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역대 KAC 오리지널 콘테스트 최우수 당선곡 | ||||
KAC 2012 | → | KAC 2013 | → | The 4th KAC |
Max Burning!! BlackY | Bangin' Burst かめりあ | Everlasting Message ぺのれり | ||
For UltraPlayers [email protected]暴走P |
1. 개요 ¶
사운드 볼텍스의 수록곡. 작곡가는 [email protected]폭주P. 제목부터 대놓고 고릴라들을 위해 만든 곡임을 말해주고 있다(...). 일렉기타와 피아노 멜로디가 돋보이는 곡이다.
2. 사운드 볼텍스 ¶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KAC 2013 오리지널 곡 컨테스트'의 최우수 당선곡 중 하나이다. 다른 한 곡은 Bangin' Burst. [email protected]폭주P의 첫 사운드 볼텍스 오리지널 곡으로, 이 곡을 투고하기 전에도 리믹스 2곡, EXIT TUNES 라이센스 4곡으로 총 6곡이나 제공했지만 FLOOR 오리지널 곡을 제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NOVICE | ADVANCED | EXHAUST | |
자켓 | ![]() [JPG image (25.24 KB)] | ![]() [JPG image (25.54 KB)] | ![]() [JPG image (24.38 KB)] |
난이도 | 07 | 13 | 16 |
체인 수 | 0692 | 1402 | 2402 |
일러스트 담당 | infinite 蒼弐 II | ||
이펙터 | PHQUASE ver.II | ||
수록 시기 | II 21(2013.12.27) | ||
BPM | 201 |
KAC 2013 당선곡 해금 순서 | ||
Bangin' Burst | → | For UltraPlayers |
TRACK INPUT (III) | ||
난이도 | 필요 블록 | 조건 |
NOVICE | - | 통상해금 |
ADVANCED | 240 | Bangin' Burst의 ADV 이상 패턴을 1회 클리어 |
EXHAUST | 4000 | Bangin' Burst의 EXH 패턴을 A랭크 이상으로 클리어[1] |
- SKILL ANALYZER 수록
- NOVICE : Skill Level 01(2014.6.5 ~ 2014.8.1), 패화화(覇和々) 순한맛
- EXHAUST : Skill Level ∞(2014.8.21 ~ 2014.11.20, 2015.4.1 ~)
- NOVICE : Skill Level 01(2014.6.5 ~ 2014.8.1), 패화화(覇和々) 순한맛
여러분 처음 뵙겠습니다. cosMo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최우수 작품으로 뽑아 주셔서 영광입니다. -당선자 코멘트- |
자켓의 캐릭터는 레이시스. 대응하는 타로 카드는 3번, 여제(THE EMPRESS). 저 복장의 레이시스의 인기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 픽시브 등지의 사이트를 가 보면 팬아트가 우수수 제작되는 중. 여담이지만 저 자켓의 왼쪽에 Bangin' Burst의 볼테나이저 맥시마 자켓을 놓으면 이어진다. 근데 애초에 맥시마하고 레이시스가 각각 다른손을 뻗는 것을 보고 이어질 거라 생각한 사람들이 많다(...)
사운드 볼텍스 2의 최종보스곡. 전체적으로 밀도높고 난해한 폭타가 끊임없이 이어지며, 또한 PHQUASE다운 두 차례에 걸친 노브 폭풍이 일품. 설상가상으로 2번째 노브 폭풍 후의 대략 정신이 멍해지는 노브 복합 패턴과 그 후의 FX+BT 폭타 발광으로 노브 폭풍을 무사히 넘겨도 클리어의 여부는 불투명하다. FX+BT 폭타 발광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나오고 모두 좌우교차로 해결할 수 있기에 채보를 미리 파악한 뒤 플레이한다면 아주 약간 쉬워지기는 하지만, bpm 201의 16비트라는 무시무시한 속도로 밀려 내려오기 때문에 속도에 익숙해지지 않는다면 fx와 겹계단의 조합에 클리어를 눈앞에 두고 게이지가 주루룩 까이게 된다. 거기에다가 노트수도 많아서 게이지도 굉장히 짜다. 최후반부에 아주 약간의 회복구간을 주기 때문에 이 회복구간에서 게이지를 70% 위로 올릴 수 있을 정도로 게이지를 남겨놓는 것이 관건. 약 66% 정도를 유지한다면 아슬아슬하게 70%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익서시브 레이트(하드 게이지)로 플레이 할 경우도 역시 이 구간이 승부처라고 할 수 있지만, 패턴 전체가 미스 다발 구간인 특성상 여기까지 가는 것도 힘들다(...) 따라서 하드클을 노린다면 앞부분에서 에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요약하자면, 패턴 자체가 난해하다. 노멀게이지와 하드게이지 모두 클리어가 무척이나 까다로운 것은 물론이고 스코어링 및 얼체, 퍼펙트 난이도를 통틀어 모든 점에서 Everlasting Message GRV와 함께 16레벨 최상급.
ADV 패턴은 Bangin' Burst와 함께 최초의 13레벨 어드밴스 타이틀을 따냈다. EXH와 비슷한 취지인 건지 Bangin' Burst가 버튼과 FX를 활용한 패턴으로 13레벨을 달성했다면, 이쪽은 노브와 버튼을 고루 활용한 패턴으로 13레벨을 달성했다. 레벨 내에서는 평범하다 못해 쉬운 스킬 애널라이저에 들어갈 수 있다면 5단에 들어갈 정도의 난이도... 라고는 하지만 이는 EXH 13레벨의 분류 안에서 함께 거론될 때의 경우고, 조금의 개인차가 있지만 레벨 표기가 같아도 EXH에 비해 다소 쉬운 ADV 패턴임을 생각하면 충분히 12~13레벨 입문자들의 목표가 될 수 있을만큼의 난이도를 가진다. 후반부에 등장하는 박자가 난해한 FX+숏노트 복합패턴, 청노브+한손트릴도 12~13레벨 입문자들에겐 충분히 게이지를 갉아먹는 요소가 된다.
NOV 패턴은 7레벨로 Max Burning!!과 함께 NOV 최고 레벨을 차지하고 있는데, 맥스 버닝보다는 쉽다. 그 실태로 이 곡은 1단에 들어가지만 맥스 버닝은 2단에 들어간다.
2014년 1월 21일, 드디어 일본에서 K2.BONO2라는 유저가 일본 최초 PUC를 달성하였고, 다음 날에는 KAC 우승자인 XD2.BOT('에츠야'라고 읽는다.)도 PUC 달성에 성공했다. [3]
3. 여담 ¶
일본의 7살 플레이어가 안정적으로 클리어하는 동영상이 올라와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기도 하였다. 이 플레이어는 GITADORA의 Rock to Infinity 드럼 마스터 채보를 클리어 하는 등 예전부터 수준급의 실력을 선보여 많은 리듬게이머들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The 4th KAC에서는 기구한(?) 운명에 처하기도 했는데, 사운드 볼텍스 부문 결승전에서 컨테스트 당선곡인 Everlasting Message가 플레이 되어야 할 타이밍에 오류로 인해 본 곡이 등장해버리는 사고가 터져버린 것. 결국 사운드 볼텍스 결승전은 이후로 미뤄진 채 유야무야 끝나버렸고, 곧바로 이어지는 스페셜 라이브에서 [email protected]폭주P의 차례에 본 곡이 연주됨으로서 사고를 목격한 리듬게임 유저들의 반응은 그야말로 어이없음 그 자체가 되어버렸다. 급기야 사볼 채보 이미지 사이트에 이런 식으로 패턴이 올라왔을 정도. #
----
- [1] 다단계 해금을 거치지 않고도 프렌드 매칭을 이용해 Bangin' Burst를 플레이하여 조건을 만족해도 되나, 현재 가동중인 작품에서의 기록만 인정된다. 이전작에서 뱅버를 A클 박았더라도 해금하지 않았으면 다시 A랭크 이상으로 클리어해야 한다.
- [2] 12월 22일 KAC 2013 결승 라운드에서 공개되었으나 정식으로 해금 가능하게 풀린 날은 27일. 이는 Bangin' Burst도 마찬가지다.
- [3] 사족으로 에츠야는 대회에서 우승한 후에 '안녕 내 전곡 PUC'라고 소감을 밝힌 적이 있었다. 이 대사는 작년 대회에서 나왔던 LAV1S.의 '후카세 절대 용서못해'를 이은 네타 소재로 정착했다.