고 한다. 이외에도 앞으로의 레이아크의 행보가 자세히 나와 있으니 읽어볼 것을 추천. 다만 일정이 지연되었는지 3월 28일에야 대만의 행사에서 관련 내용을 공개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기사에 있던 신작 Implosion에 대한 공개도 같이 이루어질 예정이라 하는 것으로 보아 겸사겸사 일정을 조절한 듯. 그리고 2.0 버전을 포함한 여러가지 정보가 공개되었으나 업데이트 예정 날짜는 발표하지 않았다. 한국의 한 유저가 문의한 바에 따르면 4월달에 출시되지 않을까 예상된다.
----
- [1] 공식으로 공개된 트레일러에서는 2014 ~ 2015년 겨울이라고 언급 되어 있었으나, 대만 게임쇼에서 다시 2015년 예정이라고 변경했다. #
- [2] 옳게 해석하면 '작별 인사 없이 떠난 적 없어.'가 되겠으나(공식 해석인 '작별 인사 없이 떠나지 말아줘.'가 되려면 left 자리에 leave가 들어가야 한다.) 공식 해석이 '작별 인사 없이 떠나지 말아줘.'이고 게임의 스토리도 이것을 의도한 것으로 보이니 본 항목은 공식 해석으로 작성한다.
어쩌면 leave가 아닌 left를 쓴 것 자체가 복선일지도 모른다 - [3] Brave Frontier selection #6으로 3곡이 추가, 아무 곡이나 플레이하면 2곡이 1권에 추가된다.
- [4] 때문에 수록곡들이 피아노의 선율이 주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 [스포일러1] 하지만 현 시점에서 나무를 다 키워도(20m) 소녀가 돌아갔는지 아닌지 모를 애매한 결말만 나올 뿐 제대로 된 엔딩이 없는데, 이후 업데이트로 스토리를 추가한다고 한다. To Be Continued라는 문구와 더불어 중요한 단서로 보이는 장면이 나오니 꼭 엔딩을 보자.
- [6] 오히려 노래들의 일러스트가 스토리와 관련있을 가능성이 있다. 대표적으로 Pulses.
- [7] 이 주소는 국립타이완대학병원 앞길이다. 구글맵 기준으로 회사 위치와 최단거리 2km이다.
- [8] 이를 이용하여 낚시를 적극적으로 펼치는 패턴으로는 Magnolia 등이 있다.
- [9] 간단히 말하면 한 개만 Hit을 내서 0.03%가 깎이면 99.97%인데, 두 번 Hit을 냈어도 0.01%씩 깎이면 99.98%로 전자보다 후자가 점수가 높다! 테크니카에서 라임맥스와 비슷한 판정.
- [10] 정확히는 정확도의 소숫점 단위를 반올림 한 수치 X 0.001m. 예를 들어 정확도가 99.12% 이면 0.099m, 99.56%이면 0.100m 가 된다
- [11] 1.2.0 이후 원곡명과 병행표기 되었다.
- [12] 1.2.0 이후 앨범 수록버전으로 바뀌었다.
- [13] 크레딧엔 중국어식으로 나오지만 영어 표기로는 Sakura iro no yume라 읽는다.
- [14] 업데이트 후 아무 곡이나 한 번 플레이하면 된다. 20m 이전에는 안 된다.
- [15] 이전 버전에는 높은 게임성을 가지고 있는 기존 게임에 비해 Deemo의 게임성이 떨어져서 생기는 문제라는 방식으로 서술되어 있었으나, 엄밀히 말해 게임 방식이 다른 것과 게임성이 떨어지는 것은 다른 것이다.
- [16] 유니티 3D 엔진의 문제점 일수도 있다. 같은 엔진을 사용해서 만든 이 작품 도 같은 현상의 버그가 일어난다.
- [17] 유니티 3D 엔진의 문제점 일수도 있다. 같은 엔진을 사용해서 만든 이 작품 도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 [18] 1.4.1버전부터는 cloud를 실행시키고 있으면 자동저장이 된다
- [19] 다함께 차차차는 턴온게임즈에서, 행복한 피아니스트는 아이즈소프트에서 개발되었다.
- [20] 사이터스 한국 트위터 운영자가 레이아크 개발진과 인터뷰를 하면서 이 게임을 보여주었는데, 디모보다 먼저 나온 게임이라는 설명을 듣자 상당히 놀랐다고. 그리고 개발자가 Doin이라는 설명을 듣자 정말 좋아하는 개발자라며 열심히 플레이했다(...)
- [21] 영상을 보다보면 몇 곡 정도는 챠밍 풀콤 한 곡도 있다, 정작 본인 곡은 촬영으로 인한 긴장 때문인지 플레이 도중 미스를 보이다가 중간에 그만 뒀다.
그냥 어려워서 아냐? - [22] 동영상 사이드에 댓글들을 보면 V.K가 등장하니 레알디모라며 놀라는 건 덤1, 사이터스 실행하면 나오는 곡의 보컬이 남자라는 사실에 멘붕하는 건 덤2다(...)
- [23] 브라이언 크레인 컬렉션이 유료 컬렉션으로 등재되었는데, 이 중 Dream of Dreams와 Time Forgotten라는 두 곡들은 똑같은 박자 패턴의 피아노 멜로디만 나온다. 그 멜로디를 패턴만 조금씩 바꿔가며 계속 연주해야 된다. 이렇게 된 이유는 해당 곡들이 Rita Chepurchenko라는 바이올리니스트와 함께한 앨범 'Piano and Violin DUET'의 수록곡이며, 그 중에서도 바이올린이 주 멜로디를 연주하고 피아노는 코드 연주만 주구장창 해대는 곡들이기 때문이다. Dream of Dreams는 그 전 앨범인 'Piano and Light'에도 수록되어 있었으나, 이 곡 자체가 코드 연주만으로 구성된 곡이라...
차라리 다른 곡들을 수록하지 - [24] 또한, 곡들 중 Imagining 의 경우는 하드 난이도가 불렙에 가깝다. 풀콤을 달성한다 하더라도 정확도를 상당히 깎아 먹기 쉽다.
- [25] 그런데 Eshen Chen collection은 밑에 vol.1 Transmission이 적혀 있다. 즉 이 분의 컬렉션은 적어도 하나는 더 나온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